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젠슨 황 "중국 친구들과 AI 번영"…공급망 전시장 온통 '로봇'

베이징(중국)=우경희 특파원 기사 입력 2025.07.16 17:31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3회 공급망박람회 베이징서 개막…
로봇, 첨단기술 플랫폼으로 주목
젠슨 황 '당복' 입고 개막식 연설

[베이징=AP/뉴시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6일(현지 시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3회 중국 국제 공급망 촉진 박람회 개막식에서 기조연설하고 있다. 2025.07.16. /사진=민경찬
[베이징=AP/뉴시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6일(현지 시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3회 중국 국제 공급망 촉진 박람회 개막식에서 기조연설하고 있다. 2025.07.16. /사진=민경찬
#.한 여성 중국인 기자가 전시기업 직원으로부터 센서 장갑과 팔에 끼우는 센서들을 넘겨받았다. 시스템을 작동시키자 사람 크기 로봇암(로봇팔)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완전히 동기화 한 로봇팔은 체험하는 기자가 움직이는 대로 정밀하게 움직였다. 손가락을 동작시켜 얇은 종이를 잡거나 다른 사람과 악수하는 기능도 어렵잖게 수행했다.

16일 중국 베이징 순이 국제전시중심에서 개막한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 현장은 세계 각국에서 중국 산업 서플라이체인을 확인하고, 사업기회를 찾기 위해 모여든 바이어와 관계자들로 북적였다. 다만 코로나19(COVID-19) 여파로 글로벌 공급망이 빠르게 재편된 직후였던 지난해에 비해선 현장에서 일정 여유가 읽혔다.

지난해와 눈에 띄게 달라진 점은 바로 로봇의 활용도다. 6개 전시관이 각기 다소 다른 주제로 꾸며졌는데, 거의 모든 전시관의 핵심 기업 전시부스에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을 포함한 로봇들이 대거 배치됐다. 개막 연설을 맡은 젠슨 황의 엔비디아 역시 마찬가지였다. 고성능 반도체 칩을 홍보하기 위한 가장 직접적이고 가시적인 수단이 로봇이라는 의미다.

제3회 공급망박람회 엔비디아 부스에 각국 취재진과 바이어들이 운집해 있다./사진=우경희 기자
제3회 공급망박람회 엔비디아 부스에 각국 취재진과 바이어들이 운집해 있다./사진=우경희 기자


엔비디아 부스엔 사자로봇 흥겨운 춤..수준보다 무서운건 상용화 속도


엔비디아 부스엔 여러종의 휴머노이드로봇이 배치된 가운데 4족 사자로봇이 흥겹게 춤추며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젠슨 황 CEO가 개막 연설자로 나선 만큼 엔비디아에 쏠리는 바이어들의 관심은 더 뜨거웠다. 엔비디아뿐 아니었다. 인근의 알리바바나 레노버 등 글로벌 IT(정보통신) 기업들의 부스에도 안내 직원들 사이에 휴머노이드로봇들이 꼭 눈에 띄었다.

중국의 로봇기술은 중국 정부의 압도적 지원 속에 고속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로봇의 총아 유니트리 왕싱싱 CEO가 밝혔듯, 여전히 하드웨어 측면의 강점에 머문다. 왕싱싱은 전날 중국 국무원 기자회견에서 "많은 기술지표가 현 세계 최고 수준"이라면서도 "다만 제조와 하드웨어 분야 기반이 탄탄하고, 소프트웨어 생태계 등은 미국이 뛰어나다"고 말했다.

로봇암을 시연하는 중국 취재진./사진=우경희 기자
실제 그간 중국 로봇 산업을 취재하며 본 중국 로봇들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지만, 역시 현대차의 보스턴다이내믹스 등 선도적 로봇기업들과 구체적으로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앞선다고 보긴 어렵다. 앞서 진행된 로봇마라톤이나 로봇격투기대회에서도 역시 일부 로봇들이 오작동하며 중국 로봇기술의 체면을 구기기도 했다.

그러나 정작 주목해야 할 점은 중국에서 이미 로봇이 경제나 산업의 한 문법, 내지는 일반화한 플랫폼이 되고 있다는 거다. 세 번째 공급망박람회는 이 부분을 여실히 보여줬다. 모든 전시와 시연에 로봇이 동원됐다. 긴 설명을 붙이지 않아도 중국 미래 기술의 현 시점 총합이 휴머노이드로봇이고, 공급망 정비를 포함한 모든 산업 혁신에 로봇이 핵심 역할을 하는 게 중국 정부의 계획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미국 칩 제재 시나브로 해제될까..중국 로봇 발전 속도 빨라질수도


여기에 관세전쟁으로 차갑게 얼어붙었던 미중관계가 엔비디아 칩 H20 해금으로 해빙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는 해석이 더해진다. 중국 로봇 기술 혁신에 속도가 붙을 수 있는 조건이다. 미국 정부는 앞서 바이든 행정부시절부터 엔비디아의 고성능 칩들을 중국에 수출할 수 없도록 금수조치했다. 엔비디아가 제재 조건을 피한 H20 칩을 개발해 중국에 수출하자 트럼프 2기부턴 아예 이 칩 수출까지 막았다.

H20 칩 수출 금지 조치가 극적으로 해소된게 전날 젠슨 황 CEO의 중국 관영 CCTV 인터뷰를 통해 알려졌다. 깜짝 뉴스였다. 이는 관세전쟁 휴전 협상 과정에서 양국이 약속한 조치들이 순차적으로 이행되고 있다는 뜻이다. 중국은 미국에 대한 희토류 규제를 풀고, 미국은 중국에 대한 고성능 반도체 규제를 완화한다는 내용이다.

젠슨 황은 방중 직전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다. 그리고 이날 청나라 시대 복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당복'을 입고 공급망박람회 개막식 연사로 나섰다. 1963년 대만 남부 타이난에서 태어난 대만계 미국인인 그는 개막식에서 "나는 중국인이지만 미국에서 자랐다"며 "나의 모국어는 중국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딥시크와 알리바바, 텐센트 등의 AI(인공지능) 모델은 월드클래스이고, 이곳에서 개발돼 개방적으로 공유됐다"며 "또 엔비디아는 계속해서 중국에서 운영할 것이며, 친구들과 손잡고 AI(인공지능) 시대에 함께 번영과 미래를 열 것"이라고 했다. 어느 하나 미중 관계가 개선될 거라는 확신 없인 할 수 없는 말들이다.

'로봇' 기업 주요 기사

  • 기자 사진 베이징(중국)=우경희 특파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