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글로벌 초소형 위성 토탈 솔루션 기업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이하 나라스페이스)가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공모 절차에 돌입했다고 29일 밝혔다. 나라스페이스는 이번 상장에서 총 172만주를 공모할 계획이다. 희망 공모가는 1만3100원~1만6500원이며, 이에 따른 총 공모 예정 금액은 225억~284억원 수준이다.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1509억~1900억원으로 추정된다. 수요예측은 10월 30일부터 11월 5일까지, 일반 청약은 11월 11일~12일 양일간 진행된다. 상장 주관사는 삼성증권이다. 2015년 설립된 나라스페이스는 초소형 위성 플랫폼 개발과 양산, 고빈도 지구관측 영상 확보, 이를 활용한 영상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대표 초소형 위성 토탈 솔루션 기업이다. 2023년 11월, 개발에 성공한 초소형 위성 옵저버-
남미래기자 2025.09.29 13: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초소형 위성 솔루션 스타트업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가 한국거래소의 코스닥 상장 예비 심사를 통과했다고 22일 밝혔다. 나라스페이스는 삼성증권을 주관사로 2025년 하반기 IPO(기업공개)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2015년 설립된 나라스페이스는 초소형 위성 설계·개발, 위성 운용 솔루션, 위성 영상 판매·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위성 영상 초해상화, AI(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석 기술 등을 토대로 △재난·재해 감시 △도시 관리 △환경 변화 및 자원 관리 △국방·안보 감시 △농업 분석·수확량 예측 △금융·경제 모니터링 분야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나라스페이스는 2023년 11월 국내 최초로 25kg급 상용 초소형 위성 '옵서버-1A'의 발사·교신에 성공하면서 글로벌 시장 진입을 위한 '스페이스 헤리티지'를 확보했다. 이어 NASA(미항공우주국) 아르테미
고석용기자 2025.09.22 17: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정부가 창업에 도전하는 청년을 1000여명 발굴하고 전문기관이 밀착 보육토록 한다. AI 및 딥테크 분야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비상장사)을 키우는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도 가동한다. 실패의 경험이 자산이 될 수 있도록 연대책임 금지 적용대상을 확대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7일 경기 성남 스타트업스퀘어에서 기획재정부, 환경부, AI 위원회 등 관계부처 및 스타트업, 대기업, 협·단체 등 1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청년 창업 상상콘서트'를 개최하고 이같이 이재명정부 창업·벤처 정책 비전을 밝혔다. 비전은 도전적 창업 지원, AI·딥테크 중심의 역동적 성장, 정부의 튼튼한 지원 기반 마련이 골자다. 우선 '창업오디션' 등을 통해 이른바 '창업 루키' 1000여명을 발굴한다. 발굴된 우수 창업가는 전문 AC(액셀러레이터)·VC(벤처캐피탈)가 초기투자부터 밀착보육까지
김성휘기자 2025.09.17 15:25:37[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초소형 인공위성 스타트업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가 미국 항공우주청(NASA)의 유인 달 탐사 임무인 '아르테미스 2호'에 함께할 한국의 큐브위성 'K-라드큐브'를 개발한다고 11일 밝혔다. K-라드큐브는 12U(20cm x 20cm x 30cm) 크기의 큐브위성이다. 아르테미스 2호 임무를 위한 로켓 'SLS'에 탑재돼 우주로 발사돼 지구 고궤도(HEO)에서 우주 방사선 환경을 관측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아르테미스 임무에 참여하는 국내 첫 큐브위성으로, 2026년 4월 발사 예정이다. 나라스페이스는 한국천문연구원 주관하에 위성의 본체 제작과 우주 환경시험, 발사 준비 과정과 발사 이후 운용 등 임무 전반을 위한 체계 종합 지원을 담당할 예정이다. K-라드큐브는 운용 시 고궤도 유지 등 고난도 기술이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위성이 분리된 후 지구 대기권에 진
고석용기자 2025.05.11 14: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