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에 방문한 샘 올트먼 오픈AI CEO(최고경영자)가 SK그룹, 삼성전자, 카카오, 크래프톤, AI(인공지능) 스타트업 등 기업들을 차례대로 만나며 AI 인프라, 투자, 서비스 등을 폭넓게 논의했다. 다만 일본, 인도 등과는 달리 정부 고위관계자들과의 만남은 없어 정치 불안 속에서 '코리아 패싱'이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
고석용기자,남미래기자 2025.02.04 17:32:28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샘 올트먼 오픈AI CEO(최고경영자),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4일 3자 회동을 가지고, AI(인공지능) 인프라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이날 오후 올트먼 CEO와 손 회장은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방문해 이 회장과 AI 사업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올트먼은 지난 3일 밤, 손 회장은 이날 오전 김포공항을 거쳐 입국했다. 손 회장은 이날 서초사옥을 방문하며 취재진과 만나 "스타게이트의 개선(업데이트)과 삼성전자와 잠재적 협력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이라...
김남이기자,김호빈기자 2025.02.04 16:30:00챗GPT로 전세계적인 AI(인공지능) 경쟁을 촉발한 오픈AI가 머지않아 하드웨어 산업을 넘볼 전망이다. 스마트폰 다음의 AR·XR(증강·확장현실) 기기는 물론 로봇과 양자컴퓨터까지 관심을 두고 있다. 3일(현지시간) 미국 IT(정보기술) 매체 테크크런치 보도에 따르면, 오픈AI는 미국 특허청(USPTO)에 몇몇 제품의 상표 등록 신청서를 제출했다. 기업의 상표 등록 자체로는 큰 의미가 없지만, 세계 AI 산업을 선도해 온 오픈AI가 중장기적으로 출시를 염두에 둔 제품 라인업을 암시한다는 점에서 눈에 띈다고 테크크런치는 강조했다....
변휘기자 2025.02.04 15:10:29[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최고경영자)가 4일 한국에서 국내 AI(인공지능) 스타트업과 개발자 워크숍을 진행한다. 행사에는 뤼튼테크놀로지스, 라이너, 와들 등 국내 생성형 AI 서비스 스타트업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오픈AI는 4일 서울 모처에서 개발자 워크숍 '빌더랩'을 개최한다. 오픈AI의 GPT-4나 o1 등 LLM(거대언어모델)의 API(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
고석용기자,남미래기자,박기영기자 2025.02.03 15:07:53챗GPT(Chat GPT)를 만든 오픈AI가 3일 새로운 심층 추론모델 '딥 리서치(Deep Research)'를 출시했다. 샘 올트먼 CEO(최고경영자)가 일본을 방문하던 도중 회사가 생중계로 깜짝 발표하는 방식으로 공개한 것. 최근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을 의식한 듯 오픈AI는 딥리서치가 가장 어려운 AI 성능 평가에서 딥시크의 추론모델 R1 대비 3배 높은 정확도를 자랑한다고 홍보했다. 오픈AI는 이날 올트먼 CEO가 일본 도쿄 일정을 이어가던 중 온라인 생중계 발표로 "새로운 AI 에이전트 딥리서치...
김하늬기자 2025.02.03 16:22:53샘 올트먼 미국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스마트폰을 대신할 새로운 개념의 인공지능(AI) 전용 단말기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3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지난달 27일 닛케이와 인터뷰에서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그는 "AI는 컴퓨터와의 접촉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기 때문에 새로운 단말기가 필요하다"면서 시제품 공개까지는 수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그가 말하는 오픈AI 단말기의 핵심은 '음성 조작'이다. 애플이 손가락으로 스마트폰을 조작하는 방법으로 유저 인터페이스(UI·사...
이영민기자 2025.02.03 19:30:00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가 지난해 데이터 유출 사건이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와 연관 있을 수 있다며 관련 조사를 시작했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MS의 보안 쪽 관계자를 인용해 "지난해 가을 오픈AI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이용해 대량의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된 정황을 포착했는데, 이게 딥시크와 관련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API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오픈AI의 인공지능(AI) 모델을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에 통합할 수 있도록 유료 라이선스를 제공하...
김하늬기자 2025.01.30 09:30:00AI(인공지능) 붐을 일으킨 '챗GPT'를 만든 오픈AI가 미국 정부와 손잡고 '적대 국가'로부터 기술 탈취당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냈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챗봇이 공개된 뒤 미 백악관까지 나서 국가안보 우려를 언급하는 등 급박히 돌아가는 상황에 발맞추는 행보로 풀이된다. 2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오픈AI는 "중국 기업들이 자체 AI 개발을 위해 끊임없이 미국의 경쟁업체들을 활용하려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성명에서 오픈AI는 "AI의 선도 업체로서 우...
김하늬기자 2025.01.30 14:00:00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공개한 저비용 인공지능(AI) 챗봇 충격으로 27일(현지시간) AI 대장주 엔비디아가 17% 급락하는 등 뉴욕증시에서 대형 기술주가 일제히 약세를 보인 가운데 그동안 생성형 AI의 대표로 통했던 오픈AI의 챗GPT와 딥시크 R1을 비교한 글이 뒤늦게 화제다.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는 지난 21일 챗GPT o1 프로와 딥시크 R1에 '회전하는 삼각형 안에 들어있는 빨간색 공을 구현해달라'고 요구했다는 게시글이 올라왔다. 게시자는 이와 함께 챗GPT와 딥시크가 구현한 결과를 첨부했다. 딥시크가 지난 20...
심재현기자 2025.01.28 18:00:45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고성능 칩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저비용으로 챗GPT에 필적하는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하면서 AI 개발에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부어온 미 빅테크업계는 물론 국가 안보를 이유로 중국에 반도체 수출을 제한해왔던 미 정부도 충격에 휩싸였다. 미국과 옛 소련의 우주개발 경쟁이 치열했던 1957년 소련이 최초의 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미국보다 먼저 발사한 것을 빗댄 "AI 분야의 '스푸트니크 모멘트'"라는 평가까지 나온다. 딥시크의 AI 모델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개선할 수 있는 ...
심재현기자 2025.01.28 09:5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