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사진제공=벤처기업협회 벤처기업 10곳 중 4곳은 주 52시간제 준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벤처기업협회가 발표한 '벤처기업 주 52시간제 운영 실태 및 애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 41.1%는 현재 주 52시간제 준수에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44.4%)이 서비스업(35.8%) 보다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번 조사는 벤처기업 567개사 대표이사 및 인사담당 임원 대상으로 주 52시간제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근로시간제도 유연화를 위한 제도 수요를 점검하고자 진행됐다.
특히 50인 이상 기업은 70% 이상이 제도 준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해 고용 규모가 클수록 주 52시간제 준수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벤처기업들은 납기일 준수, 수주 포기 등 생산성 저하 및 운영 차질(42.5%), 구인난, 인건비 부담 등 인력문제(30.1%), 설비투자, 관리비용 증가 등 비용 부담(17.1%) 등의 문제를 안고 잇는 것으로 드러났다.
벤처기업들은 근무 체계 개편 등 내부 운영 조정과 관리 강화, 추가인력 채용과 같은 인력 운영 방안 마련, 유연근로제와 특별연장근로 활용 등으로 주 52시간제에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다.
주 52시간제 대응을 위해 채용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은 34.2%였고, 채용 없이 내부 운영방식 개선을 통해 근로 시간 제도를 준수하려는 기업은 33.7%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기업의 58.0%는 유연근무제도를 운영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비율은 서비스업(75.8%)이 제조업(47.1%)을 크게 앞섰다.
유연근무제 유형으로는 출퇴근 시간 유연이 46.1%로 가장 많았고, 근로시간 조정(31.1%), 근무 장소 유연(19.2%)이 뒤를 이었다.
벤처기업들은 일정 기간 근로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근로 시간 총량제' 도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응답기업의 68.4%는 근로시간 총량제 도입 시 활용 계획이 있다고 했다. 도입이 필요한 직군은 기술·개발이 52.9%로 가장 높았다.
현재 주 단위인 총량제 조정 단위로는 월(46.6%)을 가장 선호했고, 분기(26.6%)와 연(26.1%)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전체 49.2%는 근로시간 총량제로 특정 시기 집중 근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60.3%는 핵심 인력의 장시간 근무가 '특정 프로젝트 시기'에 필요하다고 봤다.
근로시간 예외 규정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총 82.4%에 달했다. 계획 중인 보상 방식으로는 금전적(40.5%), 근무시간(32.3%) 순이었다.
벤기협은 "주52시간 제도의 도입으로 벤처기업의 생산성 악화와 비용부담이 증가하고 글로벌 경쟁력 등 벤처기업의 핵심 경쟁력이 저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자율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혁신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연장근로의 관리 단위를 노사 합의를 통해 '주 단위'에서 '월·분기·연 단위'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연구개발 등 핵심 인력에 대해서는 미국의 '화이트칼라 이그잼션'과 같은 근로시간 예외 규정 도입해 합의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