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테크 창업·기술이전 한 곳에서…'키스트이노베이션' 공식 출범

류준영 기자 기사 입력 2025.07.11 13: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민관협력 기반의 기술사업화 생태계 구축... 곽병성 초대 대표이사 취임
2030년까지 총 200억원 출자…185개 창업기업 육성 목표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기술사업화 전문회사 '키스트이노베이션'이 11일 공식 출범했다. 공공 연구성과의 민간 이전과 창업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IST는 이날 KIST 존슨 강당에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주요 산학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키스트이노베이션의 비전 선포식 및 대표이사 취임식을 개최했다. 키스트이노베이션은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신기술창업전문회사로, 과기정통부의 기술사업화 전문회사 육성 전략에 발맞춰 올해 6월 설립됐다.

이번 출범은 KIST가 그동안 분산하여 운영하던 기술사업화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고, 딥테크(첨단기술) 창업부터 투자·회수에 이르기까지 기술사업화 전 과정을 아우르는 독자적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의 일환이다. 특히, 일본의 이화학연구소(RIKEN) 등 해외 선진 사례를 벤치마킹해 KIST만의 차별화된 모델을 설계한 것이 특징이라는 설명이다.


기술사업화 전주기 통합… 오상록 원장, 공공-민간 협력 모델 강조


키스트이노베이션은 기존 기술이전전담조직(TLO) 기능과 한국기술벤처재단의 인큐베이팅·엑셀러레이팅을 통합, △기술사업화(전략적 IP 관리 및 해외거점 중심 진출 확대) △창업 및 기업지원(딥테크 특화 및 유형별 맞춤형 지원) △투자 및 회수(기획형 창업 중심 투자 및 다각적 회수 전략) 등 통합 지원 체계를 마련했다. 특히, 민간 자본의 신속한 투자가 가능한 법적 구조를 통해 제도적 유연성과 탄력성을 확보, 기존 출연연 기술지주회사의 한계를 극복할 것으로 보인다.

오상록 KIST 원장은 "과학기술의 출발점이었던 KIST가 이제는 기술사업화와 창업 혁신의 중심으로 거듭난다"며 "키스트이노베이션은 민간의 전문성과 자원을 결합한 새로운 공공-민간 협력 모델로, 기술주도형 R&D 정책 전환과 청년 과학기술인 창업 활성화의 전진기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표이사로는 곽병성 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장이 선임됐다. 곽 대표는 서울대학교와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했으며, SK이노베이션과 SK라이프사이언스 등에서 연구개발 및 글로벌 기술전략을 총괄한 경험이 있다.

그는 향후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글로벌 진출과 투자 연계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이사회에는 KIST 로봇미디어연구소 초대 소장을 지낸 여준구 대동모빌리티 대표 등 민간 전문가들도 참여해 민간 노하우를 본격 도입한다.

KIST는 이날 키스트이노베이션을 통해 2030년까지 총 200억원을 출자하고, 185개 창업기업을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서울바이오허브, 홍릉강소특구 등 KIST가 관여해온 기술사업화 조직도 키스트이노베이션 중심으로 통합하면서 사업화 역량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ETRI 이어 출연연 두 번째 기술지주형 자회사…기술사업화 새 모델 될까


KIST는 이로써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이어 두 번째로 기술지주형 자회사를 공식 출범시킨 출연연이 됐다.

ETRI의 '에트리홀딩스'가 흑자 전환과 97개 출자기업 육성에 성공한 바 있지만, 자본금·인력 부족 등의 한계로 다른 출연연으로 확산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정부가 올해부터 기술사업화 전용 R&D 예산을 확대하고, 공공기술 사업화 실적을 강화하겠다는 기조를 밝히면서 KIST의 행보가 새로운 모델이 될지 주목된다.

곽 대표는 "키스트이노베이션의 출범은 단순한 조직 신설을 넘어, 연구현장이 기술사업화 실적을 직접 책임지는 구조로의 전환이라는 점에서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며 "기획형 창업과 단계별 맞춤형 지원으로 스케일업 중심의 전략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