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유치 어렵다는데…200~500억 조달한 이 스타트업들의 비결

최태범 기자 기사 입력 2024.03.04 13: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사진=임종철 디자이너
/사진=임종철 디자이너
벤처투자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기존 지분 인수 방식의 투자유치(Equity Financing)가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 스타트업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유형이 '벤처대출(Venture Debt)'이다.

벤처대출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대출 형태의 자금을 활용하는 것을 뜻한다. 지분율 변동 없이 자금을 확보할 수 있어 해외 많은 스타트업들이 이 방법을 택했다. 유명한 사례로 구글, 페이스북, 에어비앤비, 스포티파이 등이 있다.

4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국내에서도 벤처대출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에이블리는 지난해 벤처대출로 조달한 500억원을 바탕으로 첫 연간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마이리얼트립(500억원)과 홀썸브랜드(200억원) 등도 대규모 자금을 마련했다.

전기 오토바이 제작사 젠트로피는 지난해 6억원을 긴급 수혈해 공장 운영 자금을 마련할 수 있었다. 시중은행 3곳에서 쓴맛을 봤다는 주승돈 젠트로피 대표는 "사업계획서와 성장성만으로 벤처대출을 받아 급한 불을 끌 수 있었다"고 했다.

벤처대출을 활용한 한 스타트업의 대표는 "당초 계획했던 마일스톤을 아직 달성하지 못해 기업가치를 인정받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추가 투자유치보다는 기업가치나 지분에 변동이 없으면서도 런웨이를 연장할 수 있는 벤처대출이 유용했다"고 말했다.


지분 맡기고 '급전' 빌린다



국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벤처대출은 △투자조건부 융자 △조건부 지분전환계약 등 크게 2가지로 나뉜다. 투자조건부 융자는 은행과 신기술사업금융전문회사(신기사) 등 금융기관이 스타트업의 후속 투자유치 전까지 저금리 융자를 제공하고 신주인수권(BW)을 받는다.

투자유치 이력이 있으며 후속 투자가 예상되는 기업을 대상으로 이전 라운드나 최근 1년 이내 투자유치 금액의 일정 비율 안에서 대출이 이뤄진다. 대출금의 일정 비율만큼 신주인수권을 가져가지만 당장의 지분 희석은 일어나지 않는다.

조건부 지분전환계약은 기업가치 산정이 어려운 초기 스타트업에 먼저 대출을 해주고 추후 투자유치 시 지분 전환이 가능한 전환사채(CB)를 받는 방법이다. 후속 투자가 이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원리금으로 상환받을 수 있다.

정부와 국회는 성장성 있는 스타트업들의 자금경색을 막고 금융기관에도 지분 확보 권리 등 유인책을 부여해 창업 생태계 전체를 활성화하겠다는 취지로 벤처대출 제도화를 골자로 한 '선진 벤처금융기법'을 도입하고 지난해 12월 말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현장에선 '아직 대중화 어렵다'는 시각도



그동안 국내 스타트업이 벤처대출을 받은 경로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사모펀드 및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을 통해서다. 사모펀드로부터의 벤처대출은 조달 규모가 모두 100억원 이상으로 상당히 크기 때문에 후기 단계 스타트업이 주로 활용했다.

일정 금액 이상의 딜을 중심으로 취급한 것은 벤처대출에 대한 신주인수권 비율·담보·특약 등 여러 상품 조건을 구조화해야 하고 펀드 운용 인력의 노력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으로 보인다. 스타트업도 내부적으로 전문 재무담당 인력을 갖추고 있어야 했다.

비교적 소규모 벤처대출의 경우 기업은행을 통해 진행됐다. 기업은행은 지난해 1000억원 규모의 벤처대출 시범사업을 운영하며 기업당 최대 10억원을 제공했다. 협약 관계 투자사들의 추천을 받아 주로 시리즈A 단계의 기업이 평균 6억원 안팎을 받았다.

현장에서는 아직 벤처대출이 대중화되긴 쉽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스타트업의 재무 담당자는 "개인 대출도 여러 조건을 따지듯 기업도 마찬가지다. 벤처대출을 원하는 기업이 많지만 수익성·지속가능성 측면을 고려해 실제 집행이 이뤄진 사례는 많지 않다"고 전했다.


'조각투자'도 기업의 자금 조달 방안으로 부상



한편 제도권에 들어온 '조각투자'도 기업의 새로운 자금조달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례로 숙성 소고기 등을 제조·유통하는 스타트업 설로인은 미술품 조각투자 플랫폼 열매컴퍼니와 함께 한우 투자 자산에 대한 조각투자 청약을 준비 중이다.

설로인은 투자자들로부터 한우 매수 자금을 유치하고 명절 등 수요가 폭증할 때에 맞춰 한우를 확보해 육가공 상품을 생산·판매하는 방식을 택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우처럼 특정 시기에 수요가 몰리는 경우 기업 입장에서는 구매 대금이나 운전 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가 어렵다. 단지 구매 대금을 위해 지분을 희석하며 투자를 유치하기에는 투입해야 하는 노력과 부담이 크다.

이에 따라 빠르게 매출을 실현하고 단기 운전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조각투자가 효율적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올해 토큰증권발행(STO) 시장이 본격 개화기를 맞은 만큼 스타트업의 단기 운전자금 조달 수단으로 조각투자가 자리 잡을지 주목된다.

에이블리코퍼레이션  
  • 사업분야유통∙물류∙커머스, 엔터∙라이프스타일
  • 활용기술인공지능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에이블리코퍼레이션'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