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공극 없는 3D프린팅·흡입식 mRNA 백신, 혁신 잠재력 높다"

최태범 기자 기사 입력 2025.09.19 06: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4대 과학기술원 사업화 유망기술 공동설명회 '2025 테크마켓' 개최
카이스트 손훈 교수·박지호 교수 개발 신기술 소개
AI·빅데이터 기반 사업화 유망성 탐색 플랫폼 '아폴로'로 분석해보니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디자이너' 생성 이미지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디자이너' 생성 이미지
"두 기술 모두 각 분야에서 혁신적인 잠재력을 갖고 있으며, 시장의 수요와 성장 가능성이 높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AI(인공지능)·빅데이터 기반 공공연구개발(R&D) 성과 분석 플랫폼 '아폴로(Apollo)'가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의 손훈 건설및환경공학과 교수 및 박지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의 기술에 대해 분석한 결과다.

두 교수는 다음달 16일 서울 코엑스에서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는 '4대 과학기술원 공동 2025 테크마켓'에서 자신의 기술에 대해 상세히 발표할 예정이다.

테크마켓은 카이스트를 비롯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 4대 과학기술원이 한데 모여 통합형으로 진행하는 사업화 유망 기술 설명회다. 4대 과학기술원의 혁신기술이 각 2개씩 총 8개 출품된다.

손훈 교수는 '금속 DED 3D 프린팅 실시간 모니터링 및 공정제어', 박지호 교수는 '흡입 전달용 mRNA 입자 플랫폼' 관련 기술을 각각 선보인다.

손 교수의 기술은 기존 금속 3D 프린팅의 공극(기공)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핵심이다. 금속 3D 프린팅을 하면서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 이상 여부를 검사·관리하고, 레이저를 쏘아 재료 내부를 공극이 없는 균일한 형태로 변화시킨다.

박 교수의 기술은 주사제가 아닌 간편한 흡입 방식으로 mRNA 백신의 접종 편의성과 효과성은 높이면서도 부작용을 줄인다. mRNA와 다른 약물을 동시에 전달해 시너지 효과를 내는 치료제로도 확장 가능성이 있다.

/그래픽=임종철
/그래픽=임종철
KISTI 아폴로팀은 손 교수의 기술에 대해 "열화상 분석과 레이저를 이용한 미세구조 제어 기술로 금속 적층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극과 균열 등 결함을 실시간으로 검출·보정할 수 있어 차세대 고신뢰성 금속 3D 프린팅 제조의 핵심 원천기술로 높이 평가된다"고 했다.

아폴로는 이 기술과 연관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제품명으로 '3D 프린터'를 선정해 관련 시장을 분석하고 국내에는 올해 2950억원 정도의 시장 규모가 있다고 봤다. 기술 수요가 예상되는 기업으로는 △캐논코리아 △애니셀 △딜리 (983원 ▲3 +0.31%) 등을 제시했다.

이어 "기술의 응용이 가장 기대되는 분야는 정밀 부품 제조, 고내구성 산업용 부품 수리, 항공·에너지용 대형 금속 부품 제작"이라며 "상용화에 적합한 수요기업은 전자부품, 컴퓨터와 주변장치 제조, 영상·음향·통신장비 제조업 분야의 기업들"이라고 덧붙였다.

박 교수의 기술에 대해선 "최근 활발히 연구개발이 진행 중인 차세대 면역 항암 분야의 기술"이라며 "기존 면역 세포치료제 대비 생산 공정 단순화와 비용 절감, 환자 맞춤형 신속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아폴로에 따르면 흡입 mRNA 치료제 관련 제품 시장은 올해 4029억원 정도의 국내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연간 9.48%의 성장률을 보이는 가운데 27개사의 기업이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수요기업으로는 기존 면역항암제 기업뿐 아니라 세포치료제 개발 기업, 바이오 신약 스타트업, CRO(임상시험수탁) 기업 등을 추천했다. 구체적으로는 △JW중외제약 (22,150원 ▲150 +0.68%)지씨셀 (19,960원 ▼90 -0.45%)조아제약 (1,180원 ▲8 +0.68%) 등 완제의약품 제조업 관련 기업들을 제안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테크마켓'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