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中企 문제 해결사'이자 '1세대 교수창업가'의 새도전

류준영 기자 기사 입력 2025.11.11 05: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머투초대석]이건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총장은 누구

이건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총장/사진=DGIST
이건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총장/사진=DGIST

2023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제5대 총장에 취임한 이건우 교수는 한국 공학계를 대표하는 학자다. 서울대에서 기계공학을 공부한 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고, 그곳에서 연구자로 첫발을 내딛었다. 이후 일리노이대와 서울대에서 연구와 교육을 이어가며 국제 학계에서 이름을 알렸다.

그는 단순히 연구만 하는 과학자가 아니었다. 이 총장은 아시아인 최초로 캐드(CAD) 분야 국제학술지 'CAD 저널'의 편집장을 맡아 글로벌 공학 연구의 기준을 만들었다. 산학 협력 분야에서도 다양한 성과를 냈다. 가발 기업 하이모의 핵심 경쟁력으로 평가받는 '3D 스캐너 시스템'은 그의 연구실에서 나온 작품이다. 이 총장이 서울대 공대 학장 시절 세운 '공학컨설팅센터'는 중견·중소기업이 겪는 기술 난제를 교수와 연구자가 함께 풀어가는 통로가 됐다.

이 총장은 교수로서 연구실을 지키는데 만족하지 않고, 과감히 창업에도 뛰어들었다. 2002년 3차원(3D) 신체 측정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맞춤형 제품 제작 솔루션을 공급하는 'K&I테크놀로지'를 설립했고, 2003년에는 미국에서 척주 질환 치료용 의료기기를 개발하는 '스파인 알 키네틱'을 연이어 창업했다. 두 회사는 이후 M&A(인수합병)을 통해 성공적으로 엑시트(투자회수)했다. 이런 성과로 그는 국내 '1세대 교수 창업가'로 평가받고 있다.

이건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총장/사진=DGIST
이건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총장/사진=DGIST

이밖에 이 총장은 △대한민국 올해의 기계인(2024년, 한국기계기술단체총연합회) △대한민국학술원상(2021년, 대한민국학술원) △창조장(1등급)(2018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경암학술상(2006년, 경암교육재단) 등을 수상하며, 공학 연구와 산업 혁신에 기여한 성과를 폭넓게 인정받았다.

이 총장은 "DGIST를 세계와 연결하고, 연구성과가 실험실에 머무르지 않도록 산업과 사회로 빠르게 이어지게 하겠다"며 "연구가 바로 혁신이 되고, 혁신이 산업이 되는 대학을 만들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약력 △1955년생 △서울대 기계공학 학사 졸업 △MIT 대학원 기계공학 석사·박사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서울대 공과대학 학장 △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초대원장△국가과학기술심의회 공과대학혁신특별위원회 위원장△미국기계학회(ASME) 석학회원 △옥스포드 프레스 편집위원장△서울대 기계공학부 명예교수.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