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AI렌더링·광학지문이 뭐길래..."범용성·경쟁력 모두 갖춘 신기술"

류준영 기자 기사 입력 2025.09.18 06: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4대 과학기술원 사업화 유망기술 공동설명회 '2025 테크마켓' 개최
GIST 문보창 교수 연구팀·정현호 부교수 연구팀 개발 신기술 소개
AI·빅데이터 기반 사업화 유망성 탐색 플랫폼 '아폴로'로 분석해보니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AI가 첨단기술을 분석해 관련 기업을 찾아주는 모습/자료사진=게티이미지뱅크
AI가 첨단기술을 분석해 관련 기업을 찾아주는 모습/자료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보보안, 자율주행, 메타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용화 가능성이 높고 글로벌 경쟁력 확보 잠재력도 충분하다."

이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광주과학기술원(GIST)의 대표 기술 2건을 분석한 결과다. 오는 10월 16일 서울 코엑스 A홀 컨퍼런스A에서는 국내 4대 과학기술원(KAIST·GIST·DGIST·UNIST)이 보유한 첨단기술을 한자리에서 선보이는 '2025 테크마켓'이 열린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전문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는 이들 기술의 민간 이전과 사업화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 의뢰해 AI·빅데이터 기반 공공연구개발(R&D) 성과 분석 플랫폼 '아폴로(Apollo)'로 사전 검증을 진행했다.

이번 분석 대상은 GIST 문보창 교수, 정현호 부교수가 각각 선보일 '제임스-스테인 결합기를 이용한 이미지 품질 향상 장치 및 방법', '복제 불가능한 준질서형 플라즈몬 메타표면'이다.

먼저 정현호 부교수팀의 기술은 차세대 보안·인증 산업을 비롯해 디스플레이와 광학 위장 분야에서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 메타표면은 빛의 자극에 따라 고유한 광학 신호를 내는 초미세 구조체로, 무작위성이 높은 '준질서 배열'을 적용해 사실상 복제가 불가능한 패턴을 구현한다. 이를 활용하면 위조 방지 라벨, 인증 태그, 군사 장비 위장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바탕으로 전기적으로 색을 조절할 수 있는 친환경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보안소자를 개발했다. 아폴로의 시장 분석 결과, 국내 복제 불가 보안소자 시장규모는 2025년 약 1835억원, 글로벌 시장은 2029년까지 약 2조5000억원(19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아폴로팀은 "정 교수팀의 플라즈몬 메타표면 기술은 데이터를 지웠다고 해도 실제로는 저장 매체에 미세한 흔적이 남는 '데이터 잔류성'과 같은 하드웨어 보안 분야에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할 잠재력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아폴로가 제시한 잠재 수요기업으로는 △휴면플러스(대구) △브이원택(경기) △나노시스템즈(경북) △옵티레이(충남) 등이 꼽혔다.
AI가 첨단기술을 분석해 관련 기업을 찾는 모습을 이미지화했다/자료사진=게티이미지뱅크
AI가 첨단기술을 분석해 관련 기업을 찾는 모습을 이미지화했다/자료사진=게티이미지뱅크

문보창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은 실감형 콘텐츠 제작부터 보안·감시 시스템, 자율주행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산업 혁신을 이끌 핵심기술로 평가받았다. 이 기술은 영상, 센서, 위성자료, 컴퓨터 그래픽 등 이질적인 데이터를 융합해 고품질로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AI 기반 학습 기법을 활용해 화질 개선, 경계 복원, 노이즈 억제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아폴로는 메타버스, VR·AR(가상·증강현실), 영화, 게임 등 실감 콘텐츠 분야에서는 실사 영상과 그래픽을 자연스럽게 합성해 몰입감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 및 교통관제 분야에서도 보행자나 차량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추적하는 데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아폴로에 따르면 글로벌 영상복원시장은 올해 약 6763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10.4%의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 시장에서는 업력 5~15년 된 중소기업 약 90여곳이 활동 중이며, 잠재 수요기업으로는 △대진기술정보(대구) △한국알파시스템(대구) 등이 명단에 올랐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