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과거 성냥과 양철, 비누 등을 수입에 의존했지만 지금은 세계 제조업 1위 대국이 됐다. 이 길이 옳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5월 뤄양시 한 베어링 제조사의 스마트 공장을 둘러보며 한 말이다. 중국에서 최고지도자의 현장시찰 발언은 그대로 산업 정책이다. 현지 언론은 이에 '제조업 자립과 자강의 메시지'라는 해석을 내놨다. AI(인공지능)가 자고 일어나면 혁신하고, 휴머노이드(인간형)로봇이 마라톤을 달리며, 드론이 택배를 배달하는 세상이다. 그럼에도 제조업의 심화 발전을 주문한 의미심장한 발언...
베이징(중국)=우경희기자 2025.06.20 08:15:51중국에서 생명공학(바이오테크) 기업들이 4년간 이어진 긴 침체를 끝내고 올해 아시아 증시에서 가장 뜨거운 주식으로 떠올랐다. 중국이 개발한 신약을 두고 서방 기업들의 라이선스 계약이 줄을 잇는 가운데 중국 생명공학 업계가 '딥시크 모먼트'를 맞이했단 평가가 나온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항셍 바이오테크 지수는 올해 들어서만 60% 넘게 뛰었다. 이런 추세는 올해 '딥시크 충격' 이후 랠리에 올라탄 중국 기술주를 능가한다. 항셍테크 지수는 올해 1월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오픈AI의 챗GPT에 견줄 ...
윤세미기자 2025.06.16 17:29:57중국 AI 언어추론모델 딥시크에 가상전쟁 시나리오 작성을 지시해보니 48초 만에 1만 개의 시나리오를 얻을 수 있었다고 현지 연구팀이 밝혔다. 중국 인민해방군이 딥시크를 본격적으로 활용한다면 훨씬 뛰어난 역량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16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시안이공대학 컴퓨터공학과 소속 푸 얀팡 교수 연구팀은 딥시크로 구축한 가상전쟁 수행 시스템을 통해 48초 만에 1만 개의 전쟁 시나리오를 생성해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지난 14일 학교 웹사이트에 게시됐다. 푸 교수는 &quo...
김종훈기자 2025.05.18 10:59:39'딥시크 쇼크'는 시작에 불과했다. 전 세계에 중국산 생성형 AI(인공지능) 서비스가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산 AI 챗봇이 전기차나 태양광 패널처럼 가성비를 무기로 세계 시장을 잠식할 수 있단 전망이 나온다. 25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1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600만달러(약 87억원)도 안 되는 예산으로 오픈AI의 챗GPT에 필적할 만한 AI 모델 'R1'을 선보여 업계를 충격에 빠뜨린 가운데, 중국 기술 기업들은 기다렸다는 듯 가성비 AI 모델을 잇달아 시장에 쏟아내고 있다. 중국 ...
윤세미기자 2025.03.26 16:30:002022년 11월 오픈AI의 생성형 AI(인공지능) '챗GPT'가 공개된 이후 AI는 빠르게 우리 일상으로 들어왔다. AI를 활용한 검색이 일반화했고, 추론이 필요한 문제의 답을 구하거나 보고서 등의 전문적인 문서 작성에도 활용한다. 또 과거에는 디자이너가 며칠에 걸쳐 작업해야 했던 이미지와 영상을 간단한 조건 몇 줄 입력만으로 누구나 손쉽게 완성할 수 있게 됐다. 이처럼 갈수록 AI 활용이 늘어남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향후 글로벌 패권에 있어서도 AI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AI 기술력과 관련 제도에서 앞서...
김상희기자 2025.03.26 09:30:00앤트그룹이 중국산 반도체를 사용해서 AI(인공지능) 모델 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20%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AI 칩 수출 규제가 강화되자 중국 기업들이 중국산 반도체로 AI 모델 개발에 나섰으며 일부 성과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4일 블룸버그는 앤트그룹이 알리바바와 화웨이가 개발한 중국산 반도체를 사용해 '전문가 혼합'(MoE·Mixture of Experts) 방식으로 AI 모델 링 플러스(Ling-Plus)와 링 라이트(Ling-Lite)를 훈련했다고 보도했다. MoE는 AI모델이 가지고 있는 매개 변수 중...
김재현기자 2025.03.25 10:04:49LG가 미국 챗GPT, 중국 딥시크의 AI(인공지능)와 경쟁할 '추론형 AI 모델'을 내놨다. 매개변수(파라미터)가 딥시크 'R1'의 5% 수준이지만 성능은 미국·중국의 주요 AI 모델에 견줄 만큼 우수하다. LG AI연구원은 18일 '엑사원 딥(EXAONE Deep)'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한편 1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개막한 'GTC 2025'에서 이 모델을 선보였다. '엑사원 딥-32B'은 매개변수가 320억개라 딥시크 R1의 매개변수(6710억개) 대비 5% 수준이지만 수학·과학 문제 해결 능력 등...
유선일기자 2025.03.18 15:30:00온 중국이 AI(인공지능) 챗봇 딥시크(DeepSeek)와 공전의 히트 애니메이션 '너자2' 열기에 휩싸였다. 양회(전인대·정협)를 거치며 중국 기술에 대한 민족주의는 신드롬화할 조짐까지 보인다. 관영언론과 관변 연구자들이 일제히 과학기술 찬양에 나서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자성의 목소리도 눈길을 끈다. 근원적 경쟁력 혁신 없이는 미국과 기술격차가 더 벌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홍콩중문대 선전캠퍼스(CUHK-선전) 정융녠 교수(공공정책학원장)는 최근 중문대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과도한 민족주의는 앞으로 더욱 치열해...
베이징(중국)=우경희기자 2025.03.12 08:51:24[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유엔(UN)은 지난해 양자과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2025년을 '국제 양자과학 및 기술의 해'로 지정했다. 실제로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 2025 등에서도 양자기술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이런 가운데 이스라엘의 양자컴퓨팅 스타트업 퀀텀머신이 1억7000만달러(약 2482억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를 유치했다. 지난달 26일(현지시간) 포브스 등 외신에 따르면 이는 지금까지 양자컴퓨팅 관련 스타트업이...
김성휘기자 2025.03.01 07: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중국 딥시크의 개인정보유출 논란으로 국내 AI(인공지능)서비스 스타트업들의 딥시크 AI모델 도입에도 제동이 걸리는 모습이다. 개인정보유출 가능성은 딥시크가 자체 제공하는 앱·웹 등 서비스에만 해당할 뿐 R1 등 AI모델 활용과는 무관하지만 자칫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딥시크가 AI모델 R1을 공개한 지 1달여가 지났지만 국내에서 R1의 API(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고석용기자 2025.02.24 1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