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카이스트(KAIST)는 기술가치창출원이 28일 서울 코엑스에서'2025 KAIST 테크페어'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기술사업화 촉진을 목표로, KAIST가 보유한 첨단 연구성과를 산업계와 직접 연결하는 장이 될 전망이다.
올해 테크페어는 '딥테크 기반의 혁신, 산업 현장으로'를 주제로, 인공지능(AI), 바이오·의약, 첨단소재, 로봇, VR 인터페이스 등 미래 핵심 기술 분야가 총망라된다. 참여 기업들은 KAIST 연구진과의 만남을 통해 기술이전, 투자, 일대 일 상담 등 실질적인 협력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
KAIST 대표 산학협력프로그램 ILP 소개 및 기술이전 설명회
━
이번 행사는 KAIST 대표 산학협력 프로그램인 'ILP(Industry Liaison Program)' 소개로 시작된다. ILP는 기업과 KAIST가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해 기술 수요를 공유하고, 공동연구 및 맞춤형 기술자문을 진행하는 협력 플랫폼으로, 기업은 최신 연구성과와 기술정보를 정기적으로 공유받을 수 있다.
이후 진행되는 기술이전 설명회에서는 KAIST 연구자가 직접 발표하는 사업화 유망 기술 8종이 공개된다. 올해는 특히 바이오와 인공지능 분야의 신기술이 다수 포함돼 산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오병하 교수(생명과학과)의 연구는 '차세대 발모 치료 플랫폼'으로 모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윙트(Wnt) 단백질을 재설계해 불안정성과 낮은 생산성을 개선했다. 이 단백질은 모낭 줄기세포를 활성화해 모발 성장을 촉진하며, 단백질 안정화 및 국소 전달 제형을 통해 피부 재생과 탈모 억제 효과를 동시에 실현한다. 도포형·주사형 제제로 개발되어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지속적인 발모 효과가 기대된다.
전원주 교수(기계공학과)는 '다중 공진 메타패널 구조'를 이용한 경량·고성능 방음 기술을 선보인다. 이 기술은 여러 층의 구조를 통해 소리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막아주는 원리를 활용해, 기존 금속 방음재보다 약 40% 가볍지만 차음 성능은 10dB 이상 향상됐다. 특히 엔진이나 기계에서 발생하는 낮은 주파수의 소음(저주파)을 잘 차단해 자동차, 항공기, 건축물, 드론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소음 저감 솔루션으로 활용될 수 있다.
박지호 교수(바이오및뇌공학과)는 흡입을 통해 약물을 전달하는 새로운 치료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약물이 폐로 직접 전달되도록 설계돼 주사 없이 호흡만으로 치료 효과를 낼 수 있으며, 기존 약물 전달 방식의 부작용을 줄였다. 특히 폐암이나 폐섬유화증 등 호흡기 질환 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전용웅 교수(생명과학과)는 세포가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속도와 양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세포가 손상됐을 때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작동하는 생명 반응(DNA 손상반응)을 활용해 단백질 생산 과정을 조절한다. 이를 통해 암 치료, 조직 재생,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정밀의학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원리를 제시한다.
━
기술이전 상담 및 교원창업 IR·투자상담회
━
세 번째 세션인 기술이전 상담회에서는 사전 매칭된 KAIST 교원 및 연구진과 기업 간 일대 일 맞춤형 기술 자문이 진행된다. 첨단 바이오, 차세대 반도체, 인공지능 등 국가 전략핵심기술과 연계해 기업의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는 심층 자문이 제공된다.
마지막 세션으로는 교원창업 IR 및 투자상담회가 열린다. KAIST 교원의 (예비)창업 기술이 공개되며, 벤처캐피털 및 투자사와의 네트워킹을 통해 투자유치와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건재 기술가치창출원 원장은 "KAIST는 변화하는 국제 정세와 기술 환경 속에서도 AI, 바이오·의약, 첨단소재, VR 인터페이스 등 핵심 전략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며, "이번 테크페어가 딥테크 기반의 기술사업화와 창업 생태계 확산의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KAIST는 산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 기술혁신을 이끌어왔다"며, "이번 테크페어가 첨단 연구성과의 산업 적용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기술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