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2023년 12월, 서울의 한 영화관 /사진=머니S지난 2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한국벤처투자의 경영 관련 비위 의혹이 도마에 올랐다. 특히 최근 퇴임한 신상한 전 대표 직무대행이 자신의 입맛에 맞게 투자처를 고르고, 내부 인사에 과도한 영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의혹을 제기한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신 전 대행이 정치 성향에 맞춰 자펀드 운용사를 압박한 게 아니냐고 지적했다. 한국벤처투자가 자펀드 운용사인 쏠레어파트너스가 영화 '서울의 봄'에 투자하자 돌연 운용을 중단시켰다는 것. 이 과정에서 한국벤처투자는 4차례에 걸쳐 쏠레어파트너스의 규약 위반 관련 법률 자문을 받았는데 모두 '위반이 아니다'는 결과를 받고도 운용 중단을 강행했다.
김 의원은 신 전 대행이 조직 인사평가에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했다고도 지적했다. 인사평가에서 대표 몫과 부대표 몫을 혼자서 모두 행사하고, 이에 대한 배점도 기존보다 3배로 늘렸다는 지적이다. 김 의원은 "신 전 대행이 회사를 자기 마음대로 주물렀다"고 꼬집었다.
사실 한국벤처투자의 경영 잡음은 신 전 대행 이전부터도 있었다. 매년 1조원 안팎의 예산을 움직이지만 의사결정 과정이 대부분 비공개란 점이 잡음을 키운다. 자펀드 운용사 심사 내용·과정, 회수 자펀드별 성과 등이 대표적인 비공개 사항이다. 그러다 보니 정권을 가리지 않고 외압 의혹이 반복된다. 법정 공방 끝에 사실이 아니란 판결이 나오기도 하지만 이미 퍼진 소문과 의혹은 조직에 대한 불신을 키운다.
한국벤처투자 측은 벤처투자시장이 증권시장과 달리 공개 의무가 없는 비공개 시장이라고 해명한다. 그러나 핑계에 불과하다. 모태펀드는 개인·법인이 자금을 댄 사모펀드가 아닌 국민의 예산으로 결성한 펀드다. 예산을 출자한 각 부처에 정보를 제공하는 만큼 추가 공개가 필요 없단 해명도 궁색하다. 스스로가 예산을 운용하는 기관이란 존재 이유를 부정하는 꼴이다.
이재명 정부는 '제3 벤처붐'을 위해 내년 모태펀드 출자예산을 올해보다 2배 늘어난 2조원으로 늘리겠다고 했다. 이를 운영할 한국벤처투자의 책임도 2배 늘어나야 한다. 책임은 투명한 정보 공개에서 시작된다. 제3 벤처붐의 핵심 기관이 될 한국벤처투자의 투명성도 2배 늘어나길 기대해본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