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가 AI(인공지능) 허위 영상 단속에 나섰다. 크리에이터의 얼굴, 목소리 등을 AI로 무단 복제해 상품 홍보 등에 활용하는 영상을 감지하고 해당 크리에이터에게 삭제권을 부여한다. 회사는 지난 4월부터 유명인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해왔다. 21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유튜브는 유사성 감지(Likeness-detection) 기술을 공식 출시했다. 유사성 감지 기술은 크리에이터의 얼굴, 목소리 등을 무단으로 사용한 AI 생성 콘텐츠를 식별하고 관리한다. 이 기술은 AI 생성 콘텐츠로 크리에이터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하는 것처럼 허위 정보를 퍼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됐다. 최근 몇 년 간 유튜브에는 AI 생성 콘텐츠 악용 사례가 많았다. 전자부품 브랜드 일레크로우(Elecorw)가 유튜버 제프 기어링(Jeff Geerling)의 목소리를 AI로 복제해 자사 제품 활용에 사용한 것이 그중 하나다. 유튜브는 자사 채널을 통해 유사성 감지 기술 사용 지침을
이찬종기자 2025.10.22 07:31:03유튜브에 도전하기 위해 영상 콘텐츠 사업을 육성하는 음원 플랫폼 '스포티파이'가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넷플릭스와 손을 잡았다. 14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스포티파이는 넷플릭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해 내년부터 자사 비디오 콘텐츠를 넷플릭스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스포티파이 자체 콘텐츠 제작 브랜드 '스포티파이 스튜디오'와 스포티파이가 인수한 미국 콘텐츠 제작사 '더 링거'의 스포츠, 문화, 라이프스타일, 범죄 장르 팟캐스트 중 일부를 선별해 넷플릭스에 제공한다. 향후 다른 제작사와 장르도 추가할 예정이다. 이번 파트너십은 스포티파이의 영상 콘텐츠 육성 정책의 일환이다. 스포티파이는 지난 1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인기 비디오 팟캐스트 진행자에게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수익화를 강화하는 '파트너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또 스포티파이는 최근 투표, Q&A, 댓글 등 진행자들이 이용자와 교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셜 기능을 도입했다. 스포티
이찬종기자 2025.10.15 07:54:592021년 백악관 폭동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계정을 중지했던 유튜브가 소송을 제기한 트럼프 대통령 측에 거액의 합의금을 제시했다. 29일(현지 시각) WSJ에 따르면 유튜브 모회사 구글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소송전을 종결하기 위해 2450만 달러 (약 340억원)의 합의금을 제시했다. 이는 2021년 트럼프 대통령이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모회사 메타와 구글 유튜브를 상대로 "거대 IT 기업이 보수 진영을 검열한다"며 집단 소송을 제기한 결과다. 메타와 구글은 2021년 1월 트럼프 당시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미국 국회의사당을 공격한 이른바 '국회의사당 폭동' 사건 이후 트럼프 대통령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을 중지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플랫폼을 통해 지지자들의 폭력 사태를 부추길 수 있다는 이유였다. 유튜브는 "폭력 위험이 줄었다고 판단될 때 계정을 복구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 기업을 상대로 반격에 나섰다. 그는 당시 기자회견을 열고 "미
박건희기자 2025.09.30 07:49:04글로벌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가 다국어 자동 더빙 기능을 공식 출시한다. 유튜브는 10일(현지 시각) 자사 블로그를 통해 다국어 오디오 기능을 내주부터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유튜브 영상 재생 시 영상 속 오디오를 사용자의 모국어로 자동 더빙해주는 기능이다. 유튜브는 "미국의 유튜버가 (영어로) 영상을 게시하자마자 한국 시청자, 브라질 시청자, 인도 시청자 누구나 자신의 모국어로 영상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작 속 목소리의 어조와 감정까지 살려 외국어로 더빙해주는 AI(인공지능) 기반 도구로, 구글의 생성형 AI 서비스 '제미나이'가 사용됐다. 이번 다국어 자동 더빙 기능은 2년간 시범(파일럿) 기간을 거쳐 공개됐다. 유튜브는 "몇몇 유튜브 채널을 대상으로 다국어 자동더빙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한 결과, 채널 평균 시청 시간의 25% 이상이 기본 설정된 언어가 아닌 외국어권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2025년 기준 4억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
박건희기자 2025.09.11 07:49:48온라인 동영상 공유 플랫폼 '유튜브'를 통해 미성년자 데이터를 무단 수집했다는 내용의 집단소송에 구글이 3000만 달러(약 417억원)의 합의안을 제시했다. 19일(현지 시각) 로이터에 따르면 구글은 18일 캘리포니아주 산호사 연방법원에 예비 합의안을 제출했다. 앞서 어린이 자녀를 둔 미국 내 부모 34명이 유튜브와 유튜브를 소유한 구글을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유튜브가 부모에게 알리거나 동의를 얻는 행위를 건너뛴 채 유튜브 채널을 통해 아동의 개인정보를 수집했다는 주장이다. 어린이 시청자가 좋아할 만한 만화, 동요 등의 콘텐츠를 유튜브 채널에 올릴 수 있도록 구글이 허용함으로써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방치했다는 게 요지다. 미국 아동 온라인 개인정보보호법(COPPA)에 따라 13세 미만인 미성년자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행위는 불법에 해당한다. 앞서 2019년에도 구글을 상대로 비슷한 내용의 집단소송이 제기됐지만, 당시 구글이 약 1억7000만달러(2368억원)의 합의금을
박건희기자 2025.08.20 08:02:59유튜브가 '요즘 유행하는 영상'을 같이 보던 과거와 달리 '내가 관심 있는 주제의 영상'을 골라 보는 새 시청방식에 맞춰 콘텐츠 추천 방식을 개편한다. 10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유튜브는 기존의 '트렌딩(Trending)' 페이지와 '트렌딩 나우(Trending Now)' 리스트를 폐지하고, 카테고리별 차트를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카테고리별 차트에는 '트렌딩 뮤직 비디오(Trending Music Videos)', '주간 인기 팟캐스트 쇼(Weekly Top Podcast Shows)', '트렌딩 영화 예고편(Trending Movie Trailers)' 등이 포함된다. 유튜브는 앞으로 더 많은 콘텐츠 카테고리를 추가할 계획이다. 이번 변경으로 유튜브는 모든 인기 콘텐츠를 한데 모은 단일 리스트를 벗어나, 특정 카테고리별 인기 콘텐츠를 리스트로 추천한다. 유튜브가 이번 개편에 나선 건 다양한 팬덤이 만든 수많은 영상이 인기를 끌면서 마이크로 트렌드(소규모
이찬종기자 2025.07.11 07:4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