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라이드플럭스 자율주행 화물트럭이 도심 일반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모습 /사진=라이드플럭스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제주로지스틱스와 '제주삼다수 유상 자율주행 화물운송 실증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제주도 내 자율주행 기반 화물운송 산업 육성을 위해 추진됐다. 자율주행 기술 개발과 실증, 시범 운행, 사업화 기반을 마련하고 물류 산업의 오랜 과제였던 완전한 허브 투 허브(hub-to-hub) 화물운송을 본격화한다는 목표다.
기존 대형트럭 화물운송이 제조사(화주)에서 물류사, 운송사 등 여러 중간 단계를 거쳐 이뤄졌던 것과 미들마일(공장에서 생산된 상품을 물류센터 및 고객사로 운송하는 기업 간 거래) 자율주행 화물운송을 실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라이드플럭스 관계자는 "고속도로를 넘어 복잡한 도심 일반도로까지 자율주행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제조사는 운송 비용 절감, 기사 인력 부족 문제의 해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했다.
라이드플럭스는 이번 실증에서 맥쎈 25톤 자율주행 화물트럭 1대를 투입한다. 제주 스마트물류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내 제주삼다수 본사 공장에서 회천물류센터까지 15.7km 구간을 1일 1회 편도 운행한다.
실증 구간에는 신호 교차로, 비보호 좌회전 등 복잡한 일반도로가 포함돼 있어 지금까지 고속도로에 한정됐던 대형 자율주행 트럭의 운행 범위를 도심 일반도로까지 확장하는 기술력 검증의 장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라이드플럭스는 앞서 군산~전주 구간 25톤 자율주행 트럭 실증과 고속도로 시범운행지구 협약 체결 등을 통해 기술력을 검증했으며, 이번 제주삼다수 실증을 바탕으로 미들마일 유상 화물운송의 상용화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박중희 라이드플럭스 대표는 "제주삼다수 실증 사업은 미들마일 화물운송 시장에서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를 앞당기는 중요한 발판"이라며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자율주행 화물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