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벤처투자 대기자금 34.6조…한국투자파트너스 4년 연속 1위

김진현 기자 기사 입력 2025.08.11 06: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국내 벤처캐피탈(VC) 업계 투자잔액(드라이 파우더)은 34조603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29조7548억원)보다 16.3% 증가하면서 투자를 위한 가용 재원은 지난해 대비 확대된 모습이다.

10일 머니투데이가 한국벤처캐피털협회 공시자료를 집계한 결과, 회원사 가운데 드라이 파우더가 가장 많은 VC는 한국투자파트너스로 1조6855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투자파트너스는 2022년부터 4년 연속 드라이 파우더를 가장 많이 보유한 VC로 꼽혔다.

올해 상반기 한국투자파트너스는 1298억원을 투자해 IMM인베스트먼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투자실적을 기록했음에도 여전히 충분한 대기자금을 보유하고 있다. 투자 잔액은 1조6855억원으로 펀딩·투자·회수가 균형 있게 이뤄지면서 업계 내 확고한 입지를 구축한 결과다.

한국투자파트너스는 2021년 1100억원 규모의 '한국투자 ESG뉴딜펀드'를 결성한 이후 업계에서 드라이 파우더 1위에 올랐다. 이어 4830억원 규모의 플래그십 펀드인 '한국투자 Re-Up II 펀드'를 결성하며 벤처캐피탈 업계 내 최대 수준의 드라이 파우더를 확보한 운용사로 자리매김했다.

여기에 지난해 12월부터 펀딩을 시작해 올해 6월 최종 클로징한 3500억원 규모의 '한국투자 핵심역량 레버리지 II 펀드'가 추가되면서 가용 재원은 더욱 확대됐다. 한국투자파트너스 관계자는 "지난해 12월부터 펀딩을 진행해 6월 최종적으로 클로징한 펀드가 추가되며 드라이 파우더가 늘어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국투자파트너스에 이어 KB인베스트먼트(1조1362억원), IMM인베스트먼트(1조205억원) 등도 1조원 이상의 드라이 파우더를 보유하고 투자 대상 기업을 물색 중이다. KB인베스트먼트는 지난해 말 처음으로 1000억원 규모로 '스타트업 코리아 케이비 세컨더리 펀드'를 결성하면서 투자 대기자금 1조원을 돌파했다. IMM인베스트먼트는 올해 1월 3815억원 규모의 '아이엠엠 Growth 벤처펀드 제2호' 결성을 통해 드라이 파우더를 확보했다.

2023년 83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던 에이티넘 인베스트먼트(9903억원)가 4위를 기록했고 올해 초 벤처캐피탈협회장에서 물러난 윤건수 대표가 이끄는 DSC인베스트먼트가 7682억원으로 5위를 차지했다. DCS인베스트먼트는 2022년 2480억원 규모의 '디에스씨홈런펀드제1호'를 결성했고 지난해 3000억원 규모의 세컨더리 펀드 결성에 성공하면서 펀드 잔액을 두둑이 쌓았다.


2025년 상반기 VC 투자 잔액 순위 /그래픽=이지혜
2025년 상반기 VC 투자 잔액 순위 /그래픽=이지혜


그룹 계열 VC들의 약진도 눈에 띈다. 미래에셋벤처투자는 7658억원의 드라이 파우더로 6위를 차지했다. 결성한 3000억원 규모 '미래에셋 AI 프론티어 투자조합'에는 계열사인 미래에셋증권이 300억원을 출자해 힘을 보탰다. 신한벤처투자는 6921억원의 투자 잔액으로 9위에 이름을 올렸다. 2020년 신한금융그룹 편입 이후 2000억원대 펀드 3개를 연이어 결성하면서 투자 여력을 크게 확대한 덕분이다.

인터베스트는 2023년 결성한 3122억원 규모 '인터베스트딥테크투자조합'의 영향으로 7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레이시아 국부펀드 산하 일함캐피탈(ILHAM Capital)과 함께 결성한 1047억원 규모 글로벌 기술혁신 펀드도 드라이 파우더가 증가한 배경이다.

LB인베스트먼트는 범LG가 3세인 구본천 부회장이 최대 주주인 엘비(LB)가 모회사다. 6월 3030억원 규모 '엘비넥스트퓨처펀드'를 결성하며 8위에 올랐다. 이 펀드는 산업은행, 국민연금, 행정공제회, 군인공제회 등 주요 LP의 출자를 받아 조성됐다. LB인베스트먼트의 펀딩 역량을 입증한 펀드다.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는 지난해 2652억원 규모 '스마일게이트혁신성장펀드', 250억원 규모 '스마일게이트로켓부터3호' 등을 결성하며 10위에 올랐다. 최대주주는 스마일게이트홀딩스의 싱가포르 계열사인 Smilegate Investment Group Pte다.

한국투자파트너스 
  • 투자업종ICT서비스
  • 주력 투자 단계***
  • 자본금액***
  • 매출규모***
  • 투자자산***
  • 전문인력***
  • 투자 건수***
  • 총 투자 금액***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한국투자파트너스'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