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회 공급망박람회 베이징서 개막…
로봇, 첨단기술 플랫폼으로 주목
젠슨 황 '당복' 입고 개막식 연설
![[베이징=AP/뉴시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6일(현지 시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3회 중국 국제 공급망 촉진 박람회 개막식에서 기조연설하고 있다. 2025.07.16. /사진=민경찬](https://thumb.mt.co.kr/06/2025/07/2025071615551194800_2.jpg/dims/optimize/?1752663699)
16일 중국 베이징 순이 국제전시중심에서 개막한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 현장은 세계 각국에서 중국 산업 서플라이체인을 확인하고, 사업기회를 찾기 위해 모여든 바이어와 관계자들로 북적였다. 다만 코로나19(COVID-19) 여파로 글로벌 공급망이 빠르게 재편된 직후였던 지난해에 비해선 현장에서 일정 여유가 읽혔다.
지난해와 눈에 띄게 달라진 점은 바로 로봇의 활용도다. 6개 전시관이 각기 다소 다른 주제로 꾸며졌는데, 거의 모든 전시관의 핵심 기업 전시부스에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을 포함한 로봇들이 대거 배치됐다. 개막 연설을 맡은 젠슨 황의 엔비디아 역시 마찬가지였다. 고성능 반도체 칩을 홍보하기 위한 가장 직접적이고 가시적인 수단이 로봇이라는 의미다.

중국의 로봇기술은 중국 정부의 압도적 지원 속에 고속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로봇의 총아 유니트리 왕싱싱 CEO가 밝혔듯, 여전히 하드웨어 측면의 강점에 머문다. 왕싱싱은 전날 중국 국무원 기자회견에서 "많은 기술지표가 현 세계 최고 수준"이라면서도 "다만 제조와 하드웨어 분야 기반이 탄탄하고, 소프트웨어 생태계 등은 미국이 뛰어나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작 주목해야 할 점은 중국에서 이미 로봇이 경제나 산업의 한 문법, 내지는 일반화한 플랫폼이 되고 있다는 거다. 세 번째 공급망박람회는 이 부분을 여실히 보여줬다. 모든 전시와 시연에 로봇이 동원됐다. 긴 설명을 붙이지 않아도 중국 미래 기술의 현 시점 총합이 휴머노이드로봇이고, 공급망 정비를 포함한 모든 산업 혁신에 로봇이 핵심 역할을 하는 게 중국 정부의 계획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미국 칩 제재 시나브로 해제될까..중국 로봇 발전 속도 빨라질수도 여기에 관세전쟁으로 차갑게 얼어붙었던 미중관계가 엔비디아 칩 H20 해금으로 해빙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는 해석이 더해진다. 중국 로봇 기술 혁신에 속도가 붙을 수 있는 조건이다. 미국 정부는 앞서 바이든 행정부시절부터 엔비디아의 고성능 칩들을 중국에 수출할 수 없도록 금수조치했다. 엔비디아가 제재 조건을 피한 H20 칩을 개발해 중국에 수출하자 트럼프 2기부턴 아예 이 칩 수출까지 막았다.
H20 칩 수출 금지 조치가 극적으로 해소된게 전날 젠슨 황 CEO의 중국 관영 CCTV 인터뷰를 통해 알려졌다. 깜짝 뉴스였다. 이는 관세전쟁 휴전 협상 과정에서 양국이 약속한 조치들이 순차적으로 이행되고 있다는 뜻이다. 중국은 미국에 대한 희토류 규제를 풀고, 미국은 중국에 대한 고성능 반도체 규제를 완화한다는 내용이다.
젠슨 황은 방중 직전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다. 그리고 이날 청나라 시대 복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당복'을 입고 공급망박람회 개막식 연사로 나섰다. 1963년 대만 남부 타이난에서 태어난 대만계 미국인인 그는 개막식에서 "나는 중국인이지만 미국에서 자랐다"며 "나의 모국어는 중국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딥시크와 알리바바, 텐센트 등의 AI(인공지능) 모델은 월드클래스이고, 이곳에서 개발돼 개방적으로 공유됐다"며 "또 엔비디아는 계속해서 중국에서 운영할 것이며, 친구들과 손잡고 AI(인공지능) 시대에 함께 번영과 미래를 열 것"이라고 했다. 어느 하나 미중 관계가 개선될 거라는 확신 없인 할 수 없는 말들이다.
'로봇' 기업 주요 기사
- 기사 이미지 미·중 로봇 다음달 붙는다…中 '로봇올림픽'에 줄줄이 출사표
- 기사 이미지 "듣고보니 정신이 번쩍" 중국판 실리콘밸리서 놀란 오세훈, 왜?
- 기사 이미지 "서빙로봇 늘수록 中·日 배불려"…'정밀 시각센서'로 판 뒤집는다
- 기자 사진 베이징(중국)=우경희 특파원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