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가 다국어 자동 더빙 기능을 공식 출시한다. 유튜브는 10일(현지 시각) 자사 블로그를 통해 다국어 오디오 기능을 내주부터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유튜브 영상 재생 시 영상 속 오디오를 사용자의 모국어로 자동 더빙해주는 기능이다. 유튜브는 "미국의 유튜버가 (영어로) 영상을 게시하자마자 한국 시청자, 브라질 시청자, 인도 시청자 누구나 자신의 모국어로 영상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작 속 목소리의 어조와 감정까지 살려 외국어로 더빙해주는 AI(인공지능) 기반 도구로, 구글의 생성형 AI 서비스 '제미나이'가 사용됐다. 이번 다국어 자동 더빙 기능은 2년간 시범(파일럿) 기간을 거쳐 공개됐다. 유튜브는 "몇몇 유튜브 채널을 대상으로 다국어 자동더빙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한 결과, 채널 평균 시청 시간의 25% 이상이 기본 설정된 언어가 아닌 외국어권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2025년 기준 4억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
박건희기자 2025.09.11 07:49:48온라인 동영상 공유 플랫폼 '유튜브'를 통해 미성년자 데이터를 무단 수집했다는 내용의 집단소송에 구글이 3000만 달러(약 417억원)의 합의안을 제시했다. 19일(현지 시각) 로이터에 따르면 구글은 18일 캘리포니아주 산호사 연방법원에 예비 합의안을 제출했다. 앞서 어린이 자녀를 둔 미국 내 부모 34명이 유튜브와 유튜브를 소유한 구글을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유튜브가 부모에게 알리거나 동의를 얻는 행위를 건너뛴 채 유튜브 채널을 통해 아동의 개인정보를 수집했다는 주장이다. 어린이 시청자가 좋아할 만한 만화, 동요 등의 콘텐츠를 유튜브 채널에 올릴 수 있도록 구글이 허용함으로써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방치했다는 게 요지다. 미국 아동 온라인 개인정보보호법(COPPA)에 따라 13세 미만인 미성년자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행위는 불법에 해당한다. 앞서 2019년에도 구글을 상대로 비슷한 내용의 집단소송이 제기됐지만, 당시 구글이 약 1억7000만달러(2368억원)의 합의금을
박건희기자 2025.08.20 08:02:59유튜브가 '요즘 유행하는 영상'을 같이 보던 과거와 달리 '내가 관심 있는 주제의 영상'을 골라 보는 새 시청방식에 맞춰 콘텐츠 추천 방식을 개편한다. 10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유튜브는 기존의 '트렌딩(Trending)' 페이지와 '트렌딩 나우(Trending Now)' 리스트를 폐지하고, 카테고리별 차트를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카테고리별 차트에는 '트렌딩 뮤직 비디오(Trending Music Videos)', '주간 인기 팟캐스트 쇼(Weekly Top Podcast Shows)', '트렌딩 영...
이찬종기자 2025.07.11 07:46:22빅테크가 국내 통신망에서 유발하는 트래픽(전송량)이 급증하고 있어 망 무임승차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는 학계 지적이 잇따른다. 망 사용료 문제를 방치하면 장기적으로 망 전체의 품질이 악화하는 '공유지의 비극'이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변상규 호서대 문화영상학부 교수는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의원·한국소통학회 주최로 열린 'AI시대 대형 플랫폼 문제점 개선 토론회'에서 이같이 우려를 표명했다. 유튜브를 소유한 구글은 2023년 일평균 기준 국내 트래픽의 30.6%를 차지했다. 같...
성시호기자 2025.04.10 16:39:05미국 음악 스트리밍(재생) 서비스 유료 구독자 수가 1억명을 돌파했다. 스트리밍으로 발생한 수익은 약 22조원에 달한다. 20일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레코드산업협회(RIAA)가 음악 스트리밍 시장에 관한 새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유료 구독자 수는 2023년 9680만명에서 약 3% 성장해 1억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미국 내 음악 스트리밍 수익은 약 149억달러(약 22조원)로 전체 음악 수익의 84%를 차지한다. 이는 유료 구독, 광고 지원 서비스, 소셜 미디어 플랫폼 등...
이찬종기자 2025.03.20 07:5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