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꿈의 에너지'로 불리는 핵융합에너지의 8대 핵심 기술을 AI(인공지능)와 접목해 2035년까지 확보한다는 전략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를 위한 기술 실증 사업을 기획해 올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에 도전한다.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전략 포럼'을 열고 핵융합에너지 조기 실현을 위해 산학연 전문가와 마련한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로드맵'의 가안을 공개했다. 핵융합에너지는 수소 등 가벼운 원자핵을 초고온·초고압 환경에서 충돌시켜 무거운 헬륨으로 만드는 '핵융합 반응'을 활용한 발전 방식이다. 핵융합 반응에서 나오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아 탄소중립 목표에 적합한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불린다. 다만 실제 발전에 투입될 만큼의 핵융합 반응을 구현하는 게 여전히 난제다. 1억도 이상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만들어 이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게 관건이다. 투입된 에너지보다 더 많은 에
박건희기자 2025.10.22 16:31:58메타 플랫폼스가 3일(현지시간) 전력회사 컨스텔레이션 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 구매 계약을 맺었다. 이는 AI 성장에 따른 원전 수요 증가세가 당분간 계속될 것임을 보여준다. 메타는 이날 향후 20년간 일리노이주에 있는 컨스텔레이션 원전에서 에너지를 공급받고 이 계약을 통해 청정 에너지 속성을 구매해 다른 지역에서 사용하는 덜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를 상쇄하기로 했다. 청정에너지 속성이란 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생산된 전력의 환경적 속성으로 기업들은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거나 친환경 인증을 확보하기 위해 청정에너지 속성을 구매한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컨스텔레이션과의 이번 계약이 "탄소 배출이 없는" 에너지를 사용해 선도적인 AI 모델을 구축하려는 메타의 목표를 뒷받침한다고 밝혔다. 컨스텔레이션은 미국에서 최대 독립 원전을 소유한 기업 중의 하나다. 메타는 AI 인프라 투자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올해 자본지출 예상액을 600억~
권성희기자 2025.06.04 09: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