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유니콘팩토리

로그인

최근 검색어

최근 검색 내역이 없습니다.

추천태그

유니콘팩토리 스타트업 중소벤처기업부 라이프스타일 퓨리오사에이아이

최신기사

  • 기사 이미지 일반 삼쩜삼 "한국 AI 기술력 6위·투자 18위…규제가 스타트업 발목"
  • 기사 이미지 행사 티비지파트너스, K-스타트업 동남아 진출 조력 '커넥트 2025' 개최
  • 기사 이미지 일반 인핸스, 美 '테크크런치 디스럽트 2025'서 커머스OS 기술 공개
  • 기사 이미지 일반 "중고 의류 하나의 앱에서 사고팔고" 뉴오프, 커머스플랫폼 오픈
  • 기사 이미지 일반 걷기만 해도 사회초년생에게 기부…당근-고용노동부 캠페인

화웨이

추천태그

유니콘팩토리 스타트업 중소벤처기업부 라이프스타일 퓨리오사에이아이
총 5건 최신순
  • 기사 이미지 손발 맞는 중국 AI 업체들…딥시크 신모델에 줄줄이 호환 시스템 공개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신모델 출시와 더불어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호출 비용을 50% 이상 낮췄다. '중국판 엔비디아' 캠브리콘, 화웨이 등 AI 칩 업체는 즉시 딥시크 최신 모델을 지원하는 추론엔진의 소스코드를 공개하는 등 중국 AI 기업들의 손발이 척척 맞는 모습이다. 30일 중국증권보 등 중국 언론은 전날 저녁 딥시크가 '딥시크(Deepseek)-V.3.2-Exp'을 출시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이전 버전인 V3.1-Terminus를 기반으로 한 실험 버전이며 딥시크가 개발한 '스파스 어텐션(희소주의력·Sparse Attention)' 기술을 이용해, 장문 입력에서도 특정 토큰만 처리하는 방식으로 서버 부하를 최소화했다. 딥시크는 새로운 모델의 운영 비용이 크게 줄어들면서 "딥시크 API 호출 비용을 50% 이상 낮춘다"고 밝혔다. 같은 날 AI 칩 업체 캠브리콘은 딥시크의 최신 모델 'V3.2-Exp'과 호환되는 대형언어모델(LLM) 추론 엔진 '

    김재현기자 2025.09.30 14:28:16
    화웨이 딥시크 캠브리콘 유니콘팩토리
  • 기사 이미지 "딥시크, 화웨이칩 쓰다 낭패"…중국이 엔비디아 못 놓는 이유

    중국의 AI(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가 새로운 서비스에 화웨이의 AI칩을 채택했지만 기술적 문제가 발생해 출시 시기를 미뤘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 보도에 따르면 딥시크는 올해 1월 R1 모델을 출시한 후 당국으로부터 엔비디아의 AI칩 대신 화웨이의 어센드(Ascend) 칩을 채택하라는 압박을 받았다. 앞서 딥시크는 낮은 개발비로 챗GPT에 버금가는 성능의 생성형 AI 챗봇 'R1'을 선보이며 전 세계에 충격을 줬다. 글로벌 AI 기술 경쟁에서 중국의 위상을 높이며 'AI판 스푸트니크 순간'이라고도 불렸다. 그러나 중국은 AI칩 패권을 쥐고 있는 미국의 엔비디아에 대항해 자체 기술력을 키워야 한다며 자국 AI 기업에 화웨이 등 중국산 AI 칩의 사용을 권고해 왔다. 이에 따라 딥시크도 어센드 칩을 사용해 새로운 R2 모델을 훈련했지만 지속해서 기술적 문제에 부딪혔다. 화웨이는 엔지니어를 딥시크 측에 직접 파견해 R2

    변휘기자 2025.08.14 16:35:32
    화웨이 딥시크 엔비디아 유니콘팩토리
  • 기사 이미지 미국이 경계하는 '화웨이', 상장하지 않고 돈 쏟아붓는 곳 있다 [차이나는 중국]

    1987년 6명이 2만1000위안(약 403만원)씩 출자해서 설립한 회사가 있다. 처음에는 전화교환기 사업으로 시작한 이 회사는 1992년 매출 1억위안을 돌파했으며 8년 뒤인 2000년에는 220억위안으로 매출이 220배 급증했다. 지난해 이 회사의 매출은 8620억위안(약 165조원)으로 성장했다. 미국이 전 세계에서 가장 집요하게 규제한 대상이기도 한 이 회사는 어디일까. 바로 화웨이다. 화웨이는 미중 기술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기술 자립을 달성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자체 개발하고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에 AI 칩을 공급하는 등 미국의 제재를 보란 듯 뛰어넘고 있다. 화웨이의 역사는 곧 중국 첨단기술 발전의 축소판으로 화웨이가 곧 중국 첨단기술을 뜻한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래서인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7월 중국 관영 TV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AI 시장은 엔비디아가 있든 없든 발전할 것이며 엔비디아가 없다면 화웨이(=

    김재현기자 2025.08.10 16:24:08
    화웨이 반도체 삼성전자 유니콘팩토리
  • 기사 이미지 화웨이·딥시크 첨단기술 뒤엔…10년 전 내놓은 '중국제조2025' 있었다

    "우리는 과거 성냥과 양철, 비누 등을 수입에 의존했지만 지금은 세계 제조업 1위 대국이 됐다. 이 길이 옳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5월 뤄양시 한 베어링 제조사의 스마트 공장을 둘러보며 한 말이다. 중국에서 최고지도자의 현장시찰 발언은 그대로 산업 정책이다. 현지 언론은 이에 '제조업 자립과 자강의 메시지'라는 해석을 내놨다. AI(인공지능)가 자고 일어나면 혁신하고, 휴머노이드(인간형)로봇이 마라톤을 달리며, 드론이 택배를 배달하는 세상이다. 그럼에도 제조업의 심화 발전을 주문한 의미심장한 발언이다. "새로운 질적 생산력 발전을 전략적 위치에 두라. 과학기술 혁신을 선도하며, 전통산업은 업그레이드 하라." 시 주석은 이에 앞선 4월 '15차 5개년(2026~2030) 계획' 수립을 준비하는 중국 지도부엔 이렇게 지시했다. 강화된 제조업을 바탕으로 첨단 과학기술 혁신에 집중하라는 거다. 제조업에서 질적 혁신을 이뤄냈다는 자신감이 화웨이의 첨단 반도체 기술이나 딥시크의

    베이징(중국)=우경희기자 2025.06.20 08:15:51
    화웨이 딥시크 반도체 중국 유니콘팩토리
  • 기사 이미지 젠슨 황 "중국, 미국에 AI 뒤처지지 않아…화웨이, 강력한 기업"

    AI(인공지능) 칩 선두주자인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최고경영자)는 중국 화웨이가 강력한 경쟁자로 성장했다며 AI 분야에서 "중국은 (미국에) 뒤처지지 않는다"고 30일(현지시간) 말했다.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황 CEO는 이날 워싱턴DC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중국이 기술 분야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AI 기술력에서 "중국은 (미국에) 뒤처지지 않는다. 바로 우리(미국) 뒤를 바짝 쫓고 있다. 매우, 매우 가깝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자체 AI 칩 설계로 사업을 확장한 중국의 화웨이를 지목해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기술 기업 중 하나"라면서 "화웨이는 AI 발전을 위한 컴퓨팅과 네트워크 기술에서 놀라운 능력을 갖췄다"고 말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화웨이가 엔비디아의 고성능 AI칩 'H100'을 뛰어넘는하는 자체 AI칩을 개발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한편 미국은 엔비디아의 중국에 대한 최첨단 AI칩 판매를 금지하고 있다.

    변휘기자 2025.05.01 13:16:18
    화웨이 젠슨황 엔비디아 AI 인공지능

데이터랩

  • 스타트업 통계
  • 스타트업 조회
  • 투자기관 분석

전체

  • 일반
  • 정책
  • 행사
  • 인터뷰

스타트UP스토리

머니

  • 투자·회수
  • 이주의 핫딜
  • 머니人사이드

트렌드

  • 줌인 트렌드
  • 테크업팩토리

비디오

  • 유팩TV
  • 유팩IR

커리어

  • 채용
  • 스타트잡

혁신요람

  • 액셀러레이터
  • 유니밸리

오피니언

기자 프로필

전체

스타트UP
스토리

머니

트렌드

비디오

커리어

혁신요람

오피니언

기자 프로필

데이터랩

뒤로가기 Top버튼

유니콘팩토리

  •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머니투데이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1 (서린동, 청계빌딩) 대표이사/발행인/편집인 : 강호병 등록번호 : 서울아01084 사업자등록번호 : 762-86-02890 등록일 : 2009.12.24 제호 : 머니투데이 발행일 : 2000.1.1 연락처 : 02-724-7700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택균
COPYRIGHT©UNICORNFAC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