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사진제공=디토닉AI(인공지능)·데이터 스타트업 디토닉이 농가 가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공공 AI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고 19일 밝혔다.
디토닉은 농림축산식품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추진하는 '공공 AX(인공지능 전환) 프로젝트'의 가뭄 분과 주관사업자로 선정돼 이같은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고 전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의 가뭄 발생빈도는 20세기 연평균 0.36회에서 21세기 들어 0.72회로 2배 증가했다. 특히 최근 3년에는 자연재해로 피해를 본 농가가 누적 48만호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농식품부와 NIPA의 공공 AX 프로젝트는 돌발적인 가뭄 등을 예측해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
디토닉은 △지하수위·기후변화·수질 등 농식품부가 보유한 학습데이터 1억1000만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등의 지하수 수량 및 수질·작황 등 학습데이터 2억5720만건 △한국전력공사 등의 관정 전력 사용량 및 지하수 관측 데이터 2000만건 등 이종 데이터들을 수집해 지하수 수위 및 가용량 등을 예측할 계획이다.
디토닉은 "이를 통해 신규 관정 개발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5000만원, 한 달 이상에서 1000만원, 1주일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며 "하루 3만톤의 물이 필요하다고 가정한 가뭄에 이를 적용하면, 2023년의 경우 피해액을 826억원에서 4억9000만원 수준으로 99%까지 저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디토닉은 지하수 시스템 전문기업 소다시스템, 스마트 농업 기술기업 무한정보기술과 3사 컨소시엄을 꾸려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전용주 디토닉 대표는 "공공에 쌓인 방대한 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하면 한국의 AI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며 "이번 공공 AX 프로젝트를 통해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하고 정부의 AX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