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투데이 窓] 과거 아닌 미래로부터 배우기

김은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분석본부 책임연구원 기사 입력 2025.09.14 09: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UFO 칼럼]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가운데 대덕을 기반으로 한 딥테크(첨단기술) 기업이 무려 4곳에 달한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이는 기술 경쟁력 확보를 중심으로 한 중장기 육성 정책이 효과적으로 작동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내부적으로는 어떤 요인이 작용했을까. 필자가 만난 한 딥테크 스타트업 대표는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 확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시장을 제대로 아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우수 딥테크 스타트업을 지속적으로 배출한 대학들 중에는 총장 주도로 오래전부터 '기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교과목으로 편성한 곳도 있다. 이는 시장 중심 R&D(연구·개발)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한 선견지명이었다는 평가다.

딥테크 스타트업의 본질은 기술 경쟁력과 이를 기반으로 한 '기술 예측 역량'에 있다. 그러나 첨단기술을 시장에 내놓고 채택되기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며, 그 과정에서 기술력과 시장 대응력 간 불균형이 나타나기 쉽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딥테크 기업은 시나리오 플래닝을 통해 다양한 미래 시장 상황을 가정하고 전략을 수립한다. 이 과정에서 시장 조건, 수요, 트렌드, 규제 환경, 소비자 선호 등 여러 요소가 반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정부의 기업 지원 및 육성 프로그램들이 PMC(Pilot, Manufacturing and Commercialization, 제품시장검증)를 강조하기 시작한 것은 시의적절한 변화라 할 수 있다. PoC(Proof of Concept, 개념검증)와 PMC는 모두 제품 개발 및 상용화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로 이중 PoC는 기술적 타당성을 확인하고, 잠재적인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검증하여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는 것이 목적이다. PMC는 제품의 품질, 생산성, 비용, 판매 등을 최적화하고, 시장 출시 전략을 수립하는 등 전반적인 사업화 과정을 포함한다. 즉, PMC는 기술과 시장의 정합성 확보를 통한 기회포착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딥테크 스타트업은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높은 환경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기술력 못지않게 미래 기술 및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예측 역량이 전략적으로 중요하다. 즉. 딥테크 스타트업이 보유한 강력한 기술 역량과 부족한 시장 역량 간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은 기술 그 자체만큼 중요하다.

이는 기업이 보유한 강력한 기술적 역량을 미래 시장 환경과 정렬시키는 것으로 기업의 성장 궤적이 기술시장 트렌드의 성숙도와 시간 지평에 의해 어떻게 조건부로 달라질지 예측하고, 잠재적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능동적인 조직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역량이다. 특히, 강화된 예측 역량은 기업이 기술적 우위를 지속하면서도 민첩한 조직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무형자산으로, 초기 시장에서 포착한 기술기회를 실질적 성장동력으로 전환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술 발전 속도가 시장의 성숙도나 수용성보다 빠르게 전개되는 오늘날 산업 구조에서는, '과거로부터 배우기' 대신 미래의 가능성과 흐름을 통찰하는 '미래로부터의 학습'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 국내외 전문가들도 강조해 왔듯이 딥테크 스타트업은 전략적 파트너쉽 등 외부 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내부적으로는 환경·기술·시장 트렌드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스 구축을 통해 미래 통찰이 가능한 예측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한 전략적 의사결정이 기민하게 이루어질 때 실험실 기반 기술이 시장 성과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으며, 지속적인 고객가치 창출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기업으로의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김은선'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 기자 사진 김은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분석본부 책임연구원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