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 경쟁에서 미국이 중국에 따라잡히지 않으려면 중국 인재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피력했다. 황 CEO는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월터 E. 워싱턴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발자행사(GTC)에서 '미국이 AI 경쟁에서 중국에 뒤처질 가능성이 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 대답은 분명히 '그렇다'"라며 이처럼 말했다. 황 CEO는 "산업, 특히 기술 산업은 과학자·연구자 등 사람으로부터 시작된다"며 "전 세계 AI 연구자의 50%는 중국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이 나 같은 이민자들이 교육받고 경력을 쌓고 삶을 꾸리기 위해 오고 싶어 하는 나라로 남는 것이 중요하다"며 "세계 AI 연구자의 절반을 잃게 만드는 정책은 장기적으로 유익하지 않고 해롭다"고 지적했다. 이른바 '아메리칸드림'이 미국의 AI 경쟁력 강화의 핵심인 만큼 인재 확보를 위한 정책을 지켜내야 한다는 얘기다. 황 CEO는 대만계로 어린 시절 미국으로 건너와 교육을
뉴욕=심재현기자 2025.10.29 11:14:59인공지능(AI) 선두업체 엔비디아가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최대 1000억달러(약 140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글로벌 AI 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두 기업의 협력은 첨단기술 분야에서 점점 더 복잡하게 얽히고 있는 빅테크들의 합종연횡을 여실히 드러낸다는 평가가 나온다. 양사는 이번 투자를 통해 엔비디아의 첨단 AI 칩을 사용해 오픈AI 모델을 학습·배포할 수 있는 10기가와트(GW)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10GW는 원전 10기에 해당하는 규모로 미국에서 800만가구 이상의 전력 사용량과 맞먹는다. 파트너십의 세부 사항은 앞으로 수주 안에 확정된다. 양사는 이날 이번 투자 계획에 대한 의향서를 체결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성명을 통해 "모든 것은 컴퓨팅에서 시작된다"며 "컴퓨팅 인프라는 미래 경제의 기반이 될 것이고 우리는 엔비디아와 함께 구축하는 것을 활용해 새로운 AI 혁신을 창출하
뉴욕=심재현기자 2025.09.23 09:35:22#.한 여성 중국인 기자가 전시기업 직원으로부터 센서 장갑과 팔에 끼우는 센서들을 넘겨받았다. 시스템을 작동시키자 사람 크기 로봇암(로봇팔)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완전히 동기화 한 로봇팔은 체험하는 기자가 움직이는 대로 정밀하게 움직였다. 손가락을 동작시켜 얇은 종이를 잡거나 다른 사람과 악수하는 기능도 어렵잖게 수행했다. 16일 중국 베이징 순이 국제전시중심에서 개막한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 현장은 세계 각국에서 중국 산업 서플라이체인을 확인하고, 사업기회를 찾기 위해 모여든 바이어와 관계자들로 북적였다. 다만 코로나19(COVID-19) 여파로 글로벌 공급망이 빠르게 재편된 직후였던 지난해에 비해선 현장에서 일정 여유가 읽혔다. 지난해와 눈에 띄게 달라진 점은 바로 로봇의 활용도다. 6개 전시관이 각기 다소 다른 주제로 꾸며졌는데, 거의 모든 전시관의 핵심 기업 전시부스에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을 포함한 로봇들이 대거 배치됐다. 개막 연설을 맡은 젠슨 황의 엔비디아 역시
베이징(중국)=우경희기자 2025.07.16 17:31:49[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수십조원대 규모로 추정되는 광고제작 산업이 AI(인공지능) 기술 도입으로 근본부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사람이 직접 촬영하고, 컴퓨터그래픽(CG)이 들어간 기존 단계를 넘어 지금은 AI 도입이 활발히 시도된다. AI 기술로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하면 앞으론 제품 사진 한 장으로 3D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기 때문에 업계의 관심이 높다. 이런 가운데 주류, 골프의류, 가전제품 등 각종 소비재 광고를 AI로 제작할 수 있는 선두주자가 대한민국의 스타트업이다. 스카이인텔리전스는 이달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비바테크(VivaTech) 2025'에 참가하며 LVMH(루이뷔통모에헤네시)같은 세계적 명품 브랜드의 눈도장을 찍었다. 스카이인텔리전스는 AI 기반 3D 모델링 기술을 고도화했다. 신발, 가방 등 제품을 독자적인 로봇팔에 장착한 카메라로 3D 스캔한
김성휘기자 2025.07.03 06: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11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비바테크놀로지 2025' 전시장. 로봇팔에 달린 카메라가 신발 제품을 3D 스캔했다. 연동된 화면에는 AI(인공지능)가 신발 각 부분별 소재가 섬유인지 플라스틱인지 등의 특징을 파악하는 과정이 드러났다. AI는 이내 이 데이터로 제품 광고영상을 만들 때 필요한 정보를 추출했다. AI 콘텐츠 솔루션 기업 스카이인텔리전스가 비바테크 2025에 공식 전시 파트너로 참가, 엔비디아 '옴니버스' 플랫폼 기반 상업용 AIGC(AI 생성 콘텐츠) 솔루션을 공개했다. 제품을 실제로 사람이 촬영한다고 가정하면 각도와 조명 등이 달라질 때 각 부분의 광택과 그림자가 섬세하게 바뀌는데 이런 차이까지 AI가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이다. 스카이인텔리전스는 제품 스캔부터 AI 모델링, 애니메이션 생성, 조명·카메라 제어 등 광고 영상 제작 전 과정을
파리(프랑스)=김성휘기자 2025.06.13 05: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유럽 최대 첨단기술 전시회 '비바테크놀로지 2025'가 세계 50개국 1만4000여개 스타트업이 참가한 가운데 11(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시내 '파리 엑스포 포르트 드 베르사유'에서 개막했다. 비바테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 스페인 바르셀로나 MWC(모바일월드콩그레스)와 함께 세계 3대 기술 전시행사로 불리지만 스타트업 참가 숫자로는 세계 최대 수준이다. 올해는 엔비디아의 개발자 컨퍼런스 'GTC 파리'가 동시에 열렸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기조연설을 통해 유럽 각국의 AI 생태계 조성에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전시장을 깜짝 방문, 황 CEO와 특별 대담을 나누는 등 AI 주도권을 위한 각국의 노력도 치열하게 전개됐다. 이 같은 행사를 계기로 해외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국내 스타트업들은 전시 참가, IR 피칭 행사 등으로
파리(프랑스)=김성휘기자 2025.06.12 09:01:32[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유럽 각국에 AI 생태계를 만들겠다." 젠슨 황 엔비디아 창업자 겸 CEO(최고경영자)가 영국 독일 프랑스 등과 함께 소버린AI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황 CEO는 11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파리 엑스포'에서 자사 GTC(GPU 테크 컨퍼런스)의 기조연설을 갖고 이같이 말했다. 소버린 AI는 한 국가가 AI를 개발 생산하는 데 대외 의존을 줄이고 자체 인프라와 데이터를 사용하는 역량이며 'AI 주권'으로도 불린다. 미국이 주도해 온 세계질서는 미중 무역갈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서 보듯 급속히 '각자도생'으로 재편되고 있다. 각국의 AI 등 첨단 기술력이 변화에 대응하는 핵심 경쟁력이 된 가운데 유럽은 더 이상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을 기대할 수 없게 됐다. 황 CEO는 마치 이런 상황을 의식한 듯 "영국,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등 유럽 여
파리(프랑스)=김성휘기자 2025.06.12 04: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유럽 최대 첨단기술 전시회인 '비바테크놀로지 2025'가 11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다. 지난해 비바테크 최대 후원기업 LVMH(루이뷔통 모에헤네시)의 주목을 받은 AI 콘텐츠기업 스카이인텔리전스를 비롯, 로봇 의수 개발사 만드로 등 국내 스타트업과 창업진흥원 등 지원기관들이 참가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한다. 글로벌 기업으로는 엔비디아가 GTC(GPU 테크 컨퍼런스)를 비바테크와 같은 기간 개최해 주목된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11일 기조연설을 진행한다. 비바테크는 지난해 세계 1만3500개 스타트업이 참가, 16만5000명이 다녀간 유럽 최대 규모의 기술 박람회다.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 스페인 바르셀로나 MWC(모바일월드콩그레스)와 함께 세계 3대 기술 전시행사로 통한다. 11~14일 프랑스 '파리 엑스포'에서 열리는 비바테크 2025는 세
파리(프랑스)=김성휘기자 2025.06.11 05:00:00AI(인공지능) 칩 선두주자인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최고경영자)는 중국 화웨이가 강력한 경쟁자로 성장했다며 AI 분야에서 "중국은 (미국에) 뒤처지지 않는다"고 30일(현지시간) 말했다.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황 CEO는 이날 워싱턴DC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중국이 기술 분야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AI 기술력에서 "중국은 (미국에) 뒤처지지 않는다. 바로 우리(미국) 뒤를 바짝 쫓고 있다. 매우, 매우 가깝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자체 AI 칩 설계로 사업을 확장한 중국의 화웨이를 지목해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기술 기업 중 하나"라면서 "화웨이는 AI 발전을 위한 컴퓨팅과 네트워크 기술에서 놀라운 능력을 갖췄다"고 말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화웨이가 엔비디아의 고성능 AI칩 'H100'을 뛰어넘는하는 자체 AI칩을 개발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한편 미국은 엔비디아의 중국에 대한 최첨단 AI칩 판매를 금지하고 있다.
변휘기자 2025.05.01 13:1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