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가운데)이 14일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모태펀드 정책포럼'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중기부모태펀드가 AI·딥테크 등 전략 산업 육성과 민간자본 유입, 비수도권 벤처투자 확대 등 역할을 강화해야 하며 이를 위해 모태펀드 존속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됐다.
중소벤처기업부, 한국벤처투자는 14일 서울 켄싱턴 호텔에서 '모태펀드 정책포럼'을 개최하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모태펀드 출범 20주년을 맞아 운용 성과를 돌아보고 모태펀드 존속기간 연장, 민간자금의 벤처투자 확대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에는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정진욱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한국벤처투자 대표이사 및 업계 인사, 벤처캐피탈과 스타트업 관계자, 학계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모태펀드는 펀드에 투자하는 펀드를 뜻하며, 국내에는 정부가 재원을 마련하면 민간이 이를 바탕으로 벤처펀드를 결성하는 형태로 벤처 생태계에 주요한 투자자금이 되고 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모태펀드가 20년간 벤처투자 시장에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며 '투자→회수→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 성과가 소개됐다. 아울러 모태펀드 존속기한 연장의 필요성도 논의됐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연기금과 금융권 등 민간자금의 벤처투자 참여 성과가 공유됐다. 올해 연기금투자풀인 무역보험기금이 처음으로 벤처투자에 참여해 모태펀드와 'LP 첫걸음 펀드'를 조성했으며, 대기업·은행·공기업 등이 출자한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도 설립됐다.
한성숙 장관은 "모태펀드는 지난 20년간 국내 벤처투자 생태계의 든든한 버팀목이자 성장 동력이었다"며 "앞으로 다양한 자금이 벤처투자 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모태펀드 역할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투자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중기부는 이번 포럼을 계기로 모태펀드 성과를 널리 알리고, 모태펀드가 나아갈 방향을 올해 발표하는 '벤처 4대 강국 도약 종합대책'으로 구체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