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2025년 글로벌 창업생태계 순위/그래픽=이지혜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 경쟁력 순위가 일본에 추월당하며 글로벌 20위, 아시아(동아시아) 4위를 기록했다.
17일 글로벌 스타트업 시장조사기관 스타트업 블링크가 발표한 '스타트업 에코시스템 리포트 2025'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4월 기준 스타트업 생태계 순위는 지난해 이어 20위를 유지했다. 1위 미국, 2위 영국, 3위 이스라엘 순이었고,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4위), 중국(13위), 일본(18위)에 이어 네 번째를 기록했다.
전체 순위는 20위를 유지했지만 아시아 기준으로는 일본에 3위 자리를 내줬다. 일본은 지난해 21위로 우리나라보다 낮은 순위를 기록했지만 올해는 3계단 상승한 18위를 기록했다. 스타트업 블링크의 생태계 지표 점수에서 일본이 한국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이면서다. 아시아 국가들의 성장률은 중국 45.9%, 싱가포르 44.9%, 일본 36.0%, 한국 23.7% 순이었다.
보고서는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가 정부의 지원과 대기업의 다양한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프로그램으로 강점이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을 미치는 초대형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 스타트업)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는 점, 서울 외에 눈에 띄는 도시가 없다는 점 때문에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국내 유니콘 기업은 27개사로 대부분은 내수 플랫폼 기반 기업 다수를 차지한다. 온라인 상거래 등 소비재 유통 플랫폼 분야가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고, 미디어·콘텐츠 분야를 더하면 비중은 70%에 달한다. 해당 유니콘들은 대부분 내수시장을 겨냥하고 있어 성장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수도권 집중 현상도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된다. 이번 보고서의 도시별 분석에서 서울은 20위로 지난해보다 1계단 올라 처음으로 20위권에 들었다. 그러나 500위권에 이름을 올린 도시는 대전(366위), 부산(393위) 등 2곳에 불과했다. 일본은 도쿄(13위) 외에도 오사카(146위), 교토(159위), 후쿠오카(246위) 등 5곳이 500위권 도시에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