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글로벌 스타트업씬'은 한주간 발생한 주요 글로벌 벤처캐피탈(VC) 및 스타트업 소식을 전달하는 코너입니다. 이에 더해 국내 스타트업 시장에 미칠 영향과 전망까지 짚어드립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실리콘밸리에서 AI 스타트업을 설립한 20대 젊은 창업자 대부분이 일에 파묻혀 잠도, 술도, 재미도 포기한 생활을 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3주 연속, 주당 92시간 일했다.' 미국 AI(인공지능) 스타트업 '파일론' 창업자 마티 카우사스는 자신의 링크드인(세계 최대 비즈니스 네트워크 플랫폼)에 이 같은 글을 게시했다. 카우사스는 올 들어 딱 한번 휴가를 갔는데 남아 있는 일에 대한 스트레스가 커 계획보다 일찍 돌아왔다. 그의 목표는 10년 안에 회사를 100억달러(약 14조원) 규모로 키우는 것이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실리콘밸리에서 AI 스타트업을 설립한 20대 젊은 창업자 대부분이 일에 파묻혀 잠도, 술도, 재미도 포기한 생활을 하고 있다. '제2의 일론 머스크(테슬라 설립자), '제2의 샘 올트먼(오픈AI 설립자)'이 되고 싶어 대학도 중퇴한 이들에게 시간은 돈이다. 중국에만 '9·9·6'(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주 6일 근무)과 같은 극한 문화가 있는 것이 아니다.
━
주말에 쉬는 건 사치…휴식도 업무의 연장
━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사라진 실리콘밸리 젊은 창업자들의 모습을 밀착 취재해 보도했다. 유니콘(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비상장 스타트업)을 넘어 1조달러(약 1400조원) 규모 회사를 만들겠다는 꿈을 위해 이들은 노트북을 제외한 모든 것을 포기했다고 전했다.
AI 금융인프라 스타트업 '코기' 공동창업자인 니코 라쿠아는 출·퇴근 시간이 아까워 사무실에서 생활한다. 라쿠아의 직원 채용 원칙은 '주 7일 일할 의향이 있는 사람'만 뽑는 것이다. 그는 "직원 40명 중 30명은 전직 창업자여서 근무시간에 대한 이견이 거의 없다"며 "최근 입사한 신입사원에겐 사무실에서 쓸 침대 매트리스를 선물했다"고 말했다.
라쿠아와 함께 코기를 세운 에밀리 유안은 사무실 밖에서도 시간을 그냥 보내지 않는다. 다른 창업자들을 만나 함께 운동하며 투자 라운드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이 대표적이다. 유안은 "술집에 앉아 술 마시는 것만큼 시간 아까운 것이 없다"며 "빨리 창업하고 싶어 스탠퍼드대를 중퇴했는데 시간을 낭비하는 건 견디기 어렵다"고 말했다.
중국에만 '9·9·6'(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주 6일 근무)과 같은 극한 문화가 있는 것이 아니다. 미국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씬에선 일주일 내내 일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AI 고객지원 챗봇 스타트업 '파운더스' 창업자인 하세브 울라는 시간 절약을 위해 사무실 공간을 개조한 기숙사에서 직원 20여명과 함께 공동생활을 한다. 식당을 오가거나 요리하는 시간을 줄이려고 하루 한 끼는 배달로 해결한다.
비디오 편집 AI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키노'를 설립한 루크 이글은 일주일 내내 일한다. 이글은 "실리콘밸리의 창업자들이 가장 많이 한다는 9·9·6 공식을 조금 변형했다"며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12시간 이상, 토요일과 일요일은 반나절씩 주 7일을 근무한다"고 설명했다.
이들과 같은 '뉴 스타트업 세대'는 청소년기에 마크 저커버그의 페이스북 창업기를 다룬 영화 '소셜 네트워크'를 봤고, 코딩을 했고, 아이폰을 사용했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WSJ는 분석했다. 다수가 세계 최대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인 'Y콤비네이터'에 발탁돼 창업자의 길을 걷게 됐다는 점도 주목했다.
똑똑한 젊은이들이 사무실에 갇혀 노트북 앞에서 허겁지겁 도시락을 먹으며 일하는 삶이 무미건조해 보일 수 있지만, 스타트업이 발에 차일 정도로 많고 경쟁이 치열한 창업도시에서 성공하기 위한 필수 과정이라고 짚었다.
Y콤비네이터 파트너인 재러드 프리드먼은 "최근 샌프란시스코 젊은 창업자들의 직업윤리와 에너지는 페이팔을 만들려고 개발자들이 책상 밑에서 잠을 자던 인터넷 초창기로 돌아간 것 같다"며 "지금보다 10배는 더 커질 AI 세상을 정복하기 위해 삶의 다른 모든 것을 잠시 중단하고 싶어하는 창업자들의 심정을 이해한다"고 말했다.
━
'하드테크'에 꽂힌 엔비디아…올해 스타트업 42곳 투자
━
엔비디아가 AI·핵융합·양자컴퓨팅 등 기술 스타트업에 적극 투자하며 벤처 생태계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 로이터=뉴스1 엔비디아가 AI·핵융합·양자컴퓨팅 등 기술 스타트업에 적극 투자하며 벤처 생태계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리드 투자자로 나서기보다는 미래 산업을 이끌 가능성이 높은 업체들을 선별해 다양한 분야에 자금을 분산하는 참여형 투자 방식이 눈길을 끈다.
20일 글로벌 기업정보 플랫폼 크런치베이스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벤처캐피탈(VC) 자회사인 엔벤처스를 통해 올 9월 현재 42개 이상 스타트업에 투자했다. 이는 역대 최대 투자에 나섰던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소폭 늘어난 것이다. 2022년까지 10건 안팎이던 엔비디아의 스타트업 투자는 2023년 47건, 2024년 56건으로 매년 늘고 있다.
투자한 업체 면면을 보면 고난이도 기술에 집중하는 하드테크 스타트업 비중이 높다. 핵융합 발전 스타트업인 '커먼웰스 퓨전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양자컴퓨팅 기술을 개발중인 '퀀티넘', 프랑스의 생성형 AI 스타트업 '미스트랄AI' 등에도 투자했다.
엔비디아는 벤처캐피탈(VC) 자회사인 엔벤처스를 통해 올 9월 현재 42개 이상 스타트업에 투자했다./그래픽=크런치베이스 갈무리시가총액이 4조달러(약 5600조원)를 돌파하며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으로 평가받지만 투자 방식은 공격적이지 않다. 올해 리드 투자자로 나선 건 이스라엘 AI 기업 'AI21랩스', 로봇용 AI 스타트업 '스킬드AI' 등 5건에 불과했다.
이 같은 전략에는 AI 기술 산업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의도가 반영돼 있다고 크런치베이스는 봤다. AI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인 '엔비디아 인셉션'을 통해 초기 단계 스타트업과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
"유럽 초소형차 시장 잡겠다"…中 전기차 스타트업 질주
━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인 '링크투어 오토노티브'는 최근 독일 뮌헨에서 열린 세계 최대 모터쇼 'IAA 모빌리티 2025'에 초소형 전기차 '알루미' L시리즈 2개 모델(L6e·L7e)을 선보였다. /사진=블룸버그중국의 한 전기차 스타트업이 유럽에 초소형 자동차 제품을 내놓고 시트로엥·르노 등과 경쟁에 나선다. 비야디(BYD) 등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유럽 소비자들을 사로잡은 데 이어 초소형차 시장으로 영역 확장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에 통신에 따르면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인 '링크투어 오토노티브'는 최근 독일 뮌헨에서 열린 세계 최대 모터쇼 'IAA 모빌리티 2025'에 초소형 전기차 '알루미' L시리즈 2개 모델(L6e·L7e)을 선보였다.
길이 2.6m에 2도어 구조인 이 초소형 전기차의 최고 속도는 L6e 45km/h, L7e 90km/h다. 최대 주행거리는 L6e 120km, L7e 180km로 가정용 콘센트로도 충전이 가능하다. 10.25인치 터치스크린과 5인치 스마트 패널을 탑재해 카플레이와 같은 원격제어 기능도 지원한다.
링크투어 오토노티브는 오는 11월 이탈리아에서 알루미를 첫 출시한다. 가격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경쟁력 있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블룸버그도 유럽연합(EU)의 전기차 수입 관세대상에서 초소형 모델이 제외된 만큼 저렴한 가격 책정이 가능해 보인다고 분석했다. 현재 유럽에서 판매 중인 시트로엥의 '아미'는 약 7990유로(약 1300만원), 르노의 '모빌라이즈 듀오'는 약 9090유로(약 1500만원) 선이다.
링크투어의 윌리엄 탕 CEO(최고경영자)는 "우리의 목표는 처음부터 중국이 아닌 해외 시장이었다"며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어 영국, 중동 등 시장에 더 큰 전기차 모델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
LG가 '찜'한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에 '뭉칫돈'
━
피규어AI가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이 세탁물을 개는 모습/ 영상=피규어AI 유튜브미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피규어AI'가 대규모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전 세계에서 투자하고 싶다는 수요가 몰리며 기업가치도 수직 상승했다.
블룸버그통신·크런치베이스·테크크런치 등을 종합하면 피규어AI는 최근 시리즈C 라운드에서 10억달러(약 1조4000억원) 이상 투자금을 확보했다. 이번 라운드는 파크웨어 벤처스 캐피털이 주도했으며 엔비디아·인텔·T모바일·퀄컴 등이 참여했다. LG도 지난해 2월에 이어 추가 투자를 단행했다.
투자 유치 후 기업가치는 390억달러(약 55조원)로 직전 라운드(지난해 2월) 당시 26억달러(약 3조6000억원)보다 15배 높아졌다. 이번 투자로 피규어AI가 손에 꼽히는 핵심 스타트업 대열에 합류했다고 블룸버그는 평가했다.
2022년 설립된 피규어AI는 엔비디아를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픈AI 등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투자를 받아 유망 스타트업으로 주목받아 왔다. 설립 초기엔 하드웨어 제작에 집중하기 위해 오픈AI 기술을 도입했지만, 올 초 자체 AI 모델 '헬릭스'를 탑재한 '피규어 02' 모델을 선보였다.
피규어AI의 브랫 애드콕 CEO는 "헬릭스는 로봇의 시각 데이터와 프롬프트(명령어)를 통해 인식한 언어 데이터를 함께 이해해서 행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모델"이라며 "자연어로 말해도 수천개의 새로운 물건을 구분해 집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