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스마트팩토리 연구진을 중심으로 설립된 (주)다임리서치는 AI기술을 활용하여 일반 로봇들도 큰 투자 없이 서로 협업이 가능한 AI기반 군집로봇 제어기술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술 창업 기업입니다.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17일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의 기술사업화 주관기관 및 참여 스타트업들과 간담회를 열고 딥테크 기술사업화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오 장관은 이날 카이스트 해동정보홀에서 한국과학기술원(로봇), 안전성평가연구소(바이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우주항공) 등 초격차 프로젝트 주관기관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로봇 분야 참여기업인 다임리서치, 로엔서지컬, 바이오 분야 참여기업 에이엔폴리, 메디노, 우주·항공 분야 참여기업 아이옵스, 지티에이에어로스페이스 등 6개사도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초격차 프로젝트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딥테크 스타트업들의 연구개발(R&D)과 상용화 사이 간극을 메울 수 있도록 참여기업들의 건의사항과 정부출연연구소 등 초격차 주관기관들의 지원 내용을
2025.02.17 14: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군집물류로봇 제어·관제 솔루션 개발기업 다임리서치, 마이크로바이옴 복합균주 솔루션 개발사 바이옴에이츠, 특허법인 이노가 연구개발특구 '기술사업화 대상' 장관상을 수상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기술이전 사업화, 지역혁신 기여, 사업화 지원 등 3개 부문으로 이뤄진 '기술사업화 대상' 기업 9곳을 선정하고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특구재단 이사장상을 수여했다고 25일 밝혔다. 기술사업화 대상은 특구 R&D(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 기반을 구축하고 공공기술 사업화 성공모델을 확산하기 위해 마련됐다. 출연연, 대학, 기업이 연구개발 성과를 사업화 한 우수사례를 발굴해 매년 시상하고 있다. 먼저 '기술이전 사업화' 부문 대상은 창업 3년 만에 로봇 기반 제조 자동화 통합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해 SK온,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 등 대기업에 공급한 다임리서치
2024.01.25 15:00:00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 연구소창업기업인 '다임리서치'의 군집제어로봇연구가 반도체 운영 관련 국제 저널인 'IEEE Transactions on Semiconductor Manufacturing'(이하 IEEE TSM)에서 '2022년 우수논문'에 선정됐다. 다임리서치는 이번 논문의 교신저자인 카이스트 산업및시스템공학과 장영재 교수와 홍상표 박사(제1저자)와 황일회 박사(제2저자)가 창업한 연구소기업이다. IEEE TSM은 한 해 게재된 논문 중 편집장들의 추천을 통해 총 5편의 우수 논문들을 선정, 이듬해 6월에 발표한다. 다임리서치는 공장 내 1000대 이상의 군집 로봇을 제어하는 기술로 IEEE TSM의 주목을 이끌었다. 반도체 공장은 점차 대형화되고 있고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면서 공장 내 운영하는 로봇 대수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다임리서치는 공장 운영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1000대 이상의 물류반송 로봇을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제어하는
2023.07.05 08:30:10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인 다임리서치가 100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고 5일 밝혔다. 기존 투자사인 스톤브릿지벤처스가 후속 투자를 이어갔고,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가 신규 투자사로 참여했다. 이로써 다임리서치의 누적 투자유치액은 약 120억원이 됐다. 다임리서치는 카이스트(KAIST) 산업시스템공학과 장영재 교수와 박사 인력들이 함께 창업했으며, 디지털 트윈, AI(인공지능) 기술 기반으로 군집 로봇 제어, 공장 설계 등 스마트팩토리 통합 운영 솔루션에 특화돼 있다. 스마트팩토리는 기존 컨베이어 방식에서 탈피해 수백 대 규모의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솔루션으로 진화하고 있다. 1000대 이상의 군집로봇을 통합 제어하는 다임리서치 솔루션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다임리서치는 이번 투자금을 본격적인 해외 공략에 쓸 계획이다. 미국 보스톤에 R&D(연구개발) 센터를 설립해 MIT(매사추세츠 공과 대학)와 공동연구도 추진할 예정이다. 장영재 다임리서치
2022.10.05 11: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