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정의정 람다256 대표(왼쪽)와 이하얀 크레도스파트너스 대표가 업무협약을 맺고 있다. /사진=크레도스파트너스 제공핀테크 스타트업 크레도스파트너스가 토큰증권 플랫폼과 신탁관리 등의 새로운 금융서비스 개발을 위해 블록체인 서비스 전문기업 람다256과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크레도스파트너스는 금융위원회 샌드박스 선정된 '신탁운영 온라인관리'와 '해외 채권·사모투자 WM 운영플랫폼'을 다수의 금융회사와 테스트 중이다. 연내 상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람다256은 웹3 개발자를 위한 블록체인 인프라 플랫폼 '노딧'과 온톨로지 기반 데이터 분석 플랫폼 '클레어'를 중심으로, 블록체인 기술의 상용화와 데이터 기반 생태계 조성에 주력하고 있다.
양측의 협력 과제인 토큰증권은 채권이나 사모펀드와 같이 만기가 길고 최소 규모가 큰 투자자산들을 소규모·저비용으로 거래 가능하도록 해 투자자 저변 확대와 자산가치 상승에 기여할 수 있다.
크레도스파트너스 관계자는 "핵심적인 성공 요소는 분산원장을 통한 거래내역 관리의 신뢰성과 유관기관 간 정보 공유의 투명성, 토큰을 이용한 거래의 효율성"이라며 "블록체인 기술과 선진 금융의 이해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이번 협업을 진행하게 됐다"고 했다.
양측은 선진국 대비 뒤처진 자산유동화금융, 공급망금융 등 대외업무 처리를 수반하는 금융서비스 전반의 혁신도 함께 추진하고, 금융취약층 지원과 같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 동남아시아 등 해외 진출에도 협력할 예정이다.
이하얀 크레도스파트너스 대표는 "토큰증권 플랫폼은 비정형 사모투자 상품의 사설 거래소로 증권거래소 이상의 관리 난이도를 갖고 있다. 람다256의 토큰증권 솔루션은 기존 금융사 시스템과의 연동 등 다양한 요구사항이 반영돼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국내 시장에 한정하기보다 해외 투자자 유치, 해외 우량자산의 국내 소개, 크로스보더 투자 수단 등 더 넓은 시장에서 이를 활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상훈 람다256 본부장은 "크레도스파트너스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국내외 다수의 금융사들을 연결하는 거래 플랫폼을 구현한 바 있다. 여기에 람다256의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금융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고 해외 시장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토큰증권을 시작으로 사모투자 상품관리와 디지털 인증 등 다양한 사업 기회가 파생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