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전력인프라 핵심 'SiC 전력반도체' 국산화…페스터, 시드투자 유치

최태범 기자 기사 입력 2025.11.12 14:09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국산 실리콘카바이드(SiC) 기반 스마트그리드 솔루션 기업 페스터가 씨엔티테크와 DB캐피탈이 결성한 '씨엔티테크-디비드림빅 투자조합'으로부터 시드투자를 유치했다고 12일 밝혔다.

페스터에 따르면 글로벌 전력 산업은 실리콘(Si)에서 SiC 기반 전력반도체로 빠르게 전환 중이다. SiC는 기존 Si 대비 전력손실 50% 감소, 열전도성 3배 향상, 장비 소형화가 가능해 전기차 충전기, 태양광 인버터 등 차세대 전력 인프라의 핵심 소재로 떠오르고 있다.

페스터 관계자는 "문제는 한국의 SiC 기술 자립률이 10%에 미치지 못해 핵심 모듈 대부분을 여전히 중국과 유럽에서 수입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페스터는 국산 K-SiC 파워모듈을 자체 설계·개발한다"고 했다.

특히 페스터는 전기차 충전 안전의 핵심 기술인 PLC 기반 SECC(전력선 통신 제어) 모듈을 상용화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페스터의 SiC 파워모듈은 전력변환 효율 97.5%, EMC Class-B(전자파 적합성) 인증 통과를 통해 기술 완성도를 입증했다.

페스터는 세계 최소형 수준의 SECC 모듈도 개발했다. 기존 완속충전기는 SECC 미탑재로 충전 종료 후에도 전류가 흘러 과열·화재로 이어지는 구조적 문제가 있었다. 페스터는 충전 완료 즉시 전류를 차단하고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충전 기술을 구현했다.

이정형 페스터 대표는 "SiC 전력반도체는 한국이 반드시 확보해야 할 핵심 기술임에도 지금까지 수입 의존이 불가피했다"며 "이번 투자를 계기로 국산 K-SiC 기술 경쟁력 강화와 스마트그리드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했다.

최현순 씨엔티테크 팀장은 "국내 SiC 기술 공백이 심각한 상황에서 페스터는 국산 기술로 전력 인프라 자립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며 "앞으로 팁스(TIPS) 연계와 글로벌 진출을 위한 전략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