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유니콘팩토리

오피니언

  • 홈
  • 데이터랩
  • 전체
  • 스타트UP스토리
  • 머니
  • 트렌드
  • 비디오
  • 커리어
  • 혁신요람
  • 오피니언
  • 홈
  • 데이터랩
    • 스타트업 통계
    • 스타트업 조회
    • 투자기관 분석
  • 전체
    • 일반
    • 정책
    • 행사
    • 인터뷰
  • 스타트UP스토리
    • 머니
      • 투자·회수
      • 이주의 핫딜
      • 머니人사이드
    • 트렌드
      • 줌인 트렌드
      • 테크업팩토리
    • 비디오
      • 유팩TV
      • 유팩IR
    • 커리어
      • 채용
      • 스타트잡
    • 혁신요람
      • 액셀러레이터
      • 유니밸리
    • 오피니언
      • 기자 프로필
      유니콘팩토리
      로그인
      • 오피니언

      최근 검색어

      최근 검색 내역이 없습니다.

      추천태그

      유니콘팩토리 스타트업 의료·헬스케어 IT·정보통신 챗GPT

      최신기사

      • 기사 이미지 일반 에스에이치, AI 건물 유지관리입찰 '빌딩왕' 중기부 초기창업패키지 선정
      • 기사 이미지 투자·회수 차세대 주거 솔루션 개발…아파트멘터리, LG전자서 전략적 투자 유치
      • 기사 이미지 투자·회수 '도로복구도 AI로' 로보로드, 서울대기술지주서 2억 시드 유치
      • 기사 이미지 투자·회수 자영업 폐업률 AI로 낮춘다…컨트롤엠, 25억 프리A 투자유치
      • 기사 이미지 일반 [IT썰] 애플, 차세대 칩 M5 탑재 맥북 프로·아이패드 프로·비전 프로 출시
      • 기사 이미지 [투데이 窓] 한글날에 생각하는 AI 시대 창조의 가치

        어릴 때 좋아했던 피아노, 물리학, 작곡 등은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인정받을 만큼 잘한 적이 없다. 그래서인지 그런 분야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이는 사람들에겐 지금도 나도 모르게 동경의 마음이 생기고 심장이 두근거린다. 아마 인간이 본능적으로 갖고 있는 '창조에 대한 경외심' 때문일 것이다. 한국어의 탄생은 그런 창조의 본능을 가장 아름답게 구현한 사례다. 한글은 마치 음악을 만드는 뮤지션이나 불편함을 해결하려는 창업가의 정신과 닮아 있다. 한문으로 힘들어하던 수많은 백성들을 위해 누구나 쉽게 배우고 매일 사용할 수 있는 문자가 탄생했다. 세종대왕은 '백성을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라 말하며 반대와 비난을 무릅쓰고, 신하들을 설득해 수년간의 연구 끝에 훈민정음을 완성했다. 발음기관의 구조와 하늘·땅·사람의 원리를 본떠 만든 글자는 한 사람의 의지와 성실함이 얼마나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위대한 증거다. 그때로부터 580여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여전히 그 창조의 결

      • 기사 이미지 [투데이 窓] AI 시대, 기후테크의 구조적 전환이 시작됐다

        AI(인공지능) 산업의 폭발적 성장은 단순히 기술의 진보를 넘어 인류가 직면한 에너지와 기후의 패러다임을 바꿔놓고 있다. 생성형 AI는 이전의 어떤 기술보다도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상상을 초월하는 전력 수요가 자리 잡고 있다. 구글 데이터센터가 기업 전력 사용량의 95% 이상을 차지한다는 사실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전세계적으로도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는 지난해 415TWh(테라와트시)에서 2030년 945TWh로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추세는 단순히 에너지 효율을 조금 높이는 수준의 대응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구조적 변화를 요구한다.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안보, 경제 성장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가 이제는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의 과제로 묶이는 이유다. 데이터센터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려면 24시간 끊김 없는 전력이 필요하다.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는 간헐성이 강하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지열이나 소형모듈원전(SMR) 같

      • 기사 이미지 [기고]대한민국 기술창업, 혁신성장 발판을 얻다

        최근 발표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R&D(연구개발) 투자 통계에 따르면 세계 주요국들은 기술혁신을 위한 국가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국가 총연구개발비 연평균 증가율은 OECD 회원국 평균 수준인 6.1% 대비 약 2배인 11% 수준으로, 미국의 기술 견제, 경제 저성장 등 복잡한 경제 환경을 타개할 돌파구를 찾기 위해 국가 R&D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스타트업 네이션(Startup nation)'으로 불리는 이스라엘도 전쟁 중임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R&D 예산만큼은 증액하는 등 지원을 꾸준히 확대해 2023년 이후 10개의 유니콘을 탄생시켰다. 코로나 시절 모더나가 평균 5년 이상 걸리는 백신 개발을 단 11개월 만에 성공한 사례는 미국 정부의 신속한 R&D 집중 지원이 있었기 때문인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이다. 이번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6년 예산안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단연 국가 R&D 분야이다. 올해보다 19%가 증가한

      전체 광화문 우리가 보는 세상 기자수첩 UFO 칼럼

      전체

        등록된 기사가 없습니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가기

        주간 유팩 인기 TOP10

        1. 기사이미지 1 [우보세] 기술사업화는 '속도전' 아닌 '장기전'
        2. 기사이미지 2 [기고]지역 딥테크 육성, 기술사업화 넘어 '사업기술화'로
        3. 기사이미지 3 [투데이 窓] 스타트업 스톡옵션, 인재 보상인가 세금 폭탄인가
        4. 기사이미지 4 [투데이 窓] 과거 아닌 미래로부터 배우기
        5. 기사이미지 5 [투데이 窓] 중복 넘어선 협력, 스타트업 지원 정책의 전환점
        1. 기사이미지 6 [우보세] 세계적 혁신도시 서울, 더많은 유니콘 키우려면
        2. 기사이미지 7 [투데이 窓] AI 시대, 기후테크의 구조적 전환이 시작됐다
        3. 기사이미지 8 [투데이 窓] 한글날에 생각하는 AI 시대 창조의 가치
        4. 기사이미지 9 [기고]대한민국 기술창업, 혁신성장 발판을 얻다
        5. 기사이미지 10 [광화문] 쳇바퀴 도는 'K-자율주행'

        유패커 PICK

        오피니언 기사 이미지 [우보세] 기술사업화는 '속도전' 아닌 '장기전'

        데이터랩

        • 스타트업 통계
        • 스타트업 조회
        • 투자기관 분석

        전체

        • 일반
        • 정책
        • 행사
        • 인터뷰

        스타트UP스토리

        머니

        • 투자·회수
        • 이주의 핫딜
        • 머니人사이드

        트렌드

        • 줌인 트렌드
        • 테크업팩토리

        비디오

        • 유팩TV
        • 유팩IR

        커리어

        • 채용
        • 스타트잡

        혁신요람

        • 액셀러레이터
        • 유니밸리

        오피니언

        기자 프로필

        전체

        스타트UP
        스토리

        머니

        트렌드

        비디오

        커리어

        혁신요람

        오피니언

        기자 프로필

        데이터랩

        뒤로가기 Top버튼

        유니콘팩토리

        •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머니투데이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1 (서린동, 청계빌딩) 대표이사/발행인/편집인 : 강호병 등록번호 : 서울아01084 사업자등록번호 : 762-86-02890 등록일 : 2009.12.24 제호 : 머니투데이 발행일 : 2000.1.1 연락처 : 02-724-7700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택균
        COPYRIGHT©UNICORNFAC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