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유니콘팩토리

로그인

최근 검색어

최근 검색 내역이 없습니다.

추천태그

유니콘팩토리 글로벌스타트업씬 오픈AI 기후테크 퀀티넘

최신기사

  • 기사 이미지 일반 두나무·빗썸 이미 대기업인데...뒤늦은 벤처기업 인정 '만시지탄'
  • 기사 이미지 일반 '케데헌' 갓 쓴 까치에 깜짝 놀란 이 회사, 삼성전자만이 아니었다
  • 기사 이미지 일반 팀 쿡 "한국 고객 사랑한다...더 많은 애플 경험 선보일 것"
  • 기사 이미지 투자·회수 뷰티·유전자치료 '뭉칫돈'…9월 둘째주 투자 몰린 스타트업 어디?
  • 기사 이미지 머니人사이드 배민·리멤버 알아봤던 日 투자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 기대"

딥시크

추천태그

유니콘팩토리 글로벌스타트업씬 오픈AI 기후테크 퀀티넘
총 8건 최신순
  • 기사 이미지 "딥시크, 화웨이칩 쓰다 낭패"…중국이 엔비디아 못 놓는 이유

    중국의 AI(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가 새로운 서비스에 화웨이의 AI칩을 채택했지만 기술적 문제가 발생해 출시 시기를 미뤘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 보도에 따르면 딥시크는 올해 1월 R1 모델을 출시한 후 당국으로부터 엔비디아의 AI칩 대신 화웨이의 어센드(Ascend) 칩을 채택하라는 압박을 받았다. 앞서 딥시크는 낮은 개발비로 챗GPT에 버금가는 성능의 생성형 AI 챗봇 'R1'을 선보이며 전 세계에 충격을 줬다. 글로벌 AI 기술 경쟁에서 중국의 위상을 높이며 'AI판 스푸트니크 순간'이라고도 불렸다. 그러나 중국은 AI칩 패권을 쥐고 있는 미국의 엔비디아에 대항해 자체 기술력을 키워야 한다며 자국 AI 기업에 화웨이 등 중국산 AI 칩의 사용을 권고해 왔다. 이에 따라 딥시크도 어센드 칩을 사용해 새로운 R2 모델을 훈련했지만 지속해서 기술적 문제에 부딪혔다. 화웨이는 엔지니어를 딥시크 측에 직접 파견해 R2

    변휘기자 2025.08.14 16:35:32
    딥시크 화웨이 엔비디아 유니콘팩토리
  • 기사 이미지 화웨이·딥시크 첨단기술 뒤엔…10년 전 내놓은 '중국제조2025' 있었다

    "우리는 과거 성냥과 양철, 비누 등을 수입에 의존했지만 지금은 세계 제조업 1위 대국이 됐다. 이 길이 옳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5월 뤄양시 한 베어링 제조사의 스마트 공장을 둘러보며 한 말이다. 중국에서 최고지도자의 현장시찰 발언은 그대로 산업 정책이다. 현지 언론은 이에 '제조업 자립과 자강의 메시지'라는 해석을 내놨다. AI(인공지능)가 자고 일어나면 혁신하고, 휴머노이드(인간형)로봇이 마라톤을 달리며, 드론이 택배를 배달하는 세상이다. 그럼에도 제조업의 심화 발전을 주문한 의미심장한 발언...

    베이징(중국)=우경희기자 2025.06.20 08:15:51
    딥시크 화웨이 반도체 중국 유니콘팩토리
  • 기사 이미지 AI보다 뜨거운 중국 생명공학…"딥시크 모먼트 맞았다"

    중국에서 생명공학(바이오테크) 기업들이 4년간 이어진 긴 침체를 끝내고 올해 아시아 증시에서 가장 뜨거운 주식으로 떠올랐다. 중국이 개발한 신약을 두고 서방 기업들의 라이선스 계약이 줄을 잇는 가운데 중국 생명공학 업계가 '딥시크 모먼트'를 맞이했단 평가가 나온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항셍 바이오테크 지수는 올해 들어서만 60% 넘게 뛰었다. 이런 추세는 올해 '딥시크 충격' 이후 랠리에 올라탄 중국 기술주를 능가한다. 항셍테크 지수는 올해 1월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오픈AI의 챗GPT에 견줄 ...

    윤세미기자 2025.06.16 17:29:57
    딥시크 중국 바이오테크 3S바이오 화이자
  • 기사 이미지 중국 군에 딥시크 이식하면…48초 만에 가상전투 1만건

    중국 AI 언어추론모델 딥시크에 가상전쟁 시나리오 작성을 지시해보니 48초 만에 1만 개의 시나리오를 얻을 수 있었다고 현지 연구팀이 밝혔다. 중국 인민해방군이 딥시크를 본격적으로 활용한다면 훨씬 뛰어난 역량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16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시안이공대학 컴퓨터공학과 소속 푸 얀팡 교수 연구팀은 딥시크로 구축한 가상전쟁 수행 시스템을 통해 48초 만에 1만 개의 전쟁 시나리오를 생성해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지난 14일 학교 웹사이트에 게시됐다. 푸 교수는 &quo...

    김종훈기자 2025.05.18 10:59:39
    딥시크 가상전투 중국 유니콘팩토리
  • 기사 이미지 딥시크는 예고편?…'가성비' 중국 AI 모델 '우수수', 세계 잠식하나

    '딥시크 쇼크'는 시작에 불과했다. 전 세계에 중국산 생성형 AI(인공지능) 서비스가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산 AI 챗봇이 전기차나 태양광 패널처럼 가성비를 무기로 세계 시장을 잠식할 수 있단 전망이 나온다. 25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1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600만달러(약 87억원)도 안 되는 예산으로 오픈AI의 챗GPT에 필적할 만한 AI 모델 'R1'을 선보여 업계를 충격에 빠뜨린 가운데, 중국 기술 기업들은 기다렸다는 듯 가성비 AI 모델을 잇달아 시장에 쏟아내고 있다. 중국 ...

    윤세미기자 2025.03.26 16:30:00
    딥시크 오픈AI 가성비 알리바바 유니콘팩토리
  • 기사 이미지 본격화하는 美·中 AI 패권 경쟁…"韓, 차별적 역량 확보해야"

    2022년 11월 오픈AI의 생성형 AI(인공지능) '챗GPT'가 공개된 이후 AI는 빠르게 우리 일상으로 들어왔다. AI를 활용한 검색이 일반화했고, 추론이 필요한 문제의 답을 구하거나 보고서 등의 전문적인 문서 작성에도 활용한다. 또 과거에는 디자이너가 며칠에 걸쳐 작업해야 했던 이미지와 영상을 간단한 조건 몇 줄 입력만으로 누구나 손쉽게 완성할 수 있게 됐다. 이처럼 갈수록 AI 활용이 늘어남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향후 글로벌 패권에 있어서도 AI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AI 기술력과 관련 제도에서 앞서...

    김상희기자 2025.03.26 09:30:00
    딥시크 인공지능 AI 챗GPT 오픈AI
  • 기사 이미지 딥시크 충격 여전한데…앤트그룹, 중국산 칩으로 AI 비용 20% 아꼈다

    앤트그룹이 중국산 반도체를 사용해서 AI(인공지능) 모델 개발에 필요한 비용을 20%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AI 칩 수출 규제가 강화되자 중국 기업들이 중국산 반도체로 AI 모델 개발에 나섰으며 일부 성과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4일 블룸버그는 앤트그룹이 알리바바와 화웨이가 개발한 중국산 반도체를 사용해 '전문가 혼합'(MoE·Mixture of Experts) 방식으로 AI 모델 링 플러스(Ling-Plus)와 링 라이트(Ling-Lite)를 훈련했다고 보도했다. MoE는 AI모델이 가지고 있는 매개 변수 중...

    김재현기자 2025.03.25 10:04:49
    딥시크 앤트그룹 중국 반도체 AI
  • 기사 이미지 "챗GPT·딥시크와 경쟁한다"…LG, 국내 첫 추론형 AI '엑사원 딥' 공개

    LG가 미국 챗GPT, 중국 딥시크의 AI(인공지능)와 경쟁할 '추론형 AI 모델'을 내놨다. 매개변수(파라미터)가 딥시크 'R1'의 5% 수준이지만 성능은 미국·중국의 주요 AI 모델에 견줄 만큼 우수하다. LG AI연구원은 18일 '엑사원 딥(EXAONE Deep)'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한편 1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개막한 'GTC 2025'에서 이 모델을 선보였다. '엑사원 딥-32B'은 매개변수가 320억개라 딥시크 R1의 매개변수(6710억개) 대비 5% 수준이지만 수학·과학 문제 해결 능력 등...

    유선일기자 2025.03.18 15:30:00
    딥시크 LG AI연구원 챗GPT 오픈AI

데이터랩

  • 스타트업 통계
  • 스타트업 조회
  • 투자기관 분석

전체

  • 일반
  • 정책
  • 행사
  • 인터뷰

스타트UP스토리

머니

  • 투자·회수
  • 이주의 핫딜
  • 머니人사이드

트렌드

  • 줌인 트렌드
  • 테크업팩토리

비디오

  • 유팩TV
  • 유팩IR

커리어

  • 채용
  • 스타트잡

혁신요람

  • 액셀러레이터
  • 유니밸리

오피니언

기자 프로필

전체

스타트UP
스토리

머니

트렌드

비디오

커리어

혁신요람

오피니언

기자 프로필

데이터랩

뒤로가기 Top버튼

유니콘팩토리

  • 회사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머니투데이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1 (서린동, 청계빌딩) 대표이사/발행인/편집인 : 강호병 등록번호 : 서울아01084 사업자등록번호 : 762-86-02890 등록일 : 2009.12.24 제호 : 머니투데이 발행일 : 2000.1.1 연락처 : 02-724-7700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택균
COPYRIGHT©UNICORNFAC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