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유니콘팩토리

오피니언

  • 홈
  • 데이터랩
  • 전체
  • 스타트UP스토리
  • 머니
  • 트렌드
  • 비디오
  • 커리어
  • 혁신요람
  • 오피니언
  • 홈
  • 데이터랩
    • 스타트업 통계
    • 스타트업 조회
    • 투자기관 분석
  • 전체
    • 일반
    • 정책
    • 행사
    • 인터뷰
  • 스타트UP스토리
    • 머니
      • 투자·회수
      • 이주의 핫딜
      • 머니人사이드
    • 트렌드
      • 줌인 트렌드
      • 테크업팩토리
    • 비디오
      • 유팩TV
      • 유팩IR
    • 커리어
      • 채용
      • 스타트잡
    • 혁신요람
      • 액셀러레이터
      • 유니밸리
    • 오피니언
      • 기자 프로필
      유니콘팩토리
      로그인
      • 오피니언

      최근 검색어

      최근 검색 내역이 없습니다.

      추천태그

      유니콘팩토리 스타트업 루미 갤럭시폴드 패스트레인

      최신기사

      • 기사 이미지 일반 우리금융, 24일 '디노랩' 기업 PR 무대…직접투자까지 전폭 지원
      • 기사 이미지 일반 장애인 인증·케어 서비스 디지털 전환…브이드림-한컴위드 맞손
      • 기사 이미지 정책 자율주행 실증 '도시'규모로 확키운다…스타트업 '도전' 자극할까
      • 기사 이미지 일반 추석 단기알바 당근서 구하고 경품 받자…당근, 프로모션 개최
      • 기사 이미지 일반 "한국 컴업-프랑스 비바테크 연계" 서울서 손잡은 140년 우정
      • 기사 이미지 [투데이 窓] 과거 아닌 미래로부터 배우기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가운데 대덕을 기반으로 한 딥테크(첨단기술) 기업이 무려 4곳에 달한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이는 기술 경쟁력 확보를 중심으로 한 중장기 육성 정책이 효과적으로 작동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내부적으로는 어떤 요인이 작용했을까. 필자가 만난 한 딥테크 스타트업 대표는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 확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시장을 제대로 아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우수 딥테크 스타트업을 지속적으로 배출한 대학들 중에는 총장 주도로 오래전부터 '기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교과목으로 편성한 곳도 있다. 이는 시장 중심 R&D(연구·개발)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한 선견지명이었다는 평가다. 딥테크 스타트업의 본질은 기술 경쟁력과 이를 기반으로 한 '기술 예측 역량'에 있다. 그러나 첨단기술을 시장에 내놓고 채택되기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며, 그 과정에서 기술력과 시장 대응력 간 불균형이 나타나기 쉽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딥테크 기

      • 기사 이미지 [우보세] 기술사업화는 '속도전' 아닌 '장기전'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TLO(기술이전전담조직)가 기술 발굴부터 이전, 사업화까지 전 과정을 담당하고 있지만 인원이나 예산에 비해 그 스펙트럼이 지나치게 넓다." 최근 부산 해운대에서 열린 '출연연X연구소 TLO 애뉴얼 콘퍼런스(Annual Conference)' 패널토론 현장에선 기술사업화의 현실과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토론에 참여한 관계자들은 기술 마케팅, 특허 포트폴리오 관리 등 사업화 활동에는 장기간 상당한 비용이 필요하지만 많은 TLO가 최소한의 운영비만으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고 토로했다. 초기 투자나 민간 자본을 연결할 여력도 부족해 유망 기술의 시장 진입이 늦어지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책적 연속성 부족도 TLO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정부 정책이 정권과 부처 변화에 따라 자주 바뀌면서 일관된 기술사업화 전략을 추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엔 기술사업화와 관련한 긍정적인 변화의 조짐도 보인다. 기술보증기금 관

      • 기사 이미지 [기고]지역 딥테크 육성, 기술사업화 넘어 '사업기술화'로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기술은 많지만 쓸 만한 기술이 없다." 우리나라는 2023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4.9%를 연구개발(R&D)에 투입할 정도로 막대한 예산을 쏟고 있지만 투자 대비 성과는 늘 아쉬움을 남긴다. 같은 해 공공연구기관의 신규 기술 개발 건수는 최대치를 기록한 반면 기술이전 비율은 30.2%로 낮아 기술사업화의 한계를 드러냈다. 연구실에서 개발된 기술이 시장의 실제 수요와 동떨어져 있다는 'R&D 패러독스'이다. 우리 경제의 또다른 문제는 혁신 생태계가 수도권에 집중됐다는 점이다. 비수도권에도 잠재력 있는 청년 창업가와 지역 대학이 있지만 특히 막대한 투자와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한 딥테크 분야는 수도권과 대전 등 특정 거점에 인력과 자본, 기술력이 밀집돼 있다. 이를 극복하고 대한민국 전체의 혁신 동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과 사업화에 대한 근본적인 패

      전체 광화문 우리가 보는 세상 기자수첩 UFO 칼럼

      전체

        등록된 기사가 없습니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가기

        주간 유팩 인기 TOP10

        1. 기사이미지 1 [투데이 窓] 과거 아닌 미래로부터 배우기
        2. 기사이미지 2 [우보세] 기술사업화는 '속도전' 아닌 '장기전'
        3. 기사이미지 3 [투데이窓]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지역 AI 창업 허브로
        4. 기사이미지 4 [투데이 窓] AI·크로스보더 시대의 창업과 벤처 스튜디오
        5. 기사이미지 5 [기고]홍수는 왜 취약계층에게 더 잔인한가
        1. 기사이미지 6 [기자수첩] 우려스러운 '믿었던 도끼'의 배신
        2. 기사이미지 7 [기고] 금리와 주가, 그리고 벤처투자의 교차점
        3. 기사이미지 8 [투데이窓]기술사업화의 보이지 않는 벽
        4. 기사이미지 9 [기고]지역 딥테크 육성, 기술사업화 넘어 '사업기술화'로
        5. 기사이미지 10 [기고]공공기관 액셀러레이팅, 이대로 괜찮은가

        유패커 PICK

        오피니언 기사 이미지 [투데이窓]기술사업화의 보이지 않는 벽

        데이터랩

        • 스타트업 통계
        • 스타트업 조회
        • 투자기관 분석

        전체

        • 일반
        • 정책
        • 행사
        • 인터뷰

        스타트UP스토리

        머니

        • 투자·회수
        • 이주의 핫딜
        • 머니人사이드

        트렌드

        • 줌인 트렌드
        • 테크업팩토리

        비디오

        • 유팩TV
        • 유팩IR

        커리어

        • 채용
        • 스타트잡

        혁신요람

        • 액셀러레이터
        • 유니밸리

        오피니언

        기자 프로필

        전체

        스타트UP
        스토리

        머니

        트렌드

        비디오

        커리어

        혁신요람

        오피니언

        기자 프로필

        데이터랩

        뒤로가기 Top버튼

        유니콘팩토리

        •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머니투데이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1 (서린동, 청계빌딩) 대표이사/발행인/편집인 : 강호병 등록번호 : 서울아01084 사업자등록번호 : 762-86-02890 등록일 : 2009.12.24 제호 : 머니투데이 발행일 : 2000.1.1 연락처 : 02-724-7700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택균
        COPYRIGHT©UNICORNFAC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