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투데이 窓] AI 시대, 기후테크의 구조적 전환이 시작됐다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 기사 입력 2025.09.28 10:29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UFO 칼럼]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 /사진=머니투데이DB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 /사진=머니투데이DB
AI(인공지능) 산업의 폭발적 성장은 단순히 기술의 진보를 넘어 인류가 직면한 에너지와 기후의 패러다임을 바꿔놓고 있다. 생성형 AI는 이전의 어떤 기술보다도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상상을 초월하는 전력 수요가 자리 잡고 있다. 구글 데이터센터가 기업 전력 사용량의 95% 이상을 차지한다는 사실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전세계적으로도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는 지난해 415TWh(테라와트시)에서 2030년 945TWh로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추세는 단순히 에너지 효율을 조금 높이는 수준의 대응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구조적 변화를 요구한다.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안보, 경제 성장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가 이제는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의 과제로 묶이는 이유다.

데이터센터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려면 24시간 끊김 없는 전력이 필요하다. 태양광이나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는 간헐성이 강하기 때문에 단독으로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지열이나 소형모듈원전(SMR) 같은 기저부하 전력원이 다시 주목받는다. 동시에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끌어올리고 대규모 배터리 저장 장치를 도입하며, 송배전망을 스마트하게 관리하는 인프라 투자가 뒤따라야 한다. 'AI를 위한 에너지'가 결국 '기후테크를 성장시키는 자극제'로 작용하는 것이다.

AI는 또 다른 측면에서 기후위기 대응의 무기가 되고 있다. 전통적 방식으로는 그 흐름을 읽어내기 어려운 기후 데이터를 AI는 학습을 통해 기상이변을 예측하거나 에너지 사용 패턴을 분석해 효율을 극대화한다. 도시 냉방 수요 예측, 산불 모니터링, 산업단지의 에너지 최적화까지 AI의 적용 범위는 무궁무진하다. 단순한 기술 응용이 아니라 기후테크와 디지털이 융합하는 본격적인 전환점이다.

다만 자본의 흐름은 언제나 기회와 우려를 동시에 불러온다. AI 붐이 자본을 빨아들이면서 정작 기후테크에 대한 관심이 분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AI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기후테크가 동원되는 모양새라는 역설적 상황 때문이다. 그러나 이를 제로섬으로 볼 필요는 없다. AI 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려면 청정에너지와 효율적 전력망 같은 기후테크가 필수다. 반대로 기후테크가 더 빠르게 확산하려면 AI라는 엔진이 뒷받침돼야 한다. 경쟁이 아니라 공존의 구도로 바라볼 때 두 산업 모두 도약할 수 있다.

투자자와 정책 담당자는 어디에 주목해야 할까. 투자자라면 지금이야말로 AI 산업이 만들어낸 에너지 수요 문제를 해결할 스타트업을 발굴할 적기다. 재생에너지 발전, 대규모 저장 장치, 송배전망 효율화 같은 분야가 대표적이다. 단순히 '친환경'이라는 수식어에 그치지 않고 기술적 차별성과 시장성이 입증된 기업을 가려내는 안목이 중요하다.

정책 측면에서는 AI와 기후테크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폭증하는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를 감당하려면 송배전망 확충과 전원 믹스 다변화가 시급하다. 정부가 추진 중인 에너지고속도로 같은 대형 프로젝트는 산업 정책을 넘어 국가 생존전략이다. 또 AI-기후 융합 분야를 겨냥한 금융·세제 지원이 필요하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과 기후대응기금 확대 같은 제도적 변화는 이런 흐름에 발맞춰야 한다. 일관된 정책 신호와 장기적 비전이 확보돼야 투자자와 기업이 안심하고 뛰어들 수 있다.

AI의 급성장은 위기이자 기회다. 폭발적인 전력 수요는 분명 부담이지만 이를 기후테크와 연결한다면 산업 전환의 결정적 동력이 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두 산업을 따로 떼어 바라보지 않는 시각이다. AI라는 엔진에 기후테크라는 나침반을 장착하는 것, 그것이 우리가 불확실성의 바다에서 지속가능한 항로를 찾아낼 유일한 방법이다. 한국이 지금 이 전환기에 과감하게 투자하고 정책을 설계한다면, 단순한 추격자가 아니라 새로운 질서를 주도하는 기후테크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소풍벤처스 
  • 투자업종ICT서비스
  • 주력 투자 단계***
  • 자본금액***
  • 매출규모***
  • 투자자산***
  • 전문인력***
  • 투자 건수***
  • 총 투자 금액***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소풍벤처스'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 기자 사진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