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벤처투자와 중소벤처기업부가 27일 '모태펀드 미래 전략 포럼'을 열고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한 모태펀드의 투자, 회수, 재투자 등 선순환과 장기간 투자하는 '인내자본'으로서의 역할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모태펀드의 향후 방향성과 국내 AI(인공지능)·바이오 등 딥테크 스타트업 육성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에는 자본시장연구원, 중소벤처기업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 정책 기관과 TMRS(미국텍사스주퇴직연금), PWC, 프리미어파트너스, SV인베스트먼트, 슈퍼브에이아이, 업스테이지, 디앤디파마텍 등 기업들이 참가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모태펀드의 벤처투자 플랫폼 역할 강화 방안이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글로벌 연기금의 벤처생태계 투자전략을 공유하며 이를 국내 시장에 접목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연기금, 해외자본 등 민간 자금의 유입과 모태펀드의 투자, 회수, 재투자 순환 구조가 지속 가능한 벤처생태계의 핵심이라는 점을 재확인했다.
모태펀드가 비수도권 벤처투자를 통해 지역 경제의 플랫폼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참석자들은 지역 특화기업 중심의 투자가 지역 경제 회복과 일자리 창출의 모멘텀이 될 수 있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AI·바이오 등 딥테크 스타트업들 주도로 미래 전략산업 육성 방안이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대규모 자금이 장기간 투입돼야 하는 AI·딥테크 기업 특성상 모태펀드가 인내자본의 역할을 해 기업들이 성장할 때까지 자본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창업 단계부터 스케일업까지 성장 단계별 대규모 집중 투자를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이 가속화되는 상황 속에서 벤처·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유니콘으로 성장하도록 폭넓게 뒷받침한다는 취지다.
이대희 한국벤처투자 대표는 "모태펀드라는 성공적인 모델을 바탕으로 국내 벤처투자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해왔다"며 "국정과제인 연 40조원 규모의 벤처투자 시장 육성을 위해 모태펀드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혁신 벤처·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전략을 구체화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