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22일 열린 한국중소기업학회 혁신벤처포럼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배종훈 서울대 교수, 김상준 이화여대 교수, 문정빈 고려대미래교육원장, 박경민 연세대 교수,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 진병채 한국중소기업학회장, 이동주 중소벤처기업연구원 부원장, 이정민 벤처기업협회 사무총장, 윤현중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장 /사진=벤처기업협회 제공"AI(인공지능)을 제조·유통·물류·서비스업 등에 활용해 중소·벤처기업의 생산성을 올려야 한다. 특히 AI를 제조업에 확대 적용해 중소제조업 부흥을 일으켜야 한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22일 열린 한국중소기업학회 혁신벤처포럼에서 "제조 강국의 명맥을 유지하려면 AI 팩토리 확산을 위한 '스마트제조산업 육성법'을 제정하고 예산 확대도 시급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중소기업학회와 중소기업중앙회, 벤처기업협회가 공동 개최한 이날 행사는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역동적 창업·벤처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추 본부장은 "경제성장 엔진이 멈춰선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소수 대기업 중심의 산업정책을 중소·벤처기업 중심의 생태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진병채 한국중소기업학회 학회장(카이스트 교수)은 "벤처기업은 과거 30년간 국가 경제 성장률을 상회하는 성장을 해왔다. 한국 경제 구조를 전통 제조업 중심에서 지식 집약형 산업으로 전환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고용 창출력에서도 이미 4대그룹 전체 고용인원을 넘어섰다. 다시 도약하는 한국의 경제를 위해서는 벤처생태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미래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를 위해 △유능한 인재의 생태계 유입을 위한 스톡옵션 제도 정비 △민간자금이 벤처생태계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인하는 획기적인 세제 개편 △투자 회수 시장 활성화를 위한 벤처기업 M&A(인수합병) 제도 정비를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정민 벤처기업협회 사무총장은 "벤처정책이 국가 경제정책의 최우선 아젠다가 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68개 법정기금의 벤처·스타트업 투자 의무화, 주52시간 제도 등 근로시간 제도 개편, 규제혁신 기준 국가 목표제 및 산업규제 권한의 지방 이양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배종훈 서울대 교수는 '스타트업 다르게 일하기'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지난 10년간 창업지원 체계의 고도화로 진입 시점에서 창업자가 부담하는 위험은 현저히 낮아졌다. 그만큼 창업 생태계의 경쟁 기반 효율화가 요구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스타트업 생존율 기반 지원 정책이 아니라 생태계 참여자의 공정한 경쟁을 지원하는 대칭적 규제, 상품 수준이 아니라 가치사슬 수준의 아이디어 발굴, 컴퓨터 연산 지원 서비스가 포함된 공유 데이터 센터의 구축 등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