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파머는 AI 가이드로 농업의 문턱을 낮추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농촌을 만들어갑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기반 농촌경제 디지털 전환 플랫폼을 운영하는 트랜스파머가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창업 지원 프로그램인 팁스(TIPS)에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팁스는 민간과 정부가 합심해 우수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민간 운영사가 유망한 스타트업에 먼저 1~2억원을 초기 투자하면, 중소벤처기업부가 연구개발(R&D) 자금 등을 연계 지원하는 방식이다. 팁스에 선정된 스타트업은 2년간 최대 5억원의 연구개발 자금 확보가 가능하다. 사업화 자금(1억원)과 해외 마케팅(1억원)을 위한 추가 자금 지원도 받을 수 있다. 지난해 3월 설립된 트랜스파머는 AI가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농지 및 전원주택의 가치를 추정하고 영농 사업성과 적합 작물 등을 분석해 주는 플랫폼을 개발했다. 플랫폼은 농업 입문자뿐만 아니라 현 농가 경영자, 노후를 준비하는 청장
2024.07.22 18: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기반 애그테크 스타트업 트랜스파머가 소풍벤처스로부터 시드투자를 유치했다고 6일 밝혔다. 지난해 3월 설립된 트랜스파머는 AI가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농지 및 전원주택의 가치를 추정하고 영농 사업성과 적합 작물 등을 분석해 주는 플랫폼을 개발했다. 플랫폼은 농업 입문자뿐만 아니라 현 농가 경영자, 노후를 준비하는 청장년층까지 이용자 유형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농지 가격 등 폐쇄적인 농촌 정보를 온라인에서 클릭 한 번으로 확인할 수 있게 서비스를 구현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농지·전원주택 '가격 분석' △'내 농장 진단' △귀농 희망자에게 적합한 '농지 찾기' △전원주택 건축비를 확인하는 '내 집 짓기' △'농지연금 분석'에 이어 최근 '매물 분석'과 '숨은 정책 지원금' 서비스를 추가했다. 매물 분석은 자산관리공사, 농지은행,
2024.03.06 21:00:00#서울에서 금융업에 종사하던 박귀농(가명)씨는 3년 전 아내와 초등학생 자녀 2명을 데리고 전라남도 나주로 내려갔다. 평소 꿈꾸던 전원의 여유를 즐기며 은퇴 후의 삶을 누리기 위한 결정이었다. 그는 우선 허름한 농가주택을 구입해 헐어낸 뒤 새집을 짓고, 제법 큰 참외밭도 사들였다. 하지만 막상 맞닥뜨린 농촌생활의 현실은 기대와 달랐다. 유일한 수입원이나 다름없는 참외농사로 벌어들인 돈이라고 해야 한 해 2000여만원이 전부여서 당장 생활이 궁핍해졌다. 지인 권유로 블루베리 묘목을 심어봤지만 돈이 되려면 몇 년을 더 기다려야 했다. 다시 도시로 돌아가자니 그간 사들인 농기구들이 애물단지가 됐다. 헐값에 처분하는 과정에서 그만큼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 결국 김씨는 3년의 노력에도 끝내 농촌에 뿌리내리지 못하고 도시로 유턴했다. 수많은 은퇴자들이 한번쯤 고민해봤을 법한 귀농·귀촌, 최근엔 이 대열에 40대 이하 젊은층도 합류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매년 귀농인·귀촌인은 45만
2022.08.21 1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