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가 '요즘 유행하는 영상'을 같이 보던 과거와 달리 '내가 관심 있는 주제의 영상'을 골라 보는 새 시청방식에 맞춰 콘텐츠 추천 방식을 개편한다. 10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 등 외신에 따르면 유튜브는 기존의 '트렌딩(Trending)' 페이지와 '트렌딩 나우(Trending Now)' 리스트를 폐지하고, 카테고리별 차트를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카테고리별 차트에는 '트렌딩 뮤직 비디오(Trending Music Videos)', '주간 인기 팟캐스트 쇼(Weekly Top Podcast Shows)', '트렌딩 영...
이찬종기자 2025.07.11 07:46:22미국 연방 하원의원 40여명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온라인 플랫폼법 문제를 해결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한미 무역협상에서 온라인 플랫폼법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2일(현지시간) 워싱턴 정가에 따르면 연방 하원 세입위원회의 에이드리언 스미스 무역소위원회 위원장(공화·네브래스카)이 홈페이지에 공개한 서한에 따르면 스미스 위원장과 캐럴 밀러 의원(공화·웨스트버지니아) 등 하원의원 43명이 전날 트럼프 행정부에 한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온라인 플랫폼업체 규제 문제를 다룰 것을 요구했다. 이들 의원은...
뉴욕=심재현기자 2025.07.03 08:03:56디지털 제국과 디지털 식민지, 두 가지 선택지 중 우리는 무엇을 고를 수 있을까. 세계적인 석학 '유발 하라리'는 자신의 저서 '넥서스'에서 "AI(인공지능)는 스스로 결정을 내리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역사상 최초의 기술"이라며 "AI는 우리 종의 역사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의 진화 경로를 바꿀 것"이라고 했다. AI는 산업계를 넘어 인류의 삶 전체를 송두리째 뒤흔들 것으로 예상된다. AI 시대 주도권을 잡기 위한 세계 각국의 경쟁이 치열하지만 한국은 규제 일변도 정책과 정...
김소연기자,천현정기자,이찬종기자 2025.05.06 14:19:13정부가 전국에 방치된 '빈집 철거 활성화'를 위해 재산세·양도소득세 부담을 완화하고 민간 거래 플랫폼의 빈집 거래도 허용하기로 했다. 특히 시군구 단위에서 대응하던 빈집 업무를 국가 차원의 업무로 전환할 계획이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보는 지난 29일 합동브리핑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범정부 빈집 관리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의 빈집 13만4900호 중 5만7223호가 인구감소지역에 위치했다. 이번 종합계획에는 빈집 소유자의 자발적 정비와 활용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관리 체계 마련과 방향...
김온유기자 2025.05.01 13:44:57[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콘텐츠 플랫폼 리디는 2024년 연간 매출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리디의 2024년 연결기준 매출은 2354억원으로 전년 대비 7.2% 증가했다. 영업손실은 129억원으로 전년 대비 56% 감소했다. 구조조정을 통한 인건비 축소, 마케팅 효율화를 통한 광고선전비 감소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12월에는 월 기준 손익분기점(BEP)을 달성했다. 리디는 콘텐츠 포트폴리오 다각화, 글...
김태현기자 2025.04.03 15:55:12[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우버는 자동차 없이 세계 최대 모빌리티 기업이 됐으며, 에어비앤비도 호텔 하나 없이 세계 최대 숙박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국내 기업의 증시 저평가)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국내 플랫폼 기업을 육성하는 것입니다." 강형구 한양대 파이낸스경영학부 교수는 25일 스타트업얼라이언스와 디지털경제3.0포럼의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우리나라 기업 대부분은 제조업 기반이...
남미래기자 2025.03.26 08:12:04[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2021년 12월 4조원→2023년 5월 2조9000억원→2025년 3월 5400억원.' 이는 2014년 신선식품 새벽배송으로 출발해 7년 만에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인 비상장사)에 오른 컬리의 기업가치다. 한 때 4조원으로 평가받던 이 회사의 기업가치는 코로나 팬데믹 특수가 꺼지면서 급속도로 낮아졌다. 20일 현재 증권플러스 비상장·서울거래 비상장 등 장외에서 거래되는 컬리 주가는 1만2500~1만30...
송지유기자,김태현기자 2025.03.23 09: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