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조기진단 내시경·층간소음 중재 AI…혁신성·확장성 뛰어난 신기술

류준영 기자 기사 입력 2025.09.30 06: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4대 과학기술원 사업화 유망기술 공동설명회 '2025 테크마켓' 개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송철·임용섭 교수팀 신기술 소개
AI·빅데이터 기반 사업화 유망성 탐색 플랫폼 '아폴로'로 분석해보니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아폴로 분석을 표현한 이미지/자료=게티이미지뱅크
아폴로 분석을 표현한 이미지/자료=게티이미지뱅크

"현미경과 AI 융합 내시경은 의료 현장을 넘어 반도체·디스플레이까지 확장할 수 있다. AI 중재 플랫폼(스테이윗)은 층간소음 갈등 해결사를 넘어 우리 사회 전반에서 필요한 소통 플랫폼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지녔다."

AI·빅데이터 기반 사업화 유망성 탐색 플랫폼 '아폴로(Apollo)'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의 대표 기술 2건을 분석한 결과다. 이들 기술은 오는 10월 16일 서울 코엑스 A홀에서 열리는 '2025 테크마켓'에서 처음 공개된다. 이번 행사는 국내 4대 과학기술원(KAIST·GIST·DGIST·UNIST)이 보유한 첨단 기술을 한자리에서 선보이는 자리다.

기술 분석은 스타트업 전문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 의뢰해 진행했다. 아폴로는 공공 연구개발(R&D) 성과를 AI와 빅데이터로 분석해 사업화 성공 가능성을 사전에 검증하는 플랫폼이다.

첫 번째 기술은 송철 DGIST 교수팀이 개발한 '공초점 내시현미경 시스템 기술', 일명 '초소형 현미 내시경'이다.

아폴로에 따르면 이 기기는 세포 조직을 비춘 뒤 반사된 빛의 위상을 정렬해 기존보다 선명하고 깊이 있는 이미지를 구현한다. 또 광학 섬유에 고분자 박막을 적용해 영상 왜곡을 최소화했으며, 기존 장비 대비 '소형화·저전력·고해상도'를 동시에 달성했다는 특징이 있다.

이 기술은 △위암·대장암 등 암 조기 진단 △호흡기·소화기 질환 검사 △응급실 및 외래 진료 현장 등 의료 분야에 우선 적용할 수 있고, 나아가 반도체·디스플레이 검사, 3D 디스플레이, 디지털 트윈 등 산업 분야로 확장 가능성도 있다.

아폴로 분석팀 관계자는 "산업과 의료 현장의 공통된 수요는 더 작은 구조를 더 빠르고 정확히 보는 것"이라며 "이 기술은 그러한 요구에 직접적으로 응답한다"고 평가했다.

현재 공초점 내시현미경 관련 시장에는 국내 약 80개 기업이 경쟁 중이다. 2025년 기준 연평균 성장률은 2.75%로 전망된다. 주요 기업으로는 파크시스템즈,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코리아, PSI 등이 꼽힌다.

두 번째 기술은 임용섭 교수팀이 개발한 '스테이윗'이다. 단순한 생활 편의 앱이 아니라 사회 곳곳에서 'AI 기반 갈등 예방·중재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잠재력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서비스의 핵심은 '사전 소통'과 '배려형 중재'다. 사용자가 생활 패턴과 소음 민감 시간을 등록하면, AI가 이를 분석해 이웃에게 순화된 메시지를 전달한다. "시끄럽다"는 불만은 "지금은 아이가 공부하는 시간이라 조금만 조심해주시면 감사하겠다"는 표현으로 바꿔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감정 충돌을 줄이고, 소음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알려 분쟁도 예방할 수 있다.

아폴로 분석 결과, 스테이윗은 아파트관리사무소, 공동주택관리위원회, 건설사,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특히 수요가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또 스마트 주거 관리 서비스, AI 기반 중재 시스템, 소음 탐지 IoT 등 글로벌 유망 사업 아이템과도 직접 연결될 수 있다는 평가다.

아폴로 관계자는 "주민 갈등을 줄여 법률 분쟁 비용을 절감하는 만큼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크다"며 "정책 지원과 함께 성장성이 뚜렷하고, AI·데이터 기반 민원 처리라는 기술 혁신성은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테크마켓'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