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계속되는 고금리 기조와 깊어지는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도 국내 직장인 10명 중 8명 이상은 '5년 안에 내 집을 마련하겠다'는 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명함 및 커리어 관리 플랫폼 '리멤버'를 운영하는 리멤버앤컴퍼니가 직장인 150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내 집 마련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1.2%가 '5년 내 주택 구매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이러한 강력한 구매 의향은 무주택자(87.6%)뿐 아니라 유주택자(75.5%)에게서도 동시에 높게 나타났다. 이자 부담이라는 단기적 어려움보다 내 집 마련을 통한 장기적 자산 가치 확보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장인들의 투자 심리를 보여준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주택 구매 의향의 배경에는 '결국 오른다'는 부동산 불패 심리가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 집 마련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과반 이상인 54.8%는 향후 집값 상승을 전망했다.
내 집 마련에 부족한 자금을 어떻게 마련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54.4%)이 '주택담보대출'을 꼽았다. 또한 구매 계획이 있는 이들 중 3명 중 1명(33.2%)은 이미 '1억원 이상~3억원 미만'의 종잣돈을 마련했다고 답했다.
다만 내 집 마련의 구체적인 목적을 들여다보면 결혼 여부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존재했다. 기혼 응답자는 주택 구매가 '실거주(52.3%)'와 '투자(47.7%)' 측면에서 모두 중요하다고 답했지만 미혼 응답자의 경우는 '실거주(64.1%)' 목적이 과반을 훌쩍 뛰어넘었다.
부동산 정책에 대한 입장차도 크다. 현 부동산 정책 규제에 대해 기혼 응답자의 74.7%가 '과도하다'와 같은 명확한 입장을 가진 반면, 미혼 응답자는 '잘 모르겠다(39.2%)'는 유보적인 응답이 높았다.
주대웅 리멤버 리서치 사업실장은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될 것이라는 시장의 통념을 뛰어넘는 결과"라며 "앞으로도 정교한 타기팅 조사로 직장인들의 현실 목소리를 파악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을 돕는 차별화된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제공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