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창업 생태계가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다. 인공지능(AI)의 비약적 발전이 전 산업을 뒤흔들며 특히 1인·소규모 창업자들에게 전례 없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AI를 활용하면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고 초기 비용과 진입 장벽을 낮추며, 고객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기존 산업의 AI 전환(AX)도 화두다.
실리콘밸리에선 이 같은 변화가 이미 현실이다. 20대 한인 창업자는 시험·면접을 도와주는 AI를 개발, 논란 속에도 75억원 투자를 유치했다. 퍼플렉시티AI는 소규모 인력으로도 폭발적 성장을 이루며 구글의 '크롬' 부문을 인수하겠다고 나설 정도다. AI를 통해 소규모 인력으로도 투자유치와 급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다보니 2015년 17%에 불과하던 1인 창업자 비중은 2024년 두 배 이상 늘어난 37%로 집계된다.
한국의 현실은 녹록지 않다. 2025년 현재 한국은 AI 분야 투자 환경에서 민간 및 공공 자본의 접근성과 스타트업 투자 네트워크가 부족하다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있다. 주요 과제는 인재 부족, 인프라 격차, 제한된 투자 규모, 엄격한 규제 등이다. 이것이 AI 창업 생태계의 도약을 가로막고 있다. 이제는 선언적 구호가 아니라 실질적 성장을 뒷받침할 담대한 전략이 시급하다.
첫째, 지역의 AI 창업자들이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야 한다. 수도권에 집중된 인프라와 인재의 지방 확산, 각 지역 특화 산업과 연계한 AI 인큐베이팅·액셀러레이팅, 나아가 지역 대학·연구기관과 협력을 통한 인재 양성 등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AI 인재를 확보하고 유출을 방지해야 한다. 현재 국내 스타트업은 고액 연봉을 제시하는 글로벌 기업과 경쟁에서 밀려 우수 인재를 잃고 있다. 이는 창업생태계의 사활이 걸린 문제다. 소규모 기업의 AI 전문가 인건비를 지원하는 보조금 제도, 해외 우수 인재의 적극적 유치, 파격적인 연구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인프라 확충과 규제 개선이다. AI 컴퓨팅 자원은 사실상 '산업의 쌀'인데 한국은 여전히 인프라 기근 상태다. 예컨대 국가 차원의 대규모 투자와 민간 클라우드 인프라 활용 지원이 시급하다. 데이터 활용 규제 역시 유연해져야 한다. 지금은 AI 데이터 규제가 엄격해 기업들이 대규모 데이터 학습에 제약을 받고 있다.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연계해 특정 산업 문제 해결에 특화된 AI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AI 창업은 국경을 넘어야만 성장할 수 있으므로 초기 단계부터 글로벌 비즈니스 모델을 염두에 둬야 한다.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해외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국내 기업이 해외 규제와 네트워크 장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민관 협력과 개방형 혁신을 통한 자생력 강화가 중요하다.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AI 허브'처럼 공공과 민간이 긴밀히 협업하는 생태계 모델을 한국형으로 설계한다면 AI 분야 초기 진입장벽이 대폭 완화될 것이다.
전국 19곳에 설치된 '창조경제혁신센터'(혁신센터)는 이 같은 전략을 실현하는 거점이 될 수 있다. 지역 기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혁신센터를 지역 AI 창업 허브로 육성하는 것이다. AI 창업 지원의 한국형 모델로 혁신센터를 축에 놓고, 정부와 광역 및 기초 지자체가 대담한 정책을 추진하면 기업은 적극적 투자와 협력으로 화답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인재와 기술, 자본의 선순환 구조를 완성하고 통합과 융합의 AX 창업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AI 창업은 더 이상 미래의 선택지 중 하나가 아니다. 1인 창업자들이 AI를 통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현실이 될 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 대한민국이 AI 시대의 선두주자로 우뚝 서기 위한 담대한 도전을 시작해야 한다. /사진=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