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엔젤투자리스트 최고위 과정 모집

공공행정도 AI로 대전환…코딧, 국회서 정책세미나 개최

남미래 기자 기사 입력 2025.08.07 15: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6일 국회에서 열린 'K-행정의 디지털 대전환: 디지털 거버넌스를 위한 국회의 비전' 정책 세미나 현장/사진제공=코딧
6일 국회에서 열린 'K-행정의 디지털 대전환: 디지털 거버넌스를 위한 국회의 비전' 정책 세미나 현장/사진제공=코딧
AI(인공지능) 정책 모니터링 플랫폼 '코딧'은 K-행정의 디지털 전환과 정부의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세미나를 국회에서 열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최하고 한국행정학회와 코딧이 공동주관했다. 권칠승 의원은 "그간 AI에 대한 논의가 주로 제조업 분야에 집중돼 있었다면, 이번 세미나는 공공행정의 디지털 전환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AI 활용 가능성을 조명하는 뜻깊은 자리"라며 "오늘 논의된 정책 제언이 국회의 입법과 정부 정책에 실질적으로 반영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광호 한국행정학회 회장도 "AI를 활용해 규제의 현황과 부작용을 분석하고, 공공 부문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정책 수단의 효과는 데이터 기반 분석으로 극대화하고 민간의 혁신 기술을 공공 서비스에 적극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첫 번째 발제에 나선 정지은 코딧 대표이사는 "한국의 전자정부 및 공공데이터 역량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시스템통합(SI) 중심의 사업 구조와 제한된 조달 시스템으로 인해 민간의 혁신 기술이 공공에 도입되기 어려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정 대표는 이어 "스타트업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민관 협력 구조 개편, 실증 기반의 유연한 조달 체계로의 전환,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AI 시스템 구축, '코리아 원팀' 모델을 통한 공동 개발 및 수출 전략이 병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송석현 국립경국대학교 교수는 "디지털 정부 구현을 위해서는 민간이 기획 단계부터 참여하는 협치 기반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며 부처 간 데이터 공유와 지자체의 디지털 역량 제고, 공공 AI 윤리 기준 마련 등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이삼열 연세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은 종합토론에는 행정안전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등 관계 부처와 연구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배일권 행정안전부 공공지능데이터국장은 "AI 기반 디지털 행정을 위해서는 정부는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고 민간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며 "AI 공통 기반 구축, 공무원 AI 인재 양성, 정부 테스트베드 확대 등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정재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융합촉진과장은 "새 정부의 'AI 3대 강국' 전략은 기술 개발을 넘어 국민 모두가 AI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2024년부터 정부기술(GovTech) 창업 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데이터 거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 정비도 병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만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본부장은 "K-AI 정부 실현을 위해서는 강력한 리더십을 통한 과감한 의사결정과 빠른 집행이 필요하다"며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보만큼 이를 활용할 수요를 창출해 산업 전반의 혁신까지 견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태형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실장은 "한국의 전자정부 시스템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참여한 중소기업들이 해외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 기술 분야에서 유사한 문제가 반복되지 않도록 글로벌 문제 해결형 접근과 실증-조달 연계를 통한 선순환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코딧  
  • 사업분야IT∙정보통신, 경영∙인사관리
  • 활용기술빅데이터, 인공지능
  • 업력***
  • 투자단계***
  • 대표상품***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코딧' 기업 주요 기사

관련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