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글로벌 AI(인공지능) 에이전트 스타트업 라이너가 학술 연구의 품질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신규 리서치 AI 에이전트 2종을 공개한다고 11일 밝혔다.
신규 리서치 AI 에이전트는 논문 투고 전 동료 심사 과정을 AI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피어 리뷰'와 AI 페르소나를 활용해 가상 설문을 진행할 수 있는 '설문 시뮬레이터'이다. 라이너는 이번 두 가지 신규 에이전트를 통해 연구자가 실험 설계와 논문 마무리 단계에서 겪는 주요 어려움을 해소하고 연구의 완성도와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논문 피어 리뷰 에이전트'는 연구자가 실제 학술지에 투고하기에 앞서 수개월에 걸쳐 진행해야 하는 동료 심사를 불과 10분 만에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연구의 독창성과 혁신성 검토 △방법론의 타당성과 재현 가능성 평가 △논리적 명확성과 일관성 점검 △연구의 의미와 잠재적 영향력 분석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다섯 가지 에이전트가 리뷰 결과를 종합해 구체적 개선점을 제시한다. 연구자는 논문 전반에 대한 종합 피드백은 물론, 특정 문단이나 인용 등 세부 요소에 대한 논평까지 받아볼 수 있다.
라이너의 검증 결과 인공지능·통계·데이터 과학 분야의 최첨단 연구를 발표하는 국제 학술 컨퍼런스 'ICLR'의 실제 논문 리뷰와 비교했을 때 피어 리뷰 에이전트의 평가 내용이 70% 이상 일치했다. 특히 실제 리뷰보다 평균 두 배 이상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해 연구자가 미리 약점을 보완하고 논문 게재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설문 시뮬레이터'는 사회과학, 경영학, 마케팅 등 설문 기반 연구자가 본격적인 실험에 앞서 활용할 수 있는 리서치 에이전트다. 연구자는 설문지를 PDF로 업로드한 뒤, 연령·성별·지역 등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가진 AI 페르소나를 30명에서 100명까지 선택해 가상 설문을 진행할 수 있다.
100명 규모의 설문을 모집하려면 수일이 걸리고 평균적으로 150달러 이상이 필요하지만, 설문 시뮬레이터를 활용하면 동일한 데이터를 약 1달러로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어 경제적 효과도 크다. 평균 3분 이내로 완료되는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설문 문항의 모호함, 예상치 못한 응답 패턴, 가설의 약점을 미리 확인하고, 다양한 설계안을 저비용으로 반복 검증해 실험 실패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김진우 라이너 대표는 "라이너는 연구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병목을 리서치 AI 에이전트로 해결해 연구자가 더 빠르고 정확하게 성과를 낼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며 "정확한 AI 검색 서비스와 바이브 리서치 실현을 위한 리서치 에이전트 두 카테고리를 함께 고도화해 나가며,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하는 AI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