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식 KISTI 원장이 1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스마트에너지플러스 2025' ASTI 2025 글로벌리더스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김창현 기자 chmt@ "AI 패권 경쟁과 관세 전쟁이라는 두 개의 거대한 파도 앞에서 과학기술과 혁신의 노를 함께 저어 간다면 위기가 아닌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될 것입니다."
이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원장은 1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머니투데이 '스마트에너지플러스(SEP) 2025' 부대행사인 '2025 글로벌 ASTI(과학기술정보협의회) 리더스 포럼' 개회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최근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AI(인공지능) 패권 경쟁은 단순한 기술 우위를 넘어 경제·안보 나아가 국가의 미래 전략과 직결되고 있다"며 "대한민국은 뒤따라가는 추격자가 아니라 앞서 준비하고 선도하는 개척자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심화하고 있는 관세 전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중소기업의 경영 환경을 근본적으로 흔들고 있다고 진단하면서도 "위기는 곧 기회"라며 "연구·개발을 통한 차별화된 기술력 확보가 해법이다"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가격과 물량이 아닌 기술과 품질로 승부하는 길이야말로 글로벌 무역 질서 속에서 우리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전략"이라고 말했다.
KISTI의 역할에 대해서는 "국가 슈퍼컴퓨터 6호기를 비롯한 HPC(고성능컴퓨팅) 인프라와 고속 연구망, AI·데이터 기반 분석 서비스를 전국 산업계에 적극 개방하고 있다"며 "중소기업이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인프라를 KISTI가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KISTI는 단순히 연구 결과를 축적하는 기관이 아니라 산업과 연구 현장에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내는 기관이 될 것"이라며 "ASTI 위원들이 겪는 현장의 문제, 사업화 과정에서의 어려움, 글로벌 시장 진출의 애로사항 등을 고민하고 풀어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반도체와 양자 기술 △초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산업 맞춤형 데이터 플랫폼 △지역 혁신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정책 기조를 강화하고 있으며 KISTI는 이에 발맞춰 데이터·AI 기반의 과학기술 허브로서 국가 혁신 생태계를 이끌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