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테파로보틱스 산업용 로봇 연구 시설/사진제공=테파로보틱스산업용 로봇을 위한 피지컬 AI(인공지능) 개발 기업 '테파로보틱스'가 20억원 규모의 프리A 시리즈 투자를 유치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퓨처플레이가 후속 투자자로 참여하고, IBK벤처투자와 산은캐피탈이 신규 투자자로 함께했다.
2023년 설립된 테파로보틱스는 세계 1위 산업용 로봇 제조사 화낙 한국 지사에서 다관절 로봇 제어·프로그래밍을 담당했던 백종현 최고기술책임자(CTO)와 일본 도쿄대학에서 AI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박정혁 대표가 공동 창업했다. 이들은 '효율적인 공장 자동화'를 미션으로 산업용 로봇에 피지컬 AI를 접목해 왔다.
피지컬 AI는 현실 세계에서 움직이며 작업을 수행하는 AI로, 인식 AI(이미지·음성 인식)나 생성 AI(텍스트·이미지 생성)를 넘어선 다음 단계 기술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CES 2025에서 피지컬 AI를 50조 달러(약 7경원) 규모의 산업으로 전망하며, 자사의 미래 전략 축으로 로봇을 제시하기도 했다.
테파로보틱스는 이러한 피지컬 AI를 가장 널리 사용되는 산업용 로봇에 적용하고 있다. 산업용 로봇은 대량생산 기반의 하드웨어로 피지컬 AI의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핵심 플랫폼이다. 하지만 높은 폐쇄성과 복잡한 제어 환경으로 인해 연구개발 난이도가 매우 높다.
이번 투자를 리드한 전아람 퓨처플레이 수석심사역은 "테파로보틱스는 산업 도메인에 대한 깊은 이해와 독자적 데이터 생성 파이프라인을 바탕으로, 실제 양산 환경에서 피지컬 AI를 작동시키는 드문 팀"이라며 "글로벌 빅테크와 경쟁할 수 있는 원천 기술을 갖추고 있어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박정혁 테파로보틱스 대표는 "현재 산업용 로봇에 이 데이터를 학습한 자체 모델을 적용해 고객과 현장 도입을 조율 중"이라며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확보하여 대규모의 피지컬 AI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