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준비하는 스타트업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상장 전략과 실무 이슈를 공유하는 자리가 열렸다.
한국스케일업팁스협회는 27일 KB지주금융지주 DMC센터에서 '2025 스케일업 팁스 라운드테이블 "기술특례상장 제도부터 성공 전략까지"라는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기술특례상장 제도와 최근 IPO 동향, 기술평가 항목, 정책 변화 방향 등 기업들이 실제 상장을 준비하며 마주하게 되는 핵심 이슈들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프로그램은 오프닝을 시작으로 △코스닥 시장 상장 개요 △기술특례 상장의 절차와 기준 △정책 방향 △성공 사례 공유 순으로 이어졌다. 특히 기술특례상장을 준비 중인 팁스 참여 기업 관계자들이 실질적인 조언을 얻기 위해 행사장 질문 세션까지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현장 열기를 더했다.
첫 발표는 한국거래소 코스닥 기술상장 심사1팀을 이끌고 있는 변성환 팀장이 맡았다. 그는 '최근 기술특례 상장의 상장정책 및 실무이슈'를 주제로 코스닥 시장 구조와 IPO 동향을 개괄적으로 설명했다.
변 팀장은 "코스닥 시장은 외형적 성장뿐 아니라 기술 기반 기업의 상장 비중이 꾸준히 확대되는 추세"라며 "2025년 기준 시가총액 1조 원을 넘는 기술특례상장 기업만 10개 이상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최근 IPO 동향에서는 신규상장 기업의 영업이익 회복세와 함께 기술특례상장 제도가 시장 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착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어 발표된 기술특례상장 제도 설명에서는 실제 평가 항목과 절차가 소개됐다. 변 팀장은 기술성·시장성·지속성 등 핵심 평가 기준을 소개하며 "이제는 상장 자체보다 상장 이후의 성과를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가 중요해지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행사 말미에는 기술특례상장의 미래 정책 방향을 다룬 발표가 이어졌다. 특히 기술특례상장의 부실 사례가 시장 신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 따라서 상장 이후 모니터링 체계와 투자자 신뢰 확보 전략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서주원 스케일업팁스협회장은 "이번 행사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준비하는 기업들에게 실질적 조언을 제공하는 동시에, 정부와 기관이 제도 개선을 논의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