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출신 파트너들이 뭉쳐 설립한 LLC형 벤처캐피탈 케이런벤처스가 처음으로 삼성전자 출신이 아닌 심사역을 영입했다. 운용자산(AUM) 규모가 커지면서 출신 배경과 관계없이 인력 충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11일 벤처투자업계에 따르면 케이런벤처스는 최근 유환기 심사역을 영입했다. 유 심사역은 중앙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LG전자에서 제조·유통 현장과 플랫폼 협업 등 다양한 경험을 쌓았고 이후 신기술사업금융회사 엔베스터를 거쳤다. 케이런벤처스에서는 ICT와 딥테크 분야를 중심으로 딜 소싱과 심사 업무를 맡을 것으로 보인다. 케이런벤처스는 2015년 삼성전자 출신의 김진호 대표, 권재중 고문, 김정현 대표가 의기투합해 설립했다. 김진호 대표는 삼성전자 전략기획실과 넥스트인베스트먼트를 거쳐 IT,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투자를 이어왔으며, 김정현 대표는 삼성전
김진현기자 2025.09.11 16:3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온디바이스 AI(인공지능) 용 NPU(신경망처리장치)를 개발하는 팹리스 스타트업 딥엑스가 1세대 반도체에 이어 2세대 반도체 생산도 삼성전자 파운드리에서 진행한다고 13일 밝혔다. 딥엑스는 이날 삼성전자 파운드리와 삼성전자의 디자인하우스인 가온칩스와 생산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전했다. 공정은 2나노 공정으로, 멀티프로젝트웨이퍼(MPW) 시생산은 2026년, 양산은 2027년이 목표다. 딥엑스는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2나노 공정에 적용되는 'GAA(게이트올어라운드)' 기술이 완성품의 전력소비효율을 두 배 이상 높여줄 수 있다는 점 등이 선택의 이유라고 설명했다. 딥엑스는 현재 양산 중인 반도체 'DX-M1'도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5나노 공정을 활용하고 있다. 딥엑스가 개발 예정인 'DX-M2'는 개별 기기에 탑재돼 일반적인 생성 AI 뿐 아니라 멀티모달 AI의 연산까
고석용기자 2025.08.13 16:30:001987년 6명이 2만1000위안(약 403만원)씩 출자해서 설립한 회사가 있다. 처음에는 전화교환기 사업으로 시작한 이 회사는 1992년 매출 1억위안을 돌파했으며 8년 뒤인 2000년에는 220억위안으로 매출이 220배 급증했다. 지난해 이 회사의 매출은 8620억위안(약 165조원)으로 성장했다. 미국이 전 세계에서 가장 집요하게 규제한 대상이기도 한 이 회사는 어디일까. 바로 화웨이다. 화웨이는 미중 기술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기술 자립을 달성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자체 개발하고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에 AI 칩을 공급하는 등 미국의 제재를 보란 듯 뛰어넘고 있다. 화웨이의 역사는 곧 중국 첨단기술 발전의 축소판으로 화웨이가 곧 중국 첨단기술을 뜻한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래서인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7월 중국 관영 TV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AI 시장은 엔비디아가 있든 없든 발전할 것이며 엔비디아가 없다면 화웨이(=
김재현기자 2025.08.10 16:24:08삼성전자가 연내 미국에서 'AI 헬스코치' 베타 서비스를 출시한다. 국내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박헌수 삼성전자 MX사업부 디지털 헬스팀장은 10일 (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열린 '갤럭시 테크 포럼' 기자 간담회에서 이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미국 내 500여개 병원과 70여개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기업을 파트너로 보유한 젤스를 인수해 '커넥티드 케어'를 추진한다. 삼성 헬스 앱과 웨어러블 기기로 측정한 △수면 △영양 △스트레스 △액티비티 데이터를 전문 의료서비스와 연계한다는 구상이다. 단순히 사용자의 ...
뉴욕(미국)=윤지혜기자 2025.07.11 08:09:59삼성전자와 엔비디아가 로봇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미국의 스타트업 스킬드 AI(Skild AI)에 나란히 투자한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2일 보도했디. 삼성전자와 엔비디아는 각각 1000만 달러(약 137억원), 2500만 달러를 스킬드 AI의 지분 인수에 투입할 방침이다. 이번 자금 조달은 시리즈 B 펀딩 라운드의 일부로, 스킬드 AI의 기업가치는 약 45억 달러다. 일본 소프트뱅크가 투자를 주도해 1억 달러를 투입한다. 한국에서는 LG, 한화, 미래에셋 등 다른 대기업도 스킬드 AI에 500만~1000만 달러가량을 투자하고 있다...
김희정기자 2025.06.12 11:23:36구글이 'AI(인공지능) 모드' 검색을 도입한다. 검색하면 관련 링크 목록을 제시하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챗봇 스타일의 대화로 검색 요청에 답변한다. '검색 왕국' 구글의 지위를 AI 시대에도 지속하겠다는 전략이다. 또 삼성전자와 협력해 '스마트 안경' 시장에 10년 만에 다시 뛰어들 계획이다. 구글은 20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I./O 25'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신기술 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구글의 AI 모드 검색은 우선 미국 사용자를 대상으로 검색 서비스 내 '탭' 형태로 선보인다....
변휘기자 2025.05.21 15:42:24삼성전자와 미국 실리콘밸리의 AI(인공지능) 스타트업 퍼플렉시티가 갤럭시 스마트폰에 퍼플렉시티 AI 비서를 기본 탑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갤럭시 스마트폰에 퍼플렉시티를 기본 AI 비서 옵션으로 제공하거나 △퍼플렉시티 안드로이드 앱을 갤럭시에 사전 설치하거나 △삼성전자가 갤럭시 스토어에서 퍼플렉시티를 홍보하는 방안 등이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다만 "양사의 협상은 아직 초기 단계"라고 설명했다. 퍼플렉시티는 오픈AI 출신의 아...
변휘기자 2025.04.17 15:48:25[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미국 빅테크 메타의 국내 AI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 인수합병(M&A)이 무산됐다. 최근 퓨리오사AI는 메타의 1조2000억원 인수제안을 거절하고 독자생존의 길을 걷기로 했다. 딜이 무산된 데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퓨리오사AI가 독자생존을 결정한 것은 그만큼 기술력에 자신이 있어서일 것이다. 퓨리오사AI가 개발한 '레니게이드'는 국내 최초로 HBM(고대역폭메모리)을 탑재한 NPU(신경망처리장치)로 올 하...
임상연기자 2025.04.04 05:00:00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이하 반도체 3사)과 '반도체 첨단 연구와 기술사업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27일 서울 강남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반도체 첨단 연구지원 인프라 '모아팹(MoaFab)' 기능 고도화를 위한 MOU를 대표 반도체 3사와 체결했다고 밝혔다. 모아팹은 나노종합기술원, 한국나노기술원 등 국내 6개 반도체 공공팹 기관을 연계해 연구자와 기업이 첨단장비를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이다. 최근 본격적인 운영...
박건희기자 2025.03.27 09: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