[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2008년 개봉한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의 주인공 벤자민 버튼은 80대 노인의 몸과 얼굴로 태어난 아기가 시간이 갈수록 점점 젊어진다. 영화 속 상상에 그칠 줄 알았던 '회춘'을 현실로 만들기 위한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 이 가운데 최근 건강하게 오래 사는 장수의 '축복'을 넘어 30대의 체력으로 오래 사는 장수의 '기적'을 실현시키려는 스타트업이 대규모 자금을 투자 받았다. 과연 가까운 미...
남미래기자 2025.05.10 07: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수년간 전쟁을 지속해 온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각각 휴전을 논의하는 가운데 미국 방산 스타트업에 대규모 투자금이 몰렸다. 유혈사태를 반복하며 극에 달했던 지정학적 갈등이 다소 진정되는 분위기지만 전 세계가 언제 어디서 터질 지 모를 전쟁에 대비해 무장을 계속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세콰이어가 '떡잎' 알아본 방산 스타트업━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테크크런치는 정통한 소식통을 인...
송지유기자 2025.05.03 07: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크루엘리(Cluely)가 출시됐습니다. 모든 것을 속이세요."(Cluely is out. cheat on everything.) 21세의 한국계 미국인 로이 리(한국이름 이충인)이 부정행위를 도와주는 AI(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로이 리는 이 기술로 아마존 면접까지 합격했지만, 대학에서 징계를 받고 자퇴를 했다. 그러나 이후 오히려 76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논...
남미래기자 2025.04.26 07:00:00[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최근 미국 전역에선 구조·범죄 현장 주변을 맴도는 드론을 쉽게 볼 수 있다.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특수기동대(SWAT), 주요 도시 경찰국 등이 AI(인공지능) 드론(무인기)을 구매해 업무에 적극 활용하고 있어서다. 드론이 먼저 현장에 도착하고 순찰차는 그 이후에 모습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 경찰이 현장에 닿기도 전에 신고 내용을 확인하고, 실시간 감시를 할 수 있는 것도 드론 덕이다. 미 보안당국이 구매하는 드론은...
송지유기자 2025.04.12 07: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우주 공간에서 얻은 태양광 에너지를 지구로 전송한다." 미국 SF 소설가 아이작 아시모프는 1941년 단편소설 '리즌'에서 이 같은 개념을 묘사했다. 당시 '꿈'처럼 들렸을 아이디어를 실현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 스타트업 애서플럭스(Aetherflux)도 그 중 하나다. 우주 태양광 기술을 개발하는 애서플럭스가 최근 시리즈A 라운드에서 5000만달러(약 721억원)를 유치했다...
김성휘기자 2025.04.05 07: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프리랜서와 소상공인을 위한 고객관리 솔루션으로 연간 2000억원 이상 벌어들이는 스타트업이 있다. 네이버(NAVER)가 2018년 투자한 미국 허니북(HoneyBook)의 얘기다. 허니북은 벤처투자 광풍을 기록했던 2021년에 진행된 투자유치에서 24억달러(3조52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대부분 스타트업들이 투자 거품이 꺼진 현재, 당시의 기업가치를 정당화할 수익을 창출해야 할 압박을 받고 있다. ...
남미래기자 2025.03.29 07: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AI(인공지능) 에이전트 전쟁의 시대가 도래했습니다"(The Era of Agentic Warfare is Here) 미국의 AI 스타트업 '스케일AI'의 알렉산더 왕(Alexandr Wang)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4일(현지시각) 이코노미스트 기고문에서 "세계 최강의 군대가 AI 에이전트를 더 잘 활용하는 라이벌에게 패배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
남미래기자 2025.03.08 13: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에이블리와 리벨리온. 지난해 국내 스타트업 중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기업)에 오른 기업이다. 국내 유니콘은 팬데믹 기간 유동성 공급이 늘며 2021년 7곳 등장했으나 이때를 정점으로 시장이 위축되면서 새로 유니콘이 되는 기업 수가 줄고 있다. 반면 미국에서는 지난해 61개의 스타트업이 유니콘에 등극했다. 내수시장 기반 플랫폼 위주인 국내 유니콘과 달리 AI(인공지능), 사이버보안, 양자컴퓨터, ...
남미래기자 2025.02.22 07: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미국에선 운전자 없이 차량이 이동하는 자율주행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다. 구글의 자율주행 로보택시(무인 택시) '웨이모'가 지난해 6월 상용화된 데 이어 최근 무인 버스·트럭 등이 줄줄이 등장하고 있다. 자율주행 허브 도시인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로스앤젤레스, 애리조나주 피닉스, 텍사스주 오스틴 등을 넘어 조지아주 애틀랜타,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등으로 서비스 지역이 확대되는 분위기다. ━무인 택시만 ...
송지유기자 2025.02.15 07: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읽씹과 안읽씹, 뭐가 더 기분 나쁠까?" 문자나 메시지를 보냈는데 상대로부터 한참 반응이 없다면 어떨까. 신조어 '읽씹(읽고 씹다)'과 '안읽씹(안 읽고 씹다)'은 각각 메시지를 읽고 답장하지 않는 것, 읽지 않고 답장도 안 하는 것을 뜻한다. 둘 중 어느 것이 더욱 '비매너'인지 온라인 커뮤니티의 단골 화두다. 래퍼 이영지는 한 방송에서 자신의 '안읽씹' 탓에 관계가 끊어지기도 했다고 말...
남미래기자 2025.02.08 07: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