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AI(인공지능) 기반 IP(지적재산권) 통합 서비스 기업 마크비전은 4800만달러(약 7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고 16일 밝혔다. 누적 투자금은 1200억원을 넘어섰다. 마크비전은 향후 글로벌 IP 서비스 시장 통합과 AI 기반 브랜드 보호 플랫폼 고도화에 한층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Peak XV(세쿼이아캐피탈 인디아 & SEA)가 주도했으며, HSG(세쿼이아캐피탈 차이나), 세일즈포스 벤처스, 코럴 캐피털, 와이콤비네이터 명예 파트너인 마이클 세이벨이 새롭게 참여했다. 기존 투자사인 와이콤비네이터, 알토스벤처스,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도 후속 투자를 이어갔다. Peak XV, HSG 등 세쿼이아캐피탈 그룹에 속해 있는 복수 투자사들이 동시 투자에 나선 것은 드문 사례다. 마크비전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글로
남미래기자 2025.09.16 09:59:45[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젠엑시스가 의료기기, 자율주행시스템,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애플리케이션 성능 검증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디바인테크놀로지'에 시드 투자했다고 15일 밝혔다. 투자금은 비공개다. 젠엑시스 측은 "이번 투자는 AI(인공지능)와 시뮬레이션 기술을 결합해 혁신 제품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디바인테크놀로지의 성장 잠재력에 주목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디바인테크놀로지는 의료기기 밸브·스텐트 성능 시험을 지원하는 AI·시뮬레이션 플랫폼과, 언리얼(Unreal) 엔진을 활용해 자율주행차·ADAS 시스템 안전성을 가상 환경에서 검증하는 시뮬레이터, 오토사르(AUTOSAR) 표준 기반 SDV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플랫폼 등을 개발 중이다.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자율주행, SDV 애플리케이션 검증뿐 아니라 국방 무인이동체·로봇·드론
류준영기자 2025.09.15 18: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라이브커머스 솔루션 기업 모비두가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의 변화에 발맞춰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다. 유명 인플루언서 중심의 단발성 퍼포먼스 마케팅에서 벗어나 구매 전환률이 높은 마이크로·나노 인플루언서와 협업하는 제휴 마케팅 모델을 확대하는 전략이다. 이윤희 모비두 대표는 최근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전문 미디어 '유니콘팩토리'와 만나 "크리에이터 제휴 마케팅을 통해 올해 말 늦어도 내년 초까지 손익분기점(BEP)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모비두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라이브커머스 솔루션 사업으로 피벗해 제2의 도약을 시작했다. 삼성전자 출신인 이 대표는 2013년 회사를 세운 이후 비가청 음파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쿠폰·결제 서비스를 선보이며 롯데 등 대기업 투자를 끌어냈으나 가맹점 확보 장벽에 부딪히며 사업모델 전환을 선택했다.
김진현기자 2025.09.15 10: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투자파트너스가 미국 양자컴퓨팅 기업 퀀티넘(Quantinuum)에 약 110억원(800만 달러)을 투자했다. 해외 유망 스타트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며 글로벌로 투자 영역을 넓히고 있다. 13일 벤처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파트너스는 '핵심 역량 레버리지2 펀드'를 통해 퀀티넘에 투자했다. 이 펀드의 설정액은 3500억원으로 한국투자파트너스가 운용 중인 펀드 중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이번 투자는 투자본부 김민규 상무가 담당했다. 김 상무는 소프트디에스피, 삼성종합기술원, 삼성전자를 거쳐 한국투자파트너스에 합류했다. 주로 디지털·딥테크 기업 발굴에 주력한다. 국내뿐 아니라 해외 기업 발굴 경험이 풍부한 심사역이다. 이토로(eToro), 심플렉스, WIAV 솔루션 등 다양한 해외 기업에 투자한 경험이 있다. 암호화폐 거래사업을 하는 이토로는 나스닥에 상장하기도 했
김진현기자 2025.09.13 12: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통신 종합 플랫폼 모요가 아이폰17 재고알리미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12일 밝혔다. 이날 오후 9시부터 국내 주요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에서 애플 아이폰17 시리즈 사전예약이 시작된다. 아이폰 신제품은 매번 인기 모델과 색상이 단시간에 품절돼 소비자들이 원하는 모델을 제때 확보하기 어려웠다. 모요의 재고알리비 서비스는 쿠팡·11번가·SSG 등 주요 오픈마켓의 자급제 재고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KT·SKT·LGU+ 공식 대리점의 초기 물량을 선착순 특가로 제공한다. 불필요한 기다림 없이 원하는 제품의 재고 알림을 빠르게 받아 구매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모요는 2021년 8월 설립한 통신 종합 플랫폼이다. 알뜰폰 요금제 비교 서비스로 시작해 현재는 휴대폰·요금제·인터넷 등 통신 전 영역을 아우르는 서비스로 확장했다. 소비자는 모요를 통해 다양한 통신
남미래기자 2025.09.12 14: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글로벌 AI(인공지능) 시장분석기관 CB인사이트가 업스테이지, 디노티시아, 베슬AI 등 한국 스타트업들을 주목할만한 AI 에이전트 기업으로 꼽았다. 12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CB인사이트는 지난달 말 독자적으로 확보한 정량 지표와 모자이크 점수를 기반으로 전 세계 민간 AI 기업 중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갖춘 135개사를 선발했다. 국내 기업 중에선 업스테이지, 디노티시아, 베슬AI가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업스테이지는 '컨텍스트(Context)' 영역의 '대형언어모델(LLM) 데이터 준비 플랫폼' 분야에 선정됐다. 해당 분야는 AI 에이전트가 구조화된 데이터와 임베딩을 바탕으로 정보를 유지·검색·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디노티시아는 '컨텍스트' 영역 내 '벡터 데이터베이스' 분야에 이름을 올렸다. 벡터 데이터베이스는 의미 기반 정보
남미래기자 2025.09.12 11: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NPU(신경망처리장치) 설계 스타트업 퓨리오사AI는 전날 열린 오픈AI 코리아의 개소식 행사에서 자사의 2세대 반도체 '레니게이드'를 활용해 'gpt-oss 120B' 모델 기반의 챗봇을 시연했다고 12일 밝혔다. 퓨리오사AI가 시연한 오픈AI의 gpt-oss 120B는 오픈AI가 공개한 오픈소스 기반의 파운데이션 모델이다. MoE(전문가 조합) 구조를 적용해 성능과 효율을 구현한 모델이다. 퓨리오사AI는 레니게이드가 탑재된 카드 보드 두 장만으로 해당 모델 기반의 챗봇을 실시간으로 작동시켰다. 퓨리오사AI 측은 두 장의 NPU 카드로 1200억 매개변수 모델 기반의 챗봇을 구동해 성능과 전력 효율성을 입증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퓨리오사AI 관계자는 "업계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오픈AI 코리아 개소식 행사에 AI 인프라 기업 중에서는 유일하게 시연을 초청받았
고석용기자 2025.09.12 10:43:04[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AI 인프라 솔루션 기업 모레(MOREH)가 9~11일(현지시간) 미국 산타클라라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AI 인프라 서밋 2025'에서 AMD 기반 분산 추론 시스템을 선보이고, 텐스토렌트(Tenstorrent)와 SGLang과의 협업 성과를 공개했다. 올해 행사에는 100개 이상의 글로벌 IT 기업과 3500여 명이 참여해 하드웨어·시스템, 엔터프라이즈 AI, 엣지 AI, 데이터센터 분야의 최신 기술과 전략을 공유했다. 모레 조강원 대표는 10일 엔터프라이즈 AI 세션에서 발표를 통해 엔비디아 대비 효율적으로 최신 대형 모델을 최적화한 벤치마크 결과를 공개하고, 텐스토렌트 하드웨어와 결합한 차세대 AI 반도체 시스템을 소개했다. 또 가격 경쟁력 있는 AI 컴퓨팅 대안을 제시하며 북미 시장 중심의 글로벌 진출 전략을 강조했다. 모레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SGLan
류준영기자 2025.09.11 18: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업 비피엠지(BPMG)가 운영하는 젬허브(GemHUB) 프로젝트는 메인넷 소니움(Soneium)과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고 11일 밝혔다. 소니움은 소니 그룹 계열사인 소니 블록 솔루션 랩스(Sony Block Solutions Lab)가 운영하는 레이어2 메인넷이다. 이번 제휴로 양사는 비피엠지가 운영하는 젬허브(GemHUB) 프로젝트에 소니움 메인넷을 적용하고, 글로벌 웹3 시장에서 생태계 확장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젬허브 프로젝트의 핵심은 연내 출시를 목표로 개발중인 웹3 기반 차세대 소셜 플랫폼 '팝플러스(Poplus)'다. '팝플러스'는 소셜미디어(SNS)처럼 관심사를 공유하는 플랫폼으로 이용자가 직접 다른 이용자의 콘텐츠를 평가하고, 측정한 활동 지표에 따라 젬허브 토큰을 보상으로 받는 구조다. 이러한 보상 구조는 공개된 데이터에 기반해 운
김건우기자 2025.09.11 17: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출신 파트너들이 뭉쳐 설립한 LLC형 벤처캐피탈 케이런벤처스가 처음으로 삼성전자 출신이 아닌 심사역을 영입했다. 운용자산(AUM) 규모가 커지면서 출신 배경과 관계없이 인력 충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11일 벤처투자업계에 따르면 케이런벤처스는 최근 유환기 심사역을 영입했다. 유 심사역은 중앙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LG전자에서 제조·유통 현장과 플랫폼 협업 등 다양한 경험을 쌓았고 이후 신기술사업금융회사 엔베스터를 거쳤다. 케이런벤처스에서는 ICT와 딥테크 분야를 중심으로 딜 소싱과 심사 업무를 맡을 것으로 보인다. 케이런벤처스는 2015년 삼성전자 출신의 김진호 대표, 권재중 고문, 김정현 대표가 의기투합해 설립했다. 김진호 대표는 삼성전자 전략기획실과 넥스트인베스트먼트를 거쳐 IT,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투자를 이어왔으며, 김정현 대표는 삼성전
김진현기자 2025.09.11 16: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