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상표 출원 활동 규모가 20건 이상이면, 자금조달 가능성 17.1배까지 상승 -
-스타트업 엑싯 가능성도 미리 특허·상표 출원 시 2배 이상 증가, 최대 5.9배 상승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이 특허나 상표 등 지식재산(IP)을 먼저 확보할 경우, 자금조달 가능성이 최대 17.1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업공개(IPO)나 인수합병(M&A) 등 엑시트(투자금회수) 가능성도 2배 이상 높아져 IP 전략이 스타트업의 성장·생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가지식재산위원회와 특허청은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공동으로 의뢰해 수행한 '스타트업 자금조달과 특허·상표의 중요성' 연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이 연구는 1999년부터 2025년까지 총 2615개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이들의 투자 이력과 특허·상표 출원 활동 간 상관관계를 실증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스타트업이 특허나 상표를 선행적으로 출원한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자금조달 가능성이 평균 1.7배 이상 높았다.
특허·상표의 자금조달 가능성 증가 효과/자료=국가지식재산위원회, 특허청
특히 단계별로 살펴보면 △시드 단계에서는 자금조달 가능성이 1.7배 △초기 단계(시리즈 A~B)는 3.1배 △후기 단계(시리즈 C 이상)에서는 최대 6.3배까지 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국내를 넘어 해외까지 특허·상표 출원 활동을 확장한 경우, 후기 단계에서 자금조달 가능성이 7.1배까지 높아졌다.
스타트업이 확보하려는 IP 종류와 출원 규모 또한 자금조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했다. 후기 단계에서 특허와 상표를 모두 출원한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최대 9배 높은 자금조달 가능성을 보였다. 특히 20건 이상의 특허·상표를 출원한 기업은 자금조달 가능성이 17.1배까지 증가했다. 특허·상표 활동 규모별 엑시트 가능성 증가 효과/자료=국가지식재산위원회, 특허청 투자금 회수를 위한 엑시트 전략에도 IP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특허·상표를 출원한 스타트업은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IPO나 M&A를 통한 엑시트 성공 확률이 2배 이상 높았고, 국내외 특허·상표 출원이 20건 이상인 경우엔 엑시트 가능성이 최대 5.9배까지 늘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IP가 단순한 보호 수단을 넘어, 투자 유치와 기업가치 증대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자산임을 보여준다. 이광형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장은 "미국과 유럽처럼 우리나라에서도 지식재산이 스타트업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이 입증됐다"며 "정부도 자금 지원을 넘어 지식재산 전략 수립까지 함께 지원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완기 특허청장도 "이번 연구는 지식재산 정보가 외부 투자자에게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로 작동하고 있음을 뜻한다"며 "스타트업이 IP를 통해 혁신 가치를 인정받고 투자 유치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 정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