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30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상생룸에서 코스닥시장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기자간담회가 진행되고 있다./사진제공=벤처기업협회"회수시장의 정체는 창업과 투자의 선순환을 방해하고 있습니다. '진입은 유연하게, 퇴출은 엄정하게'라는 원칙 하에 성장 가능성 중심의 질적 심사로 전환하고 기관투자자의 코스닥 시장 유인책을 마련해야 할 때입니다."
송병준 벤처기업협회 회장은 30일 열린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기자간담회에서 "모험자본의 회수 플랫폼인 코스닥 3000 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벤처기업협회, 코스닥협회, 한국벤처캐피탈협회(VC협회) 등 3개 단체가 주최한 이번 기자간담회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코스닥시장 활성화 정책제안을 정부와 시장에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1996년 출범한 코스닥 시장은 미국 나스닥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설립된 성장주 중심 시장이다. 설립 4년만에 일평균 거래금액이 코스피를 추월할 정도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현재 코스닥 지수는 출범 당시보다 20% 낮은 약 800포인트에 머무르는 등 장기 침체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3개 협회장들은 △코스닥 운영 원칙 확립 △유동성 공급 강화 △정부의 정책 비전 제시 등을 통해 코스닥시장의 활력 회복이 필요하다고 공동 제안했다.
송병준 회장은 "코스닥 3000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지금이야말로 코스닥 시장의 새로운 역할을 정립해야 할 시점"이라며 "회수시장의 정체는 결국 창업과 투자의 선순환을 막고 있으며, 이를 구조적으로 바로잡기 위한 시장 중심의 코스닥 구조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상장 요건은 낮추고, 상장 유지 조건은 엄격하게 하는 '다산다사(多産多死)' 구조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 회장은 "코스닥 시장은 코스피와 유사한 규제, 경직된 심사 기준, 지나치게 보수화된 기술특례상장 제도로 인해 상장이 어려운 반면, 상장 후에는 퇴출이 지연 돼 저효율 기업이 시장에 잔류하고 있다"며 "민간 주도의 책임형 상장 구조를 도입하고, 주관사의 역할과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학균 VC협회 회장은 "이재명 정부의 40조원 벤처투자시장 육성 공약의 성공적인 달성을 위해서는 코스닥 시장이 활성화 돼야 한다"며 "창업-투자-회수-재투자로 이어지는 창업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위해서는 회수영역까지 확대해 정부 정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는 코스닥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한 '코스닥 활성화 펀드' 조성을 제안했다. 김 회장은 "연간 10조원씩 3년간 총 30조원 규모의 코스닥 활성화 펀드 조성을 통해 코스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기관투자자 중심으로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며 "민간 참여자의 투자를 촉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인센티브도 부여해야 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