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기후테크 육성, 정답은 시장에 있다

고석용 기자 기사 입력 2023.08.17 11:00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공유하기
글자크기
화력발전소 굴뚝/사진=뉴스1
화력발전소 굴뚝/사진=뉴스1
"탄소를 가장 빠르게 줄이는 방법은 탄소저감이 돈이 되게 만드는 것입니다. 탄소를 줄여서 엄청난 돈을 벌 수 있다면 기업들은 정부가 하지 말라고 해도 뛰어들겠죠."

기후테크 분야 스타트업 생태계 관계자들이 공통으로 하는 말이다. 정부가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위해 연구개발(R&D), 투자 등 자금을 지원한다 한들 기후테크 산업의 성공 관건은 결국 탄소저감을 자본으로 바꿔줄 시장에 달려있다는 설명이다.

탄소저감의 가격은 얼마일까? 우리나라에서 탄소를 1톤 줄여 획득한 탄소배출권(KAU)은 16일 기준 7840원에 거래됐다. 애초 상장부터 저렴했던 가격이 이월제한제 등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유럽의 탄소배출권 가격 89유로(13만원)의 20분의 1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우리나라에서는 탄소를 줄여봐야 유럽의 20분의 1밖에 수익을 낼 수 없는 셈이다.

이런 환경에서 탄소를 저감할 수 있는 혁신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혁신적으로 기후위기를 막는 선순환 생태계를 기대하긴 어렵다. 정부가 2030년까지 기후테크 스타트업 육성에 145조원을 투입하고 유니콘 기업 10개를 육성하겠다고 했지만 정작 기후테크 스타트업 생태계가 뜨뜻미지근한 이유다.

물론 모든 기후테크 기업들이 탄소배출권 거래를 통해 수익을 내는 것은 아니다. 일각에서는 탄소배출권 가격에 영향을 받을 기후테크 스타트업은 전체의 절반도 되지 않을 것으로 추산한다. 그러나 기후테크 업계의 이야기는 다르다. 한 기후 분야 전문 벤처캐피탈은 "탄소배출권 가격이 당장 수익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기업이 창출하는 가치이자 외부 투자금이 몰리는 척도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탄소배출권 가격은 정부의 제도와 정책으로 결정된다. 가격이 정부의 의지인 셈이다. 탄소저감에 혁신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는 환영할만하다. 정부의 의지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지원금이나 어려운 기술적 지원보다 '돈이 되면 몰린다'는 단순한 시장원리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기후테크 유니콘을 10개 탄생시키고 탄소중립을 달성해 기후위기를 막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실현되길 국민으로서, 아니 지구인으로서 기대해본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유니콘팩토리' 기업 주요 기사

이 기사 어땠나요?

이 시각 많이 보는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