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핀다가 지난 1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AWS AI x 인더스트리 위크 2025'에서 스타트업 대표들의 재무 고민을 해결해주는 AI 뱅킹 플랫폼 '핀다유니콘'(가칭)의 핵심 솔루션인 'AI CFO'를 선보였다. /사진=핀다 제공핀테크 기업 핀다가 스타트업 전용 AI(인공지능) 뱅킹 플랫폼 '핀다유니콘'(가칭)을 출시하며 기업 금융 시장에 도전한다고 22일 밝혔다.
핀다는 최근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주관한 'AWS AI x 인더스트리 위크 2025'에서 스타트업 대표들의 재무 고민을 해결해 주는 AI 뱅킹 플랫폼 핀다유니콘의 핵심 솔루션인 'AI CFO(최고재무책임자)'를 선보인 바 있다.
AI CFO는 핀다가 지난 1년 반 동안 고심하며 만들어온 신사업 핀다유니콘의 핵심 기능이다. A부터 Z까지 모든 기능이 AI 에이전트로만 구현돼 각 에이전트가 전문 업무를 분담하고 협업해 정확도를 높이고 자율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AI CFO는 AWS와 협업해 개발된 랭그래프(LangGraph) 기반 코어 에이전트 구조를 채택했다. 랭그래프는 여러 개의 AI 에이전트가 단계별로 협력하고 상호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레임워크다.
AI CFO는 기장·분석·예측·보고 등 재무관리 전 과정을 각각의 AI 에이전트가 분담하고 상호 협력하도록 설계돼 실제 사람 수준의 통합적 의사결정을 구현한다. 사용자는 실제 CFO와 일하는 것처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LLM(거대언어모델)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융합한 하이브리드 엔진이 기업의 거래 내역, 매출, 비용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런웨이(스타트업이 투자유치 없이 생존할 수 있는 기간)와 리스크를 정밀하게 예측하는 게 특징이다.
AI CFO는 AWS의 생성형 AI 서비스인 아마존 베드록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아마존 베드록은 AWS 프라이빗 링크(AWS PrivateLink)를 통해 망분리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생성형 AI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앤스로픽(Anthropic)의 클로드 3.5 소넷 v2 모델도 활용한다. 클로드 3.5 소넷은 차트와 그래프 등 시각 데이터 해석 능력이 뛰어나 복잡한 재무 데이터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한다.
핀다가 자체 개발한 재무 로직 전용 언어인 '프리즘'(Projection-logic Interpretive Script Markup language)을 적용해 재무 전문성을 강화했다. 프리즘은 사용자가 시나리오를 입력하면 의도를 파악하고 미래 예측을 어떻게 해야 할지 설계도로 변환·계산하는 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케팅 비용을 20% 늘리고 매출은 30% 늘리고 인프라 비용은 10% 늘었을 때의 런웨이를 보여줘'라고 명령하면 예상 시나리오에 따라 기대되는 매출과 영업비용, 현금잔액 등의 수치를 정리해 보여준다.
박홍민 핀다 공동대표는 "단순 비서 역할을 넘어 예기치 못한 리스크를 미리 예측하고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제 CFO처럼 역할을 해 핀다의 AI CFO가 국내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를 더욱 견고하게 하는 기반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