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기반 공간 AI(인공지능) 기업 빅밸류가 창립 10주년을 맞아 '데이터 테크'(Data Tech)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빅밸류 관계자는 20일 "데이터는 AI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AI 대전환의 흐름 속에서 AI가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현실 세계의 정보를 빠르게 AI에 연결하는 데이터 구독 모델을 중심으로 데이터 테크를 이끌어 나가겠다"고 했다.
빅밸류의 데이터는 국내 주요 은행, 테크기업, 정부기관의 비즈니스 위험 요소 판단과 자원 배분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올해는 데이터의 판매처를 중소기업까지 넓히는 데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월 출시한 빅밸류 플랫폼을 통해 IT 인프라와 예산이 부족한 중소기업도 데이터를 쉽게 구독해 활용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낮춰 AI 기반의 의사결정을 돕겠다는 목표다.
빅밸류 플랫폼은 AI를 바탕으로 전국 주택과 상업용 부동산 정보, 시세 데이터, 상권 분석을 통한 매출 예측, 지역 내 직장 인구와 소득 수준(배후지 정보) 등을 원클릭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1000종 이상의 공간·인구·상업 데이터가 담겼으며 데이터 수집·가공·생산 과정이 AI 에이전트 기반으로 99% 자동화돼 대용량 데이터도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췄다.
아울러 LLM(대형언어모델)과 연동 가능한 MCP(Model Context Protocol)와 프롬프트 인터페이스도 제공한다. 챗GPT나 클로드(Claude) 등 빅테크의 LLM은 물론 다양한 오픈소스 모델과도 유연하게 연결돼 AI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뢰도 높은 응답을 생성할 수 있도록 했다.
앞으로 전문가 풀(Pool)과 데이터를 확대해 산업별 전문 의사결정 역량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누구나 데이터 크리에이터로 참여해 서비스를 만들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데이터 오픈 마켓'을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웹, 모바일, AI 에이전트 등 다양한 채널에서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이고 기술 인프라도 꾸준히 확장해 나간다.
빅밸류는 2022년 이후 연평균 110% 이상의 매출 성장률(CAGR)을 기록하고 있으며, 앞으로 3년간 두 자릿수 후반대의 고성장을 이어가는 것이 목표다. 외부 투자유치를 통해 기술력과 시장성을 한층 강화하고 IPO(기업공개) 등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구름 빅밸류 대표는 "시장의 최신 동향을 알고 있는 AI가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며 "AI 시대에 최적화된 데이터 흐름을 제공하는 데이터 테크로 다양한 산업의 AI 전환을 지원하고 궁극적으로 AI의 필수재가 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