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사진제공=라이드플럭스라이드플럭스가 국내 최초로 레벨4 자율주행 기반 카셰어링 서비스 상용화에 나선다.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기업 라이드플럭스는 25일 경기도 화성시 자율주행 리빙랩(실증도시)에서 레벨4 자율주행 카셰어링 서비스 실증 및 시민 대상 운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레벨4는 운전자 개입 없이 차량이 주변 환경을 인지해 스스로 주행하는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의미한다.
이번 사업은 한국교통연구원이 주관하고 쏘카(11,490원 0.00%), 세스트, 엔제로, 한양대학교 등이 참여하는 국책과제 '자율주행 Lv.4/4+ 공유차 서비스 기술 개발'의 일환이다. 2022년 착수한 해당 과제는 1단계 요소기술 개발(2022~2023년), 2단계 통합기술 개발(2024~2025년)을 거쳐 2026년부터 일반 시민 대상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 라이드플럭스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과 카셰어링 시스템 설계·구축, 서비스 운영 등을 맡고 있다.
라이드플럭스는 내년 3월부터 화성시 새솔동·남양읍·마도면 일대에 KG모빌리티(3,265원 ▲15 +0.46%) 토레스EVX 기반 자율주행 차량 10대를 투입해 실증 서비스를 시작한다. 2027년까지 총 20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실증은 지역 거주자 및 근무자를 대상으로 사전체험단을 모집해 진행하며 이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예약·반납할 수 있는 프리플로팅 호출형 방식으로 운영된다. 초기 단계에서는 안전요원이 차량에 동승한다.
강경표 한국교통연구원 자율협력주행기술연구팀장은 "자율주행 카셰어링이 상용화되면 자가용 의존도 감소, 탄소배출 저감, 주차난 해소, 교통약자 이동권 보완 등 다양한 공공적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라이드플럭스는 이번 과제 외에도 자율주행 서비스 지역을 전국으로 넓히고 있다. 제주, 세종, 부산에 이어 최근 서울에서 자율주행버스 운영을 시작했으며, 연내 수도권 및 지방 주요 도시로 확장할 계획이다.
박중희 라이드플럭스 대표는 "이번 실증은 완전 무인 자율주행 카셰어링 상용화를 향한 출발점"이라며 "대규모 실증 경험을 기반으로 한국형 자율주행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